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이 입장에서는 어떤 부모가 좋은 부모일까요??
아이 입장에서는 어떤 부모가 좋은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진심으로 믿어주는 부모, 감정을 공감해주는 부모, 자주 웃고 따뜻한 분위기를 만드는 부모, 실수를 인정하고 사과할 줄 아는 부모, 자주 안아주고 사랑을 표현하는 부모, 아이의 눈높이에서 놀아주는 부모, 존중해주는 부모가 아이들이 바라는 이상적인 부모상이라고 합니다.
Q. 인생에서 좋은 가르침을 줄수 있는 것은 뭐가 있을까요??
후대에게 전하고 싶은 삶의 가르침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정직과 책임감, 배려와 공감, 끊임없는 배움의 자세,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용기, 자연과의 조화로운 삶즉 후대에게 물려주면 좋은 것은 가치관, 문화유산, 지식과 경험, 물질적 자산, 관계와 연결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Q. 유치원에서 피터팬 의류를 입고 오라고하는데
유치원에서 피터팬 의류를 입고 오라고 해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교육 행사 몰입도, 사진 영상 기록, 프로그램 차별화 등으로 이런 활동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만약 여러가지 상황이 맞지 않는 경우라면 연령이 바뀔때 원을 이동하는 것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대여나 중고를 활용하는 방법, 유치원과 협의, 다른 학부모와 연대 등의 방법도 있겠습니다.
Q. 7세 여자아이 자꾸 과자를 사달라 조릅니다
7세 여자 아이가 자꾸 과자를 사달라고 졸라서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선택의 자유, 즉각적인 보상, 놀이와 결합된 경험 등으로 인해서 과자를 좋아합니다. 전문가들은 성장기 아이의 간식은 하루 총 섭취 열량의 약20% 이내로 제한하고 가능하다면비타민, 미네랄, 단백질이 포함된 간식을 권장합니다. 따라서 빈도와 양을 정하기, 대체 간식 섞기, 구매 과정에 참여시키기, 즐거움의 대체 경험 만들기 등으로 건강과 즐거움의 균형을 잡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Q. 아이가 1박 2일 수련활동에 부정적으로 생각합니다.
아이가 수련활동을 거부하는 이유는분리 불안 또는 익숙한 환경에 대한 애착, 낯선 사람들과의 생활에 대한 부담, 자기 표현의 방식 등입니다. 감정을 먼저 인정하기, 수련활동의 긍정적인 면을 경험 중심으로 이야기하기, 선택권을 주는 방식으로 접근하기 등으로 접근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그런 말 들으니까 엄마도 좀 놀랐어. 그런데 네가 그렇게 느낀다는 건 뭔가 불편하게 있다는 거겠지?'라고 공감해줍니다. '가고 싶지 않으면 안가도 돼. 그런데 혹시 가기 전에 어떤게 걱정되는지 이야기해줄 수 있어?' 등으로 반응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