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내과 전문의입니다.
안녕하세요 내과 전문의입니다.
김창래 전문가
삼성열린내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내과
7일 전 작성 됨
Q.
항문이 가려운 느낌이 있으면 질환을 의심해봐야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창래 내과 전문의입니다.항문의 가려움이 느껴지는 것을 항문 소양증이라고 이야기하는데 항문 주변의 피부 질환,치핵,치혈과 같은 항문 질환 또는 직장의 염증성 질환 등 다양항 원인에 의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단순 가려움만으로는 이러한 질환을 감별하는 것이 어렵고 일시적인 가려움일 수 있어 1주일 정도 증상의 변화나 지속 여부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만약 항문 소양증이 지속되거나 동반 증상이 있다면 상기 질환에 대한 감별이 필요하므로 항문외과나 소화기내과 진료를 보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내과
7일 전 작성 됨
Q.
30대때는 얼마마다 종합검진을 받아주는게 좋나요?
안녕하세요. 김창래 내과 전문의입니다.일반적으로 30대에는 기본적인 검진 정도만 받아도 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위암이나 대장암과 같은 가조력이 있다면 위내시경은 2년 간격으로 대장 내시경은 5년 간격으로 검사를 해보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그리고 평소 운동량이 적고 과체중이거나 고혈압,당뇨병,고지혈증의 가족력이 있다면 2년 주기로 이러한 내용에 대하여 혈액검사를 해보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갑상선암이나 췌장 담낭 간질환 감별을 위해 복부 초음파 검사를 검진시 추가해 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검진 목적의 검사는 필수 검사는 아니므로 비용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이비인후과
7일 전 작성 됨
Q.
감기 걸리면, 사실상 등교를 안하는게 맞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창래 내과 전문의입니다.모든 감기는 전염성이 존재하지만 감기에 걸렸다고 하여 반드시 결석을 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전염력이 크기 않은 상기도 호흡기 감염의 경우 마스크를 착용하여 학교 생활 및 일상 생활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독감이나 코로나 감염과 같이 전염력이 큰 질환은 일정 기간 격리를 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고 진단서를 제출할 경우 학교에서도 결석을 인정해 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진료를 보시고 반드시 격리가 필요한 호흡기 감염이 아니라면 반드시 결석을 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내과
7일 전 작성 됨
Q.
alt 수치 상승과 딘백질 섭취에 관해
안녕하세요. 김창래 내과 전문의입니다.간기능 이상의 원인은 다양한데 건강 보조제 등의 약물로 인한 상승도 주요한 원인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단백질을 고용량으로 섭취한다고 하여 간기능 이상이 발생하는 것은 흔하지 않습니다. 간기능 이상을 유발할 수 있는 각종 간질환에 대한 추가 혈액검사가 필요하며 복부 초음파 검사를 통해 지방간이나 구조적인 이상이 존재하는지 확인을 해야 합니다. 따라서 내과 내원하여 간기능에 대한 추적검사와 추가 검사를 시행하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부족한 답변이지만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비뇨의학과
7일 전 작성 됨
Q.
성병 클라미디아 잠복 기간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래 내과 전문의입니다.클라미디아는 잠복기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2주 내외입니다. 하지만 수개월 이상 잠복 감염이 가능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잠복기가 4개월로 보기는 어렵고 무증상 감염으로 존재하였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클라미디아에 감염이 되면 질염이나 외음부염과 같은 질환이 나타날 수도 있지만 무증상 감염으로 존재하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증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확하게 언제 감염이 되었는지 알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비뇨의학과
7일 전 작성 됨
Q.
진주양 일가요..? 헤르페스 일가요?
안녕하세요. 김창래 내과 전문의입니다.올려주신 사진상 주변 피부와 유사한 양상의 다발성의 작은 구진으로 관찰되어 진주양 구진과 같은 양성 병변으로 판단됩니다. 성관계로 인한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나타나는 성기 헤르페스는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주로 수포성 병변으로 나타나므로 현재 관찰되는 병변은 가능성이 낮습니다. 통증이나 가려움과 같은 증상이 없고 크기나 모양의 변화가 없다면 별다른 치료 없이 지켜보아도 되겠습니다. 따라서 1주일 정도 경과를 지켜보시고 증상이 나타나거나 병변의 변화가 있다면 진료를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비뇨의학과
7일 전 작성 됨
Q.
이거 모공각화증인지 곤지름인지 아님 피지낭종인지
안녕하세요. 김창래 내과 전문의입니다.올려주신 사진상 작은 융기성 병변으로 피하 결절 가능성이 높습니다. 성관계로 인해 감염되는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곤지름은 사마귀 양상의 병변으로 나타나므로 가능성이 낮고 모공 각화증은 단일 병변보다는 닭살 모양의 다발성 병변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모공각화증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피지낭종 가능성이 있지만 감염의 소견이 없다면 별다른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증상이 없고 병변의 크기나 모양의 변화가 없다면 경과 관찰이 가능하면 증상이 발생하거나 병변의 변화가 있다면 진료를 보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이비인후과
7일 전 작성 됨
Q.
귀걸이를 안하다가 하면 귀가 붓는데, 귀걸이 자체의 문제인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창래 내과 전문의입니다.귀걸이를 할 때마다 부종과 발적 열감이 있다면 귀걸이에 의한 접촉성 알러지 피부염과 세균 감염에 의한 연조직염을 감별해야 합니다. 가려움이 주증상이라면 알러지 피부염 가능성이 높고 통증이 있다면 연조직염 가능성이 높습니다. 접촉성 알러지 피부염은 귀걸이 착용을 피하는 것만으로도 호전되는 경우가 많아 귀걸이 착용을 하지 않도록 하고 연조직염일 경우에는 경구 항생제 복용이 필요하므로 진료를 보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이비인후과
7일 전 작성 됨
Q.
귀뚫은 곳에서 나오는 고름같은건 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창래 내과 전문의입니다.귀를 뚫은 부위에서 진물이 지속적으로 나온다면 귀를 뚫은 부위 상처가 아물지 않은 것이 아니라 염증이 지속적으로 반복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항생제 치료가 필요한데 항생제 치료 후 자주 재발을 한다면 귀걸이 착용을 피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상처의 경우 지속적으로 귀걸이를 착용하게 되면 염증이 호전되기 어렵고 치료를 하더라도 재발이 쉽게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이러한 조치 후에도 진물이 지속적으로 나온다면 농양과 같은 배농이 필요한 병변이 있는지 진료를 통해 확인을 해야 합니다.
피부과
7일 전 작성 됨
Q.
블랙헤드는 일부러 짜내는게 맞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창래 내과 전문의입니다.블랙헤드를 제거하면 모공이 커진다는 속설이 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는 않습니다. 블렉헤드는 모공에 피지와 노폐물이 혼재되어 존재하는 것으로 화이트헤드의 형태로 있다고 블랙헤드로 변하게 됩니다. 이러한 블랙헤드는 미용상의 목적으로 제거를 하게 되며 제거 후 비어 있는 모공에 다시 블랙헤드가 발생할 수 있어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블렉헤드를 제거한다고 하여 블랙헤드가 늘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11
12
13
14
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