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고교학점제의 현실과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고교학점제의 현실과 장단점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고교학점제는 기존의 학년제 중심 교육에서 벗어나 대학처럼 수강신청을 통해 시간표를 구성하고 학점을 쌓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것을 말합니다. 장점은 진로 맞춤형 교육 실현,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 교육의 다양성과 창의성 증진, 경쟁 완화, 학교 문화 혁신 등입니다. 단점은 교육 불평등 심화 가능성, 교사 업무 부담 증가, 학생의 자기 관리 역량 부족, 대입 제도와의 연계 불확실성, 과목 선택 편중 현상 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Q. AI시대 유아교육의 방향성은 어떻게 되나요?
유아교육에서의 디지털교육, AI 교육의 방향성이 궁금한 것 같습니다. 핵심 방향이라고 하면 놀이중심과 디지털 교육의 통합,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교사의 디지털 역량 강화, 안전하고 발달에 맞는 콘텐츠 제공 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유아교육의 미래의 모습은 가상현실 공연장, 휴머노이드 로봇과의 상호작용, 증강현실 블록 놀이 등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Q. 공감능력을 단순히 연습만으로도 기르르 수 있는건가요?
아이의 공감능력을 단순한 연습만으로도 기를 수 있는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네 연습과 부모의 모델링을 통해서 길러줄 수 있습니다. 아이가 올바른 공감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말과 함께 행동을 실천하는 모습을 보여야 합니다. 만약 행동하기 쉽지 않다면, 지금 할 수 없음을 말해주고 미안하거나 속상한 마음을 알려줍니다. 아이에게 좋은 본보기가 되어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역할놀이를 통해서 공감능력을 키워줄 수 있습니다.다른 누군가가 되어 그 입장에서 생각하는 역할 놀이는 훌륭한 공감 능력 키우기 방법입니다. 보통 만 3, 4세가 되면 시작할 수 있는 역할 놀이는 엄마, 아빠 혹은 동물 등이 돼보면서 역지사지의 감정을 알게 됩니다.부모가 먼저 실망을 표하는 아이의 등을 토닥여주는 등 직접 시범을 보여줍니다. 여기에서는 엄마 아빠의 공감 능력도 중요합니다. 공감 능력이 풍부한 부모일수록 아이 또한 쉽게 그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비언어적 공감능력 표현하기 시범)
Q. 불필요한것을 사지 않는것. 이것도 연습이 필요한거겟죠?
아이가 불필요한 것을 충동적으로 소비하려고 할 때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좋은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이들은 즉각적인 만족을 원함, 광고나 친구 영향, 돈의 개념이 부족함 등의 이유에서입니다. 기다림 훈련, 용돈 관리 훈련, 소비 우선순위 정하기, 필요 및 욕심 구분하기 등의 방법으로 연습을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부모가 할수 있는 실천 팁으로는즉각 사주지 않기, 함께 비교해보기, 소비 후 피드백 주기 등입니다.
Q. 21개월 아기가 소리를 지를때 어떻게 해야할까요?
21개월 아기가 마음에 들지 않거나 기분이 좋지 않을 때 소리를 지르면서 떼를 쓸 때 대처방법이 궁금한 것 같습니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는 경우는 감정 조절 능력이 아직 미숙한 영아기의 흔한 모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감정을 말로 표현하는 능력 부족, 자기 감정이 통제되지 않을 때, 엄마가 달래주는 방식이 오히려 강화 요일이 될 수 있음.이 시기에는 아이가 부모/양육자의 말을 알아듣지 못해 훈육의 효과가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감정에 공감하되 행동은 제한하기, 울음이 시작되면 조용한 공간으로 유도, 울음이 멈춘 뒤에만 원하는 행동 제공, 감정 표현 훈련하기 등이 적절한 대처방벙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