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협정관세 사후적용 신처 대상 확대가 수입기업에 미치는 실질적 편의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협정관세 사후적용 대상이 넓어지니까 예전엔 통관 시점에 원산지증명서가 없으면 그냥 일반세율로 확정돼서 끝나는 경우가 많았는데, 지금은 일정 요건만 맞으면 나중에라도 협정관세 적용 받아서 세금 돌려받을 수 있는 길이 열린 셈입니다. 특히 실무에서는 긴급수입이나 서류 지연 같은 상황이 흔하니까, 이 제도 덕분에 불가피하게 놓친 FTA 특혜도 사후에 챙길 수 있어서 부담이 확 줄었습니다. 통관 자체도 더 유연해지고, 수입 타이밍도 덜 조급해졌다는 얘기도 나옵니다.
Q. 풀필먼트 서비스에 대한 과세 논란이 무역기업에 어떤 부담을 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풀필먼트 서비스를 썼다고 해서 재고를 그냥 맡긴 수준인데, 과세 당국이 이걸 실질적인 판매 행위로 해석해버리면 기업 입장에선 세금 문제가 갑자기 튀어나올 수 있는 상황이 됩니다. 특히 해외에서 풀필먼트 창고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엔, 해당 국가에서 수입자로 간주돼버려서 예기치 않게 부가세나 관세를 내야 되는 리스크도 생기고요. 이게 쌓이면 가격 경쟁력도 떨어지고 세무조사 가능성도 열려버리니, 물류 효율화하자고 시작한 게 되레 통관 리스크로 번질 수도 있습니다.
Q. 성공적인 1인창업은 무엇무엇이 있나요? 영업을 따로 안해도 되는 그런거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영업 없이 수익 나오는 1인 창업이라면 블로그나 유튜브 같은 콘텐츠 기반, 스마트스토어나 쿠팡처럼 플랫폼에 입점하는 셀러, 혹은 전자책디지털 템플릿 파는 디지털 제품 쪽이 많습니다. 시작할 땐 자기 관심 분야랑 시장 수요를 먼저 좀 뜯어봐야 하고, 검색 노출이 핵심이라 키워드 잡는 연습이 꽤 중요합니다. 마케팅은 결국 콘텐츠가 다 하게 되니까 꾸준히 쌓고, 처음엔 수익보다 신뢰 얻는 게 먼저라는 생각으로 움직이는 게 오래 가는 비결입니다.
Q. 중국의 희토류가 무역전쟁의 무기가 되기도 하는 희토류는 어떤 물질이고 어디에 활용되나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희토류는 전기차 모터, 스마트폰, 반도체, 레이더, 심지어는 미사일 유도장치 같은 데도 들어가는 금속 원소들인데요, 겉보기엔 그냥 광물 같지만 첨단산업에서 빠질 수 없는 재료라서 좀 다르게 봐야 하는 자원입니다. 이게 중국에 대부분 매장돼 있고 생산도 거의 중국이 쥐고 있어서, 만약 중국이 수출을 조이면 다른 나라 제조라인이 멈춰버릴 수도 있는 구조라 무역전쟁에서도 카드로 쓰이는 겁니다. 그래서 희토류는 그냥 금속 자원이 아니라, 외교나 안보까지 얽히는 민감한 이슈로 다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Q. 자동차 관련 상호관세 FTA를 파기하겠다고 선언한 것에 대해 , 언론에서는 "잿빛전망"이라는데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잿빛전망이라는 말은 분위기 자체가 좀 어둡고 불확실하다는 걸 말하는데, 여기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자동차 관련 상호관세 fta를 파기하겠다고 나선 건 한국이나 다른 수출국 입장에서 통관 시 관세 특혜가 없어질 수 있으니, 당장 수출 경쟁력에 타격이 갈 수 있다는 우려가 섞인 표현입니다. 그러니까 잿빛전망이라는 말이 꼭 무조건 망한다 이런 건 아니고, 앞이 뿌옇고 예측이 어렵고 안 좋은 흐름으로 흘러갈 수도 있다는 해석에 가까운 표현입니다.
Q. 왜 코스피 5000을 만들려고 하는지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코스피 5000을 목표로 한다는 건 단순히 숫자 올리는 게 아니라 우리나라 경제 체질 자체를 바꾸겠단 의지랑 맞닿아 있는 이야기입니다. 기업들이 제대로 된 실적 내고, 투자자 신뢰도 올라가고, 정책적으로도 자본시장을 키우려는 방향이 있어야 가능한 수치입니다. 코스피 지수는 기업가치, 투자심리, 글로벌 자금 흐름 이런 게 다 얽혀있는 거라서 그냥 선언한다고 되는 게 아니고, 정부가 반도체나 2차전지 같은 주력산업 키우고 기업 규제 좀 풀면서 시장 매력도를 높이겠다는 뜻이 깔려 있는 겁니다. 이게 되면 외국인 자금도 들어오고, 국민 자산도 같이 커질 수 있으니까 자꾸 강조하는 분위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