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현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태 전문가입니다.
김현태 전문가
보건복지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정형외과
3개월 전 작성 됨
Q.
대형병원 수술 시기를 5개월후 잡아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수술을 고려하고 계시다면 적어도 세곳이상의 병원에 방문하셔서 진료를 받아보시도, 수술 시기는 여러가지를 고려하여 가능하실 때 하시는 것이 좋겠지만, 오래 대기를 하셔야 하는 경우 회복 및 재활기간도 있으므로 반드시 대학병원이 아닌 다른 병원에서 수술을 하시는 방법도 고려해보시면 좋겠습니다.
재활·물리치료
3개월 전 작성 됨
Q.
이상근증후군 체조를 보통 얼마다해야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스트레칭은 대략 일주일 이상은 시행하시는 것이 어느정도의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적어도 주에 3-4회이상 꾸준하게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정형외과
3개월 전 작성 됨
Q.
발가락 골절 수술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수술은 적어도 세곳이상의 병원에 방문하셔서 진료를 받아보신 이후에 결정을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골절이 발생한 이후 뼈의 위치가 쥐틀어지거나 골절의 정도가 심한 경우, 혹은 보존적 치료가 효과가 없는 경우에는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정형외과
3개월 전 작성 됨
Q.
현관에 뭐 좀 주으려고 했다가 물통에 갈비뼈를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갈비뼈 골절이 발생하는 경우 지속적인 통증과 열감, 숨을 쉬기 힘들거나 몸을 움직일 때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단순 타작상일 가능성이 높지만 점차 증상이 심해진다면 병원진료를 추천드립니다.
정형외과
3개월 전 작성 됨
Q.
의사 선생님들 답변이 필요합니다 도와주세요ㅠㅠ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염증이 지속되어 불편감이 있으신 상태로 보이는데요, 가능하시다면 전문의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손의 움직임이 자극이 되지 않도록 사용을 제한하시고, 열감이 있는 경우 아이스팩을 조금씩 적용하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정형외과
3개월 전 작성 됨
Q.
다리가 절이고 따가운 느낌이 나는거같아요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따갑거나 저린 느낌은 신경이 자극되거나 염증이나 부상이 있는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데요, 증상이 지속되거나 반복되어 나타나신다면 병원에 방문을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정형외과
3개월 전 작성 됨
Q.
손목 TFCC 만성 치료 프롤로 주사 효과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TFCC 부상으로 보존적인 치료를 도려하고 계시다면, 주사치료는 통증완화와 기능개선에 믾은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치료 뿐 아니라 적절한 재활과 치료기간동안 손목에 부담이 가지 않도록 꾸준한 관리를 해주시는 것이 회복에 많은 도움과 재발을 방지하실 수 있습니다.TFCC의 부상은 재발이 많고 통증이 만성적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가능한 치료 방법에 대한 정보와 치료기간에 대해서는 대면진료를 통해 전문의에게 들어보시는 것이 가장좋겠습니다.
재활·물리치료
3개월 전 작성 됨
Q.
목이 뻐근할때 스트레칭과 관련해서요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일시적으로 도움이 죌 수 있지만, 자세 대선 및 증상완화를 위해서는 꾸준한 건강관리와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특히 일상생활이나 자세습관에서 목에 부담이가는 동작을 개선하고, 꾸준한 운동과 스트레칭 및 통증이 있는 경우에는 병원에서 원인에 대한 진단과 치료가 증상을 해결하는 것에 도움이 됩니다.
정형외과
3개월 전 작성 됨
Q.
이상근 증후군이 구체적으로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이상근 증후군은 좌골신경을 이상근이 압박하며 발생하는 증상으로, 엉치에서 다리 뒤쪽으로 저리고 쑤시는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고, 허리디스크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정형외과
3개월 전 작성 됨
Q.
골반틀어짐 미골 틀어짐이 심해서 발기부전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말씀해주신 발기부전의 원인과 관련해서는 일부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도 있지만, 조금 더 고려를 해봐야 하는 주제로 생각됩니다.발기부전은 말씀해주신 원인이외에도 심리적인 원인이나 신경, 혈관, 호르몬등의 다양한 요소에 의한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이에 대한 고민이 있으시다면 우선은 먼저 비뇨의학과나 신경과와 같은 진료과목에서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문제해결을 위해 더 좋은 방법으로 생각됩니다.
171
172
173
174
17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