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배현홍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전문가입니다.
배현홍 전문가
이상그룹 경영기획실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자산관리
16일 전 작성 됨
Q.
당정에서 우리나라 대주주 기준을 50억원에서 10억원으로 하향 조정시 주식 시장반응은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과거 코로나때도 10억원으로 낮추면서 국내 시장에서 수급적으로 악영향을 미치며 약세를 기록했던 사례가 있습니다. 윤석열정부때 이미 10억원에서 상향했던것이며 과거에도 해당 이슈로 인하여 하반기부터 10억원이라는 다소 낮은 금액으로 일반 개인들도 일종의 특수인관계까지 묶이다보니 해당되는 경우가 많았고 이러한 개인들이 매물이 4분기에 대거 쏟아지게 되면서 증시 약세를 기록했던 대표적인 원인이었습니다. 즉 해당 만약 하향할경우 한차례 투심을 약화시켜 약세를 기록한 이후에 올해는 증시가 크게 상승을 했기 때문에 하반기에 해당되는 개인들이 많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과거 2021년에도 이런 사례가 많으면서 4분기 이후 증시 약세의 대표적인원인이었기 때문에 해당 이슈는 결국 주가지수에 악영향을 미칠수밖에 없습니다
주식·가상화폐
16일 전 작성 됨
Q.
보유중인 코인 혹은 주식 가격이 올라 매도했는데 가격이 말도안되게 더 오르는 경우 있잖아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시가총액이 작고 거래량이 평소 1억미만내외로 나오는 종목들은 가격이 크게 급등할 요인이 간혹 생깁니다. 왜냐하면 과거 영화나 드라마에서 흔히 볼 수 있듯이 흔히 이렇게 시총이 작고 평소 거래량이 작은 종목들은 몇십억의 자금만 있으면 몇배이상 가격을 급등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평소 거래량이 1억미만내외이고 유통주식수만 포함된 시가총액이 100억내외라고 한다면 보유자금으로 몇십억으로 엄청나게 가격이 올르게하는건 한번에 매집하게 되면 가격이 오를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시나리오입니다
주식·가상화폐
16일 전 작성 됨
Q.
이거 혹시 초기 투자금이 적어서 그런 건가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1500원의 시드머니로 3.47%상승하셨으면 수익률을 계산하시면 100원도 안나오는게 맞습니다. 1500원의 3.47%의수익률은 52원정도입니다. 초기투자금이 적어서 그런게 맞습니다. 1500원시드머니는 2배라고 하셔도 1500원의 수익밖에 나지않습니다
경제동향
16일 전 작성 됨
Q.
국내 에이아이 경쟁이 격화되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AI 에이전트가 시대가 본격적으로 등장하면서 올해부터 이들과 관련된 미국이나 중국등의 스타트업들이 매출이나 기업가치가 크게 오르고 있는 상황입니다. 즉 본격적으로 소비자들이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온서비스 AI를 통해서 피지컬 AI로 접어드는 즉 자율주행과 로봇과 결합된다면 미리부터 준비한 업체들이 선점하게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최소한 네이버나 카카오는 국내부문에서는 글로벌빅테크와의 경쟁이 될 수 있을정도는 되어야 하기 때문에 투자를 집행하고 있는보이며 실질적으로 네이버는 이미 작년부터 AI관련된 투자를 전면적으로 하고 있는 기업중 하나입니다
경제동향
16일 전 작성 됨
Q.
삼성전자와 테슬라 반도체 공급계약의 의미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과거 9만전자를 강하게 돌파했던 이슈가 바로 파운드리 때문입니다. 삼성전자가 그동안 투자를 했던 HBM사업부를 포기시점이 2020년 이후이며 이때 해당 투자재원으로 본격적으로 진출한게 선단공정 파운드리였으며 당시 GAA라는 공법으로 TSMC를 따라잡겠다는 포부를 세웠던것입니다. 즉 이런 기대감이 작용되면서 2021년 9만원을 넘어서면서 사상최고가를 기록했던것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23년도 퀄컴과의 계약건에서 AP부분에서 발열이슈가 발생되면서 당시 갤럭시에도 발열로 시장에서 이슈가 되었고 이는 결국 파운드리 설계자체가 잘못되었고 수율도 낮으면서 가치가 절하되기 시작하였으며 이런 이슈로 퀄컴과의 수주도 더이상 발생되지 않고 TSMC로 옮겨갔으며 최근에는 삼성내 시스템 LSI사업부도 삼성의 파운드리가 아니라 TSMC에게 일부 위탁할정도로 심각한 상황이었던것입니다. 그러면서 작년도부터 올해까지 매년 수조원단위이상의 적자를 기록할정도로 과거에는 밸류에이션 할증요소였지만 지금은 오히려 할인요소로 주가의 발목을 잡는요소로 작동하고 있던것입니다.그런데 이번에 테슬라와의 23조계약은 매우 의미있는 계약이며 이는 삼성전자의 파운드리에 있어서 가장 규모가 있고 빅테크로부터 수주를 받았던 점에서 주목을 해야하며 그리고 오스틴공장이 그동안 발목을 잡고 있었는데 이부분에서 계약이 이루어지면서 적자가 아니라 앞으로 흑자 이익개선이 될 수 있는 요소로 잡았다는 점에서 재평가를 받을 요소로 작동할것으로 보입니다 거기다가 앞으로 수율이 잘나오고 해당 AI6 도조칩이 잘 나오게된다면 다른 AMD와 같은 빅테크로부터 수주를 받을 수 있다는점에서 이는 삼성전자의 구조적인 밸류에이션 할증요소로 보이며 결국 실제 수율과 어떻게 나오는지 그리고 추가적인 수주가 본격또 나오게 된다면 10만원도 돌파가능하다고 보입니다
121
122
123
124
1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