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현대백화점의 주가가 계속 상승하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현대백화점 주가 상승의 가장 강력한 동력은 면세사업의 급속한 정상화입니다. 코로나19로 중단되었던 중국인 관광객이 본격 복귀하면서 동대문 면세점과 무역센터점 면세사업이 빠르게 회복되고 있습니다. 2024년 들어 중국인 방한 관광객이 전년 대비 급격히 증가했고, 이는 현대백화점의 면세매출 직접 증대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거기다 현대백화점이 보유한 프리미엄 상업용 부동산의 가치 재평가가 주가 상승의 중요한 구조적 요인입니다. 압구정본점, 무역센터점, 천호점 등 핵심 상권의 부동산 가치는 장부가 대비 상당한 가치를 보유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프리미엄 아울렛 사업의 활성화와 더현대의 매출과 인지도 상승도 주가의 견인을 하고 있으며 거기다가 지주사 전환을 통한 각 사업부문의 가치 명확화와 독립적 성장 추구가 시장에서 기업가치 재평가의 요인으로 현재의 거버넌스와 트렌드에 부합하면서 주가가 크게 상승하고 있는것입니다.
Q. 고령화 사회소비 구조 변화에 대한 대책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고령화로 인한 소비 변화는 단순한 양적 감소가 아닌 질적 구조 전환의 성격을 갖습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60대 이상 가구는 의료비 지출이 전체 소비의 15-20%를 차지하는 반면, 20-30대는 3-5%에 불과합니다. 더 중요한 것은 소비 승수효과의 차이입니다.청년층의 소비는 다양한 산업과 연관되어 높은 승수효과를 갖지만, 고령층의 의료·요양 소비는 특정 분야에 집중되어 경제 전체로의 파급효과가 제한적입니다. 이는 내수 경제의 역동성 저하로 이어져 전체적인 경제 활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됩니다. 특히 이로 인해서 생산가능인구 감소와 저축률 하락 생산성증가율이 둔화되는 문제를 갖게 되면서 잠재성장률을 떨어뜨리게 되며 특히 고령화는 지출 급증과 세수 감소라는 이중고를 가져옵니다. 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지출이 빠르게 증가하는 반면, 생산가능인구 감소로 세금 납부자는 줄어들어 재정 건전성이 급속히 악화될 위험이 높습니다. 결국 이는 AI와 로봇 자동화로 인한 4차산업혁명으로 극복해야될 이슈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