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내과 전문의입니다.
안녕하세요 내과 전문의입니다.
김창래 전문가
삼성열린내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내과
22일 전 작성 됨
Q.
이거 지방변인가요?(사진주의) 혹시 어떤질병일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창래 내과 전문의입니다.사진상 기름기가 있는 대변의 양상이지만 전형적인 지방변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췌장이나 담도 질환에 의해 발생하는 지방변의 양상은 아니며 위와 같은 기름기가 있는 대변 양상의 섭취한 음식이나 과민성 대장 증후군과 같은 질환에서 ㅈ로 관찰이 됩니다. 현재 복용 중인 무좀약은 복통이나 배변 양상의 변화를 유발하는 경우는 흔하지 않아 가능성은 낮습니다. 위와 같이 복통과 대변 양상의 변화가 지속된다면 위장관 질환이나 췌담도 질환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므로 소화기내과 진료를 보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기타 의료상담
22일 전 작성 됨
Q.
잠을 잘 못자면 똥을 잘 못싸는데 보통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김창래 내과 전문의입니다.배변 습관의 변화는 수면과 음식,생활 패턴에 많은 영향을 받는데 위장관 운동은 세로토닌이나 카테롤라민과 같은 교감신경이나 각종 호르몬의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수면 부족이 있으면 세로토닌의 분비가 감소하여 혈중 세로토닌의 농도가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해 위장관 운동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수일간 배변을 원활하게 하지 못하였다면 충분한 수면을 취해보시고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하는 것이 도움이 돕니다. 만약 지속적으로 변비가 호전되지 않는다면 내과 진료를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산부인과
22일 전 작성 됨
Q.
질입구 하얀색 오돌토돌 돌기 질염? 곤지름?
안녕하세요. 김창래 내과 전문의입니다.피부나 생식기 병변은 육안 소견이 중요한데 사진이 없어 올려주신 질문을 바탕으로 답변 드리겠습니다. 하얀 분비물이 나오고 있다면 질염에 합당한 소견이며 질염이 있을 경우 질점막의 염증과 부종으로 인해 점막의 융기서 병변들이 관찰될 수 있습니다. 의심되는 성관계가 있었고 전형적인 사마귀 양상의 병변이라면 곤지름을 의심해 볼 수 있지만 현재로써는 질염의 의한 점막 변화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질염을 먼저 치료하시고 점막 병변의 변화에 따라 추가적인 검사를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비뇨의학과
22일 전 작성 됨
Q.
성기 기둥에 검은색 점 같은 형태가 생겼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래 내과 전문의입니다.올려주신 사진상 작은 융기성 형태의 색소 침착이 관찰되어 단순 모반(점) 가능성이 높습니다. 헤르페스에서 관찰되는 수포성 병변이나 곤지름 등에서 관찰되는 사마귀 양상은 병변이 아니므로 성매개 피부 질환 등으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증상이 없고 크기나 모양의 변화가 없다면 별다른 치료 없이 경과 관찰이 가능합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병변의 변화가 나타나는지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2일 전 작성 됨
Q.
무선치료부터해야하는지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래 내과 전문의입니다.현재 복용 중인 약물에 의한 이상 반응이 아니라면 구역감과 위통이 있다면 우선 소화기 질환에 대한 감별이 필요합니다. 위염이나 식도염,위궤양과 같은 위장관 질환이나 담도,췌장 질환이 있을 경우 위와 같은 증상이 발생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진료가 필요하며 상부 위장관 내시경이나 복부 초음파 검사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화기내과 내원하여 진료를 보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부족한 답변이지만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피부과
22일 전 작성 됨
Q.
모낭염에는 굳이 연고를 안발라도 자연스레 치유가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창래 내과 전문의입니다.모낭염은 모낭의 입구가 노폐물로 인해 막히게 되면 세균이 증식하면서 염증이 발생하고 농포가 형성되게 됩니다. 작은 모낭염의 경우 노폐물이 제거가 되고 시간이 지나면 농포가 터지면서 호전이 되는 저절로 호전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모낭염과 같은 국소 염증의 경우 연고를 바르더라도 병변까지 흡수가 잘 되지 않아 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모낭염이 심한 경우에는 경구 항생제 복용이 필요하며 모낭염의 경우 피부 손상을 크게 유발하지 않아 말씀하신 것과 같이 흉터가 남는 경우는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비인후과
22일 전 작성 됨
Q.
귀 뒤에서는 왜 냄새가 더 많이 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창래 내과 전문의입니다.귀 뒷부분은 피지선이 많이 분비하고 있으며 머리카락과 귀의 해부학적 구조로 인해 습하고 노폐물이 잘 제거되지 않는 부위로 세균 증식이 이루어지기 쉬운 환경입니다. 세균이 증식하면 노폐물과 함께 혼합되어 좋지 않은 냄새가 나게 됩니다. 따라서 상기 부위는 세안이나 샤워를 할 때 신경을 써서 세척을 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2일 전 작성 됨
Q.
5달 정도 계속해서 편두통 치료를 받고 있는데 갑자기 편두통이 사라졌어요
안녕하세요. 김창래 내과 전문의입니다.만성 편두통에서 경구 약물 치료에도 편두통의 재발이 자주 있을 경우 항CGRP 항체 주사를 사용해 볼 수 있습니다. 아조비와 같은 주사제재가 이러한 성분인데 약제의 특성상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1주일 이상 소요될 수 있습니다. 1개월 간격으로 보통 접종을 하게 되는데 편두통이 조절되면 접종 간격을 점차 늘리게 됩니다. 두통이 호전이 되었던 것은 약물에 의한 효과로 판단되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담당의와 상의하여 지속적인 치료를 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피부과
22일 전 작성 됨
Q.
전신두드러기가 생겨서 치료받고 알레르기검사결과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창래 내과 전문의입니다.올려주신 사진을 보면 MAST 라고 불리는 알러지 혈액검사를 시행하신 것으로 보입니다. MAST 검사는 108종의 알러지 항원에 대하여 알러지 반응이 있는지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모든 알러지 항원에 대한 검사는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빈도가 가장 많은 알러지 항원 108종에 대한 검사를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검사 결과지를 보면 이러한 108종 항원에 대한 알러지 원인 항원이 없어 이러한 경우 특발성 두드러기라고 진단하게 됩니다. 스트레스로 인해 두드러기가 발생하였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108종에 해당하지 않는 알러지 항원에 감작되어 있다고 판단하게 됩니다. 이러한 경우 경구 항히스타민제를 포함한 약물 치료를 장기간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아나필락시스가 유발되는 경우는 흔하지 않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2일 전 작성 됨
Q.
뒷종아리 아랫부분이 약간 저리는 듯한 느낌
안녕하세요. 김창래 내과 전문의입니다.종아리 아랫부분이 저리는 듯한 느낌이 있다면 종아리 근육의 문제와 신경통을 감별해야 합니다. 통증 부위를 눌렀을 때 통증,즉 압통이 발생한다면 종아리 근육 염좌와 같은 근골겨계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만약 눌렀을 때 통증이 없다면 요추 추간판 탈출증이나 하지로 통하는 신경의 압박 또는 종아리 혈관의 순환 장애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러한 질환에 대한 감별이 필요함을 고려하여 정형외과 진료를 보시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46
47
48
49
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