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1년 근무 후 신고를 고려 중이며, 그때 법적으로 불이익이 없고 보호를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하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현재 이런 상황에서 1년 근무 후 주휴수당,4대 보험 미가입 등에 대해 신고하더라도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나요?5 인 미만 사업장이라 하더라도 주휴수당 미지급에 따른 임금체불 사대보험 미가입 근로계약서 미작성 등은 노동청에 신고 가능합니다고용보험 소급 가입이 가능하며, 이 경우 실업급여 신청이 가능한가요?근로복지공단에 신청하여 소급 가입이 가능하며 다만 소급 보험료를 사용자가 모두 납부하고 사용자는 근로자 부담분을 근로자에게 요청하게 됩니다. 또한 사용자에게는 과태료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렇게 소급 보험료를 납부하게 되면은 실업급여 신청이 가능해집니다.근로계약서 미교부, 급여명세서 미제공도 신고 사유가 되며, 제게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나요?근로계약서 미교부 급여 명세서 미제공 또 다. 각각의 법률에 따라서 신고 시 벌금 및 과태료가 사용자에게 발생하며 이 사안에 대해서 사용자에게는 불리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근로자는 이를 이용하여 합의를 할 수도 있습니다지금 당장은 일을 그만둘 수 없어 보류 중인데, 향후 신고 시점까지 음성녹취나 자료들을 모아두면 증거로 인정될 수 있나요?- 증거를 최대한 증거를 최대한 자세하게 모아 두시길 바랍니다. 다만 임금 채권의 경우 지급일부터 삼 년까지가 소멸시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