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부동산 대출을 왜 6억으로 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금융통화위원회의 신진창 금융정책국장에 따르면 한도를 6억원으로 설정한 이유는 서울 수도권의 주택가격기준, 금융권 대출 이용 정도, 소득 대비 부채가 어느 규모가 적정한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6억원의 부채를 30년 만기로 빌리면 평균적으로 월 원리금이 300만원으로서 본인 소득 범위내에서 합리적인 수준의 부채 규모를 갖게하자는 관점에서 결정한 것이라고 하는데, 6억원 이상 대출을 받는 사람은 10%도 되지 않으며 소수가 주택 시장의 가격 상승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에 착안 했다고 합니다.
Q.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아이 출산율이 낮아지는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낮은 출산율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경제적, 사회적 이유가 크다고 판단됩니다. 아이를 낳았을 때 양육에 많은 비용 (특히 교육 부문)이 소요되는데, 예전 보다 소득은 늘어났다고 하지만 물가도 많이 올라서 현실적으로 맞벌이를 하지 않으면 정상적인 생활을 유지하기 힘들고, 이런 상황에서 아이가 생기면 육아를 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특히 집값이 많이 상승하여 주택구입을 위한 비용이 많이 소요 (또는 대출 상환으로 비용 소모)되는 것이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정부에서도 이런 문제들 때문에 각종 특공 제도를 도입하고 임대주택 등을 제공하고는 있지만 현실적으로 부담을 경감시키기에는 미미한 역할을 하고 있는 현실입니다. 주택과 교육 제도를 획기적으로 개편하여 비용을 최소화하여 부담을 덜어주기 전에는 현재의 추세를 전환하는 것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됩니다.
Q. 아파트 리모델링시 수평증축은 사업성이 낮나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리모델링은 크게 수평증축과 수직증축이 있는데, 수평증축은 기존 아파트 옆에 건물을 덧대어 짓는 형식으로서, 기존 골조를 유지한채 세대별 면적만 넓히므로 절차도 간단하고 규제도 덜해서 사업착수 및 진행은 빠르지만 세대수를 늘리는데 한계가 있고 건물을 옆으로 확장하여 대지 면적을 차지하므로 건폐율이 높으면 사업성에 한계가 있다보니 사업 진행이 쉽지않습니다. 반면 수직증축은 층수를 올려 세대수 자체를 늘림으로서 사업성은 좋지만 고난도 기술이 필요하고 안전진단 기준으로 통과하기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어서, 수평증축과 수직증축을 절충한 방식 등이 적용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