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현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전문가입니다.

박현민 전문가
SEOULTECH
무역
무역 이미지
Q.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무역 정책 변화에 따른 대비 전략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관세 파고 올라올 때는 품목분류를 다시 캐고들어가 세율 낮은 부품으로 쪼개 보내거나 멕시코 공장서 마지막 조립해 USMCA 혜택 챙기는 라우팅이 먹힙니다 라벨원산지 표시도 미리 FDA, CBP 시스템에 디지털 전송해 통관 지체를 줄이고 현지 로펌 고용해 301조 면제 청원 넣는 작업까지 평행으로 돌려야 물량 끊기지 않습니다 또 이익률 잠식 막으려면 환헤지 옵션을 선물시장에 얇게 깔아 두고 미 관세법 321조 소액 배송이나 섹션 9801 재수입 면세 조항 활용해 리테일 주문은 절세 루트로 우회할 필요가 있습니다 대미 전담 CS팀을 꾸려 UL·FCC 같은 인증 서류를 사전에 리뉴얼하고 자가검사 결과를 블록체인 형태로 바이어랑 공유해 컴플라이언스 리스크를 낮추는 것도 요즘 흐름입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지금 대선 기간인데 코인이 왜 이렇게 하락세죠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대선 막판이라 정책 리스크 변수 커지니 외국 자금이 차익 챙겨 빠져나가고, 한미 금리 격차에 달러 강세 붙어 스테이블코인 환전 수요가 꺾이면서 시세가 축 처졌다는 얘기가 돌고 있습니다. 후보마다 가상자산 과세 유예, 거래소 라이선스 손질 같은 공약이 엇갈려 룰이 어떻게 바뀔지 모르겠다는 불안이 당장은 악재로 작용했고, 위믹스 재상장 논란해킹 소동까지 겹치며 호재 자금이 옮겨가는 분위기입니다. 미국 CPI 발표를 앞두고 비트 ETF 자금도 관망 모드라 유동성이 얇아져 손절 연쇄가 더 깊어졌고, 테마주 쪽은 정책 기대감이 선반영돼 코인과 상반된 흐름을 보인다는 분석이 우세한 상황입니다.
무역
무역 이미지
Q.  무역 분쟁이 발생했을 때 활용가능한 국제 분쟁 해결 매커니즘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기업 대 바이어 다툼이면 정부끼리 싸우는 WTO 절차는 그림 밖이고, 계약서 속 중재조항 따라 ICC‧KCAB‧SIAC 같은 상사중재가 실무에서 몸값 합니다. 뉴욕협약 힘으로 170여 개국에서 판정 강제집행이 먹혀서 판결 들고 법원 뺑뺑이 안 돌아도 되고, ICC는 영어 절차라 외국 바이어 설득이 수월, KCAB은 값이 착하고 한국 법원 지원까지 받아 편합니다. SIAC은 긴급중재 제도가 있어 선적 막혔을 때 며칠 만에 가처분 뽑아내는 사례가 종종 나오고요. 만약 중재기관을 안 박아 놨다면 UNCITRAL 규칙+서울이나 싱가포르 같은 중립지 지정만으로도 안전판 깔리니 협상 테이블에서 조건 카드로 꺼내 두시면 좋습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이더리움이 계속 좋지않다가 요 근래에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이더는 상반기 내내 기운 빠졌다 ETF 승인 기대감이랑 댄쿤 업그레이드로 수수료 훅 낮아지고 스테이킹 보상까지 붙어 자금이 다시 몰렸습니다. L2 호평 덕에 가스 부담 줄어 개인 투자 심리도 살아났습니다. 반면 솔라나는 지난달 두 번이나 네트워크 멈춘 데다 밈코인 광풍 끝물로 DEX 거래량이 뚝 끊겨 버렸고 연말 대규모 락업 해제, 미국 증권성 조사설까지 겹쳐 고래들이 포지션을 축소해 거래소 재고만 불어나 탄력이 죽어 있습니다. 거기다 수수료 튀는 현상과 개발자 컨퍼런스 일정 연기 소문까지 돌며 거시적 훈풍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무역
무역 이미지
Q.  미-대만 무역협정 체결이 동아시아 무역 환경에 어떤 변화를 줄까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미대만 무역협정으로 미국은 대만산 칩 공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대만 기업은 세제검역 절차 완화 혜택까지 얻어 현지 투자 속도를 더 끌어올리는 그림입니다. 한국 업체 입장에선 파운드리후공정 라인 미국 이전이 가속돼 부품 단가 경쟁이 거세지지만, 동시에 텍사스 TSMC 공장에 소재 납품하던 국내 화학사처럼 미국 조달규정이 단순화돼 계약통관 리드타임이 이틀 이상 단축되는 기회도 생깁니다. 따라서 생산 일부를 미국으로 돌리거나 대만 파트너와 공동 R&D 계약을 새로 짜며 지재권원자재 가격 조정 조항을 강화해두는 실무 조정이 요구됩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비트코인은 희소성 때문에 상승하는데 알트코인은 왜 상승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알트코인은 희소성보단 스토리텔링 힘이 큽니다, 새 메인넷 오픈이니 디파이 보상률 20퍼니 이런 소식 한 줄이면 매수 버튼이 우르르 눌려 유동성이 쏠립니다. 유명 거래소 상장 직후 유통량이 잠시 묶이고, 스테이킹 이자랑 토큰 소각이 겹치면 공급이 순간 조여져 값이 들썩입니다. 이더리움 가스비 절감 업데이트처럼 체감 혁신이 확인되면 기관 자금까지 숨어들어 더 밀어 올리지만, 개발 지연이나 보안 사고 한 방이면 순식간에 미끄러지니 백서 로드맵 살펴보고 포트폴리오 분산해 두는 게 안전합니다.
