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배현홍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전문가입니다.
배현홍 전문가
이상그룹 경영기획실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경제동향
16일 전 작성 됨
Q.
파운드리를 삼x에서 수주한 것이 어떤 의미를 가질까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2021년도에 삼성전자가 9만전자로 갔던 이유는 파운드리 기대감때문이었습니다. GAA라는 공법으로 본격적으로 파운드리에 엄청난 투자를 예고햇었고 이로 인해서 HBM쪽의 투자집행을 줄이고 선단공정의 파운드리로 전략적으로 투자한것입니다. 그러면서 국내와 미국의 텍사스오스틴공장에서 천문학적인 투자를 하였으며 오스틴공장까지 완공했으나 기대와는 달리 빅테크의 수주는 전혀없었고 오히려 23년도경쯤 퀄컴의 수주한 AP칩이 발열이슈로 인해서 TSMC로 뺏기거나 얼마전에 자사의 갤럭시 AP칩도 TSMC에게 맡기는등 오히려 주가의 가격을 올리는게 주가의 할인요소로 작동한것입니다 그리고 작년과 올해에도 수조원의 적자를 기록할정도로 심각한 상황이었으며 TSMC의 점유율만 올라가며 경쟁자로의 모습이 완전히 사라진것입니다.그런데 이번에 테슬라의 AI6칩은 차세대 칩이며 테슬라의 AI도조와 관련된 메인칩이며 여기에 대한 수주는 트랙레코드로서 향후 미국의 AMD나 다른 빅테크로 수주가능성 열어두게 된것이며 이는 향후 파운드리가 주가의 할인이 아니라 밸류업프리미엄으로 작동될 수 있는 주가의 핵심키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경제동향
16일 전 작성 됨
Q.
오늘 오랜만에 삼성전자의 주식가격이 7만전자가 되었네요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테슬라의 차세대 칩 AI5를 넘어선 AI6칩을 삼성전자가 어제 23조원 규모에 달하는 파운드리 수주계약을 체결했기 때문입니다. 파운드리에서 그동안 몇조원에 분기에 달하는 적자와 TSMC로 부터 지속적으로 밀리면서 주가의 발목을 잡았는데 어제 일론머스크가 직접적으로 언급하면서 시장에서 해당 뉴스가 나오면서 삼성전자가 크게 폭등을 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16일 전 작성 됨
Q.
비트코인은 누가 가격을 결정하나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주식이나 코인이나 누가 가격을 정해서 올리는게 아닙니다. 간단하게 말씀하신 질문자께서 100억원이 있다는 가정하게 현재 업비트나 빗썸에 가셔서 10억을 시장가로 매수하면 가격이 올라가게 됩니다.즉 주식이나 코인은 실시간으로 거래되기 때문에 현재의 호가에 따른 수요와 공급에따라서 가격이 결정되는것이지 어떤 매커니즘에 의해서 가격이 자동으로 왓다갓다하는게 아닙니다. 예를들어 아무도 거래를 하지 않는다면 가격은 고정되는 구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16일 전 작성 됨
Q.
주식에서 급매물에 대해서 좀 알고 싶어서 여쭤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주식에서 보통 급매물의 성격은 추정으로 아는것이지 명확하게 알 수 없습니다 그 이유는 부동산과 다르게 실시간으로 거래대금 하루에 몇십조원이 거래되기 때문입니다. 다만 주식은 다른 자산과 다르게 신용매물이라는게 있습니다. 이말은 주식을 담보로 90일이내에 갚아야할 주식담보대출이 가능하며 또는 미수거래라고해서 체결일 이후 D+2일에 자금이 결제되기 때문에 보통 증거금비율 40%이내범위로 해서 미수거래를 통한 레버리지거래가 가능합니다 바로 이런 청산매물이 나올때가 주식이나 주가지수가 급락하게 됩니다 즉 단순히 급매물이 나와서 주식이 하락하기보다는 가장 주가가 크게 폭락하는것은 일차적으로 악재가 나와서 그동안 이익을 본 투자자들이 익절 매물이 증가하면서 주가가 하락하고 또 일부는 기관이나 외국인이나 추가적인 하락위험을 막고자 리스크차원에서 매도를 할때가 있습니다 이렇게 특정구간에서 하락지점을 넘어갈때 신용거래를 통한 매매자들의 청산 매물이 나올 수 있습니다. 즉 주식의 가격이 하락하게되면 담보가치가 하락하게되고 이는 추가적으로 증거금을 납부해야하는데 증거금이 없다보니 증권사에서 강제적으로 매도를 하게되고 이럴 경우 강제적으로 가격에 상관없이 하한가로 전량던지기 때문에 시스템으로 급락이 일어나게 되는것입니다
주식·가상화폐
16일 전 작성 됨
Q.
코인, 주식 손실이 나면 왜 복구하려고 무리한 매매를 하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이성적인 요소가 감정적인 부분에 더 휘둘리기 때문입니다 사람은 항상 합리적이지 않습니다. 기본적으로 사람은 손실회피성향이 매우 강하지만 반대로 확정손실이 발생하게 될경우 그동안의 보상심리가 반대로 작동하게 되면서 한번에 메꾸려고 하는 일종의 도박심리 비슷하게 생기게 됩니다. 이렇게 될경우 합리적이고 이성적으로 보기보다는 감정적인 부분에 휘둘리게 되고 단기매매로 한번에 메꿀수 있다는 감정에 지배당하면서 무리한 매매를 하게 되는경우가 많습니다. 즉 이런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강제적으로 어느정도 마음을 진정하고 이성과 합리적으로 매매를 하도록 한동안 매매를 하지 않고 환경조성을 하는게 매우 중요합니다
126
127
128
129
13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