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성모Y마취통증의학과에서 근무하는 이창우 도수치료사입니다.
성모Y마취통증의학과에서 근무하는 이창우 도수치료사입니다.
이창우 전문가
성모Y마취통증의학과의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정형외과
2024년 9월 20일 작성 됨
Q.
뒷목에 뭔가 동그란게 만져지는데 뭘까요
안녕하세요. 이창우 물리치료사입니다.견갑거근 /승모근이 지나가는 부위로 예상됩니다.현재 상황에서 좌식생활이 길어지면 목의 형태가 변하면서 근육의 질감 / 형태가 약간 변할 수 있습니다.현재 도수치료를 받고 개선이 되어간다면 문제가 없지만, 개선력이 떨어지거나 통증의 변화가 없다면, 치료에 대해 제고를 하실것을 추천드립니다.
정형외과
2024년 9월 20일 작성 됨
Q.
새끼발가락 밑 옆부분 뼈가 아파요 사진첨부
안녕하세요. 이창우 물리치료사입니다.보통은 지금과 같은 상황을 소건막류로 예상을 하고 진단을 진행하는데요.현재 크게 문제가 없다면 한동안 놔두셨다가, 지속적으로 통증이 발생하고 특히 현재처럼 빨갛게 부어오른다면 일반정형외과보단 족부관련 병원에 방문하여 정확하게 진단을 받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정형외과
2024년 9월 20일 작성 됨
Q.
우리몸에 관절부위 무릅이나 손가락 발가락 부위
안녕하세요. 이창우 물리치료사입니다.관절부위에 대한 뼈소리는 관절에 저가동성이 있는 부분을 정상화 되면서 일어나는 소리입니다.또한 관절 내 기포가 터지면서 나는 소리지만 통증이 없다면 크게 문제 없습니다.
재활·물리치료
2024년 9월 20일 작성 됨
Q.
넘어져서 다리가 많이 부었는데요. 냉찜질을 해야하나요? 온찜질을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창우 물리치료사입니다.당일날 다친 경우, 보통은 72시간 까지 냉찜질을 추천드립니다.1일 2회 내외 / 회당 15분 정도 아이싱을 추천드립니다.아이싱시, 참을 수 있는 정도에 차가운 아이스팩을 하셔야 유의미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이후에 파스를 발라서 통증에 무딘감을 유지하시는게 좋을거같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9월 20일 작성 됨
Q.
뒷목 양쪽에 동그란게 만져지는데 이유가 뭘지..
안녕하세요. 이창우 물리치료사입니다.주로 견갑거근 혹은 승모근이 지나가는 부위입니다.아무래도 좌식생활 및 집중해서 공부/일을 하는 분들이면 목에 대한 변형이 있을걸로 추정되는데요.해당 변형에 따라 근육의 형태가 오돌토돌하거나 / 튀어나오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해당 부분은 충분히 문지르면 개선 할 수 있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9월 20일 작성 됨
Q.
발가락 절단 후 통증이 계속남아있는데 정상인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창우 물리치료사입니다.절단 부위에는 신경이 없는 상황이다보니 일반적으로는 '통증이 없어야되지 않나?' 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해당부분은 환상통으로 추정됩니다.환상통은 존재하지 않지만, 있는것처럼 느껴지는 증상이다보니 몹시 심적으로 힘들걸로 예상됩니다.현재는 증상억제가 일반적이며, 최근에 반사치료를 통해서 치료하는 과정이 있는걸로 보입니다.
정형외과
2024년 9월 20일 작성 됨
Q.
8세아동 발가락 골절수술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창우 물리치료사입니다.아이들은 보통 회복속도가, 빠른편이다보니 지켜보는 경우가 많습니다.1주일이 지났음에도 회복이 진전되지 않는다면 수술을 하는것으로 추정됩니다.환자분의 건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정형외과
2024년 9월 20일 작성 됨
Q.
햄스트링 통증 너무 심한데 큰병원 가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창우 물리치료사입니다.햄스트링은 참고로 한번 다치면, 회복하는데 꽤 오래걸리는 편입니다.물리치료를 받을정도면 최소한의 손상은 입었을걸로 추정됩니다.다만 현재 상황에서 통증이 떨어지지 않는다면, 초음파를 통해 좀 더 근육의 상태를 정확하게 진단을 받는것을 추천드리립니다.만약 파열 같은 상태가 영 좋지 않은 상황이라면, 깁스 등 치료가 진행될 예정입니다.환자분의 건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정형외과
2024년 9월 20일 작성 됨
Q.
오른쪽 가운데 손가락 중간 마디가 부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창우 물리치료사입니다.퇴행성은 사람마다 사용하는 량에따라 시기가 달라질 수 있음을 미리 말씀드립니다.관절염인경우 보통은 과사용으로 인한 관절염 / 퇴행성관절염 / 류마티스관절염으로 나뉘는데요.타이핑 / 휴대폰만 많이해도 과사용으로 오는 사례가 생각보다 흔합니다.다만 정확한 분류를 위해 병원에 내원하여 엑스레이 촬영 및 전문의의 진단을 권유합니다.
정형외과
2024년 9월 20일 작성 됨
Q.
많이 걸엇을때 관절에 안좋을 수 있죠?!?
안녕하세요. 이창우 물리치료사입니다.사람마다 다르다. 라고 말씀을 드릴 수 있습니다.다만 건강하다는 전제하에 만보는 크게 무리가 없을걸로 보입니다.하지만 운동부족 / 평소의 생활습관에서 걷기가 없다면 무릎에 무리가 갈 수 있습니다.현재의 상황에서는 정확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서 병원에 내원하는걸 추천드립니다.
61
62
63
64
6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