무역
무역 이미지
Q.  세계 최대 해양 물류가 있는 나라는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해운 물류 판도 얘기할 때 제일 먼저 튀어나오는 나라는 단연 중국입니다. 상하이항이 한 해 5천만 TEU 넘겨서 부산싱가포르 합친 것에 맞먹고, 그 옆에 닝보저산선전칭다오까지 줄줄이 메가포트가 포진해 내륙 공단 물량을 바로 빨아들입니다. 중앙지방 정부가 철도와 내륙수운을 항만 뒤에 촘촘히 붙여 물류비를 확 깎은 덕에 화물이 끊이지 않고, 컨테이너 회전율도 빨라서 글로벌 선사들이 항차 편성할 때 중국을 기점으로 돌아가는 구조가 굳어졌습니다. 우리 부산광양도 자동화 설비로 치고 올라가지만 환적 화물 비중이 높고 배후 산업 덩치 차이가 커서 절대치 격차는 당분간 유지될 가능성이 큽니다.
무역
무역 이미지
Q.  트럼프의 관세 전쟁은 조만간 끝날거라고 보면 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법원이 대통령 권한 남용이라 선을 그었어도 트럼프 행정부가 항소 카드부터 꺼내면 판결 확정까지 몇 달 더 끌고 갑니다. 무역대표부가 301조 같은 다른 통상 무기도 쥐고 있어 협상 압박은 계속될 공산이 크고, 상대국도 맞대응 관세를 거둬들이려면 미국 내부 절차 종료 신호부터 확인해야 움직일 겁니다. 철강알루미늄 232조 관세는 별도라 영향이 제한적이며, 대선 국면에서 보호무역 깃발을 흔들 정치적 계산도 여전합니다. 우리 기업들은 잠정 유예를 핑계 삼아 재고 조정과 공급망 다변화 속도를 올리지만, 솔직히 시장에선 아직 끝난 싸움 아니라는 소리가 큽니다.
무역
무역 이미지
Q.  전자상거래 특송물품의 신속통관 보안문제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특송 물량 쏟아지면서 자동 분류 라인에 가짜 송장 붙은 위험물이나 배터리 감춰 들어오는 경우 많고, CBP 데이터 연동 구멍 뚫리면 개인 정보랑 카드 번호 털릴 위험도 따라옵니다. 배송시간 단축하려 운송사 내부 검수 단계 슬쩍 생략해 알바가 맨손으로 리튬팩 던지다 화재 터진 사례도 있었고, AI 스캐너가 놓친 생화육가공품이 검역 없이 풀리면 전염병 번질 위험 크며, 가치 축소 신고로 세금 빠지면 국고 손실이라 관세청이 블록체인 추적실명 인증 강화 작업 서두르는 상황입니다. 또 해외 플랫폼 통관 정보 송신 포맷 제각각이라 입력 오류 생기면 수출국과 수입국 데이터 맞지 않아 물건이 공항 창고에서 길게 묶이며 도난 우려도 커집니다.
무역
무역 이미지
Q.  미국 트럼프 2기를 시작으로 관세전쟁이 크게 이슈화 되어 있고 정책방향을 변경하여 상호관세로 끌고 가고 있는데, 각 나라별로 어떤 부분에서 긍정과 부정의 효과가 나타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미국은 관세 올려서 국내 공장에 숨 좀 불어넣고 일자리 늘었다며 웃지만 수입 부품값이 같이 뛰어 완성품 가격도 올라 소비자 불만 터집니다. 중국은 대미 수출 막힌 대신 내수와 아세안 시장으로 돌려서 밸류체인 재배치 중이고, 덕분에 베트남멕시코가 생산 이전 특수로 공단이 들썩이며 설비투자 몰립니다. 독일한국 같은 중간재 강국은 자동차배터리 부품에 관세 이중충격 맞아 수출 압박 크지만 일부 미국 업체가 중국 대신 발주 옮겨와 거래선 다변화 기회도 잡습니다. 관세 맞불 구도 탓에 글로벌 물류비 뛰고 환율 변동성 커졌다는 점은 공통된 부담으로 작용해, 수입 의존 높은 나라일수록 물가 압력을 더 세게 체감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1111121131141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