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덤핑방지 관세 회피 점검, 무역 실무에 어떤 영향을 가져올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덤핑방지 관세 회피에 대한 특별점검이 시행되면 유사 품목의 세번분류나 원산지 표시, 우회수출 여부 등에 대한 심사가 강화되어 기업의 수출입 통관 과정이 보다 엄격해질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품목분류 사전심사, 원산지 검토, 수입서류의 적정성 확인 등 사전 준비가 중요해지며, 공급망 전반에 걸쳐 규정을 준수하는 체계를 갖추는 것이 실무적으로 요구될 수 있습니다.
Q. 사이버 공격으로 인한 전자통관시스템 마비 시 대체 운영 체계는?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디지털 인프라가 마비될 경우를 대비해 수기 작성 서류, 팩스 또는 전화 기반의 신고 체계, 종이 원본 기반의 심사 방식이 일시적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표준 양식과 절차를 사전에 준비해 두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세관과 업체 간 비상 연락망 구축, 핵심 인력의 아날로그 업무 숙련도 확보, 통관우선순위 품목 선정 등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Q. 동아시아 탄소 국경세 공동 대응을 위한 역내 협력체 구성 가능성은?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한중일 3국이 EU 탄소국경조정제도에 공동 대응하려면 역내 공급망 탄소정보를 투명하게 공유하고 상호 인증하는 협의체 형태의 플랫폼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각국 기업의 배출 정보를 표준화해 통일된 보고체계를 갖추고, 탄소세 부담을 줄이기 위한 공동 대응 전략을 마련하는 방식으로 협력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술개발, 감축 투자, 제도 대응 컨설팅 등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민관 공동기구를 통해 실질적 협력 기반을 마련하는 방안도 고려할 만합니다.
Q. 미중 관세전쟁이 시작되었는데요 우리나라의 전략에는 어떤게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 전쟁은 우리나라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럴 때, 한국은 기존의 무역 파트너인 미국과 중국 외에도 다변화된 시장을 확보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특히, 고부가가치 제품이나 기술력이 중요한 산업 분야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중소기업들도 수출 기회를 확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fta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글로벌 공급망에서 한국의 위치를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찾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