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10년전에비해 요즘*임신) 시험관시술 기술이 더 좋아졌나요?
안녕하세요. 박성민 의사입니다. 최근 10년 동안 시험관 시술 기술은 크게 발전했어요. 우선, 배아를 선택하고 배양하는 기술이 향상되면서 성공률이 전반적으로 높아졌습니다. 특히, 유전적 검사를 통해 건강한 배아를 선택하는 기술이 발달해 임신 성공률을 더 높게 하고 있어요. 또한, 배아를 냉동하는 기술도 개선되어, 나중에 사용할 수 있도록 배아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이 외에도 호르몬 치료 방법이나 개인 맞춤형 치료 계획을 통해 다른 치료와 병행함으로써 개별 환자의 상태에 맞춘 접근이 가능해졌어요. 물론, 임신과 관련한 모든 과정은 각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전개될 수 있으니, 전문의와 상담하여 최적의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해요.
신경과·신경외과
Q. 오십견의 발병하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성민 의사입니다. 오십견이라는 이름은 주로 50대 이상에서 많이 발생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에요. 이 병은 어깨의 움직임이 제한되고 통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의학적으로는 '유착성 관절낭염'이라고도 불려요. 주된 원인은 어깨 관절을 둘러싼 조직의 염증이나 상처 때문에 조직이 두꺼워져서 어깨 움직임이 제한되는 것이에요. 노화와 관련된 경우가 많긴 하지만, 당뇨병이나 갑상선 질환 같은 대사성 질환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어요. 알 수 없는 이유로 발생하는 경우도 많은데, 갑작스럽게 운동을 멈추거나 외상 후에 생기기도 해요. 어깨를 꾸준히 움직여주는 것이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고, 초기에는 물리치료나 운동이 효과적이에요.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약물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어요. 병원에서 자세한 진단과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아요. 어깨 통증이 지속되면 병원을 방문해보세요, 도움을 드릴 수 있을 거예요.
Q. 당뇨 판정 후 공복혈당 88 저혈당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성민 의사입니다. 아버님께서 당뇨 판정을 받으셨고 현재 약물로 관리 중이시군요. 공복 혈당이 88이라면 저혈당으로 볼 수는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공복 혈당은 70-100이 정상 범주로 여겨지며, 70 이하일 때 저혈당으로 간주합니다. 아버님께서 현재 약물로 당뇨를 관리하고 계시기에 약이나 식사 조절로 인해 혈당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혈당이 88이라면 저혈당 증상은 없을 가능성이 큽니다. 만약 어지러움, 떨림, 식은땀 등의 저혈당 증상이 나타난다면 조금 더 주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아버님께서 혈당을 잘 유지하실 수 있도록 규칙적인 식사와 운동, 그리고 정기적인 혈당 체크를 권장드립니다. 당뇨가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질환인 만큼 꾸준한 관심과 관리가 중요해요.
Q. 자고 일어나면 목이 아프고 건조한것 같은데요.제 수면 습관에 문제가 있을까요. 해결 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성민 의사입니다. 아침마다 목이 아프고 건조하게 느껴진다면 몇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어요. 수면 중 입을 벌리고 자는 경우 공기가 목을 통과하면서 건조해지기 쉬운데, 이로 인해 목이 아플 수도 있어요. 또한, 수면 중 코가 막혀서 입으로 숨을 쉬게 되는 경우에도 비슷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방 안이 너무 건조하거나 온도가 높으면 목 건조를 유발할 수 있어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면 방 안의 습도를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해주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어요. 가습기를 사용하거나 물을 담은 그릇을 방에 놓아두는 방법이 있어요. 또한, 잠자리 자세를 조절해보고, 코막힘이 있는 경우에는 코 전용 스프레이 등을 사용해보는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어요. 자기 전에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하는 것도 도움이 되니 참고해 주세요. 이러한 방법으로 개선되지 않거나 증상이 지속된다면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한 수면 환경을 만드는 데 집중해 보세요.
Q. 2층침대에서 사다리 내려오다가 떨어졌는데요
안녕하세요. 박성민 의사입니다. 2층 침대에서 떨어질 때 팔꿈치를 세게 부딪혀서 걱정이 많을 것 같아요. 지금 설명해주신 증상으로 봤을 때, 팔꿈치를 움직이거나 닿을 때 통증이 있다면 타박상이나 염좌가 있을 수 있어요. 다행히 팔에 외부적인 부종이나 심한 멍이 없다면 심각한 부상은 아닐 가능성이 높지만, 통증이 계속되면 병원에 가서 확인해보는 게 좋아요. 아이스 팩을 사용해 붓기를 줄이고, 팔을 가능하면 움직이지 않도록 쉬게 해주는 것이 좋겠어요. 또한 앞으로 며칠 동안 상태를 잘 관찰해보세요. 통증이 가라앉지 않거나 팔을 움직이기 어려운 경우는 병원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필요할 것 같아요. 괜찮아지길 바랄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