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현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태 전문가입니다.
김현태 전문가
보건복지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정형외과
2개월 전 작성 됨
Q.
기존 질병과 상해가 혼합되여 언제부터 다리가 단축되었는지 명확히 모를 때에는 진단서상에 기록?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진단서 상 명확한 시기를 알 수 없는 경우에는 발병시점을 특정할 수 앖다는 문구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기존의 질병과 상해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이라면 그 시기를 특정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진단서와 같은 문서에는 명확한 시기를 알 수 없다는 사실을 기록하게 될 수 있습니다.자세한 사항에 관해서는 병원 진료시에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안내를 받아보시는 것이 정확합니다.
정형외과
2개월 전 작성 됨
Q.
척추관 협착증, 추간판 탈출증, 미란성 특발성 과다골화증, 좌측 아킬레스건 파열, 좌측 오금근 파열로 인한 다리길이가 단축 될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말씀해주신 질병으로 인해서 신체의 보상적인 움직임이나 근육의 불균형 또는 체형변화에 의해 기능적인 다리길이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그러나, 뼈의 길이가 실제로 차이가 나는 구조적인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을 갓으로 보입니다.
정형외과
2개월 전 작성 됨
Q.
한쪽다리가 약간의 단축으로 깔창을 깔고 보행하는데요. 깔창의 효과를 보려면 착용방법이 따로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깔창을 착용하는 것에 특별한 방법은 없습니다. 다만, 사용자의 발 크기와 목적에 맞는 깔창을 착용하는 것이 좋기 때문에, 맞춤형 깔창을 제작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정형외과
2개월 전 작성 됨
Q.
단축다리 보전적 치료를 하려면 어떤치료가 가장 적합한 치료가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구조적인 다리길이 차이를 수술적 치료없이 보존적인 치료로 관리 하기 위한 것은 보조기나 깔창등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체형변화나 근육불균형등의 기능적인 변화가 아니라면 보존적인 치료를 통해서 다리길이를 회복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보조기나 깔창응 사용하거나 물리치료 또는 운동을 통해 관리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정형외과
2개월 전 작성 됨
Q.
새끼 발가락 꺾엿는데 좀 부운 것 같은데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아이스팩을 적용해주시고 안정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대나 관절에 부상이 발생하고나 타박으로 인해 염증반응이 나타날 수 있는데요, 급성기에는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대처를 해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증상이 심해지거나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병원에 방문을 하셔서 진료를 받아보시도, 소견에 따른 조치를 취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316
317
318
319
3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