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창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희 전문가입니다.

김창희 전문가
(주)네추럴웨이
식습관·식이요법
식습관·식이요법 이미지
Q.  5살 아이가 밥을 안먹습니다.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도움이 될지 모르겠습니다. 저는 4살, 6살 남아를 키우고 있습니다.우선, 저희도 따님처럼 똑같았습니다. 특히 둘째의 경우에는 정말 심했습니다.절대 물에 말아주지 않으면 먹지 않았습니다. 국도 아니고...우선 먼저 체크했던 것이 위의 현상이 어린이집에서도 동일한가 였습니다.보니까, 저희는 어린이 집에서는 혼자 밥은 먹었는데, 편식이 심했고, 절대로 국이나 물에 밥을 말지 않으면 안되었다고 합니다. 우선 그걸로 "ㅇㅋ" 왜냐하면 혼자 먹기는 하지만 집이라는 공간에서는 안했으니까요.그래서, 그 뒤에 최대한 밥을 먹이지 않았습니다. 먼저 어린이집에서 돌아오면 절대로 간식을 주지 않았습니다.처음에는 걱정이 되었으나, 나중에는 배가 고픈지 먼저 먹더라고요.물론, 물을 말아주기는 했습니다. 그리고, 혼자 먹기 시작하고 나서부터몇가지 방법을 했습니다.번거롭더라도 인내를 갖고, 볶음밥. 현미밥. 잡곡밥. 콩밥 등등 다양하게 했습니다.결국에는 저희 아들은 잡곡밥을 좋아했고 지금은 잡곡밥을 먹습니다.그래도 가끔은 물에 말아먹지만 그 빈도가 현저하게 줄었습니다.항상 무엇인가 변화에 있어서 처음 3일이 가장 힘든 것 같습니다.참!. 그리고 한가지 더부부가 서로 생각을 동일하게 해야합니다.저는 마음이 약해서 밥을 안먹으면 먹여주었는데, 와이프는 절대로 주지 않더라고요. 이런 부분에서 저의 강인함(?)이 요구되었고, 정말 많이 참기도 하며, 어떨 때는 일부러 야근하기도 했습니다.(주로 퇴근하고 나서 밥을 주니까요)여전히 부족한 것은 많고, 부모로써 걱정이 되는 부분도 많은 것 같습니다.그러나, 항상 걱정은 부모고, 자녀는 잘 자라고 있는 것 같습니다.첫째가 언제 한글을 익히나 했으나, 받침이 없는 것은 재법 읽습니다.알아서 잘 크고 있나봅니다. 따님도 잘 크고 있을꺼예요. 감사합니다.
다이어트 식단
다이어트 식단 이미지
Q.  다이어트 하면서 저녁에 먹기 좋은 차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제가 추천드리고 싶은 차는보리차, 히비스커스차, 루이보스차, 옥수수수염차, 보이차 등이 있습니다.실제 위의 몇몇은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원료 중 체지방 감소에 도움이 되는 원료의 원재료이기도 합니다.다이어트 성공하세요. 감사합니다.
기타 영양상담
기타 영양상담 이미지
Q.  매일 피로감을 느끼는 성인을 위한 영양 보충 방법에는 어떤 식단이나 영양소가 적절할까요??
안녕하세요피로감을 느끼신다면 몇몇 제안드리는 식단 구성을 한번 확인해보심이 좋을 듯 합니다.1) 채소, 야채: 채소와 야채에는 각종 비타민과 미네랄, 그리고 폴리페놀이 많아서 생리활성을 증가시킵니다. 이는 에너지 대사, 항산화, 항염증 작용을 하며 간의 건강에도 좋고 독소 배출 등에도 효과가 있습니다.2) 잡곡밥, 현미밥: 잡곡밥과 현미밥에는 식이섬유가 다량함유되어 있습니다. 이는 혈당을 천천히 증가시키며, 포만감을 주기 때문에 과식을 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습니다.3) 견과류, 고등어 등: 불포화지방산이 많으며 염증 제어에 좋습니다. 또한 혈액 내의 지방이 쌓이는 것을 막을 수 있어 혈류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그러나, 위의 방법 외에 피하셔야하는 것들이 있습니다.1) 설탕 등: 단맛을 제공하는 식품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혈당을 급격하게 증가시키고, 인슐린의 과발현을 초진하여 뇌의 피로를 축적시킬 수 있습니다.2) 지방이 많은 음식, 튀김 등: 소화를 하는데 장시간 소요되어 혈액을 흐름을 원활하게 하지 않습니다.그 외에도 피로와 관련된 건강기능식품 섭취도 추천드립니다. 간, 눈 등등 피로 개선에 도움이 되는 제품의 섭취는 피로감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다이어트 식단
다이어트 식단 이미지
Q.  다이어트를 하면서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고 하는데 하루 섭취량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남자 성인과 여자 성인이 조금 다릅니다.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 기준에 따르면 성인 남자는 65 g, 성인 여자는 50 g 으로 제시되어 있습니다.고단백 식단을 짜는 것은 좋으나, 어느 정도 탄수화물과 지방이 있는 것이 좋습니다.이는 영양소 균형을 맞추기 위함도 있으며, positive nitrogen balance를 위해서도 필요합니다.또한 고기류의 단백질만을 너무 많이 먹으면 요산 수치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고단백 식단을 짤 때 또한 동물성 단백질만 넣고, 식물성 단백질만 넣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한쪽으로 치우치면 반드시 부족해지는 영양소 특히 아미노산이 생깁니다. 따라서 어느 정도 섞는 것도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환자 식단
환자 식단 이미지
Q.  수술 후 단식을 하면 염증 개선에 효과가 좋나요?
안녕하세요일반적으로 염증이 있으면 안좋다고 생각하지만, 일부 염증성 cytokine은 수술한 부위의 병균체을 죽이는데 역할을 합니다.그렇지만 너무 과하면 오히려 조직에 안 좋은 역할을 합니다.72시간의 단식이 쉬운 일은 아닙니다.그리고, 혹을 떼려다 혹을 붙인다고 오히려 영양불균형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염증에는 식물성 기름, 견과류가 좋습니다. 또한 오메가-3가 좋습니다. 이들의 공통된 특징은 불포화지방산입니다. 불포화지방산은 일반적으로 염증 수치를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다만, 포화지방산이 다량 함유된 튀김류, 고기(고기 내의 기름), 가공식품(소세지, 라면) 등은 오히려 염증을 증가시키는 경우가 많아서 좋지 않습니다.그래서, 야채위주, 견과류, 식물성 기름 등의 섭취는 염증 제어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23623723823924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