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보호무역주의 확산 상황에서 무역업체가 검토해야 할 실질적인 대응방안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제3국 생산으로 전환하려면 단순히 공장만 옮기는 게 아니라 해당 국가의 인건비, 인프라, 통관환경까지 폭넓게 따져봐야 합니다. 또 그 나라가 fta나 우호적인 통상관계를 맺고 있는지도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시장 다변화는 기존 주력국가 외에 수요가 꾸준한 지역을 선제적으로 발굴하고, 그 나라 규제나 인증 요건을 미리 파악해 대응 전략을 세워야 실효성이 생깁니다. 수출환경은 예측이 쉽지 않기 때문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구조를 미리 갖추는 게 결국 리스크를 줄이는 길로 보여집니다.
Q. 중국산 제품의 우회수입 적발 사례가 늘어날때 취해야 할 조치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미국 cbp가 원산지 검증을 요구할 경우에는 생산공정이 실제로 제3국에서 이뤄졌다는 걸 보여줄 수 있는 자료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면 가공공정서, 작업일지, 공장사진, 자재명세서, 생산지 관련 세금계산서 등이 있습니다. 단순히 포장만 바꿨다거나 경유만 한 경우는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생산활동이 실제로 있었고 그 과정에서 중국산의 실질적인 변경이 이뤄졌다는 점을 입증하는 게 핵심입니다.
Q. 다국적 유통사의 물류 일원화가 무역업체에 미치는 실무적 변수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글로벌 유통사들이 물류를 본사 중심으로 통합하면 납품 일정이나 포장 기준, 운송 방식까지 세세하게 바뀌는 경우가 많습니다. 무역업체 입장에서는 새로운 시스템에 맞춰 포장 단위나 라벨 형식을 조정하고, 요구되는 납기일에 맞춰 사전 출고 계획을 더 촘촘히 세우는 게 필요합니다. 계약 조건도 기존보다 더 구체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니, 변경된 물류 요구사항을 계약서에 반영하고, 운송 지연이나 비용 증가에 대한 책임 범위도 함께 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