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골다공증 수치는 어떻게 나오는 건가요? 정상과 골 다공증은 어떻게 구분하는 되나요
안녕하세요. 신태현 의사입니다.1. 골다공증은 폐경이후 노화에 의해 악화되기 때문에 나이가 많아지면 점차 악화되는 것으로 예상해볼수 있습니다. 일차성 골다공증 (원인 질환이 동반되지 않는 것) 은 1형과 2형으로 나눠볼수 있고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 1형 (=폐경후 골다공증) : 급격한 여성호르몬 감소 -> 빠른 골소실, 주로 해면골 감소 -> 척주골절이 흔함- 2형 (=노년 골다공증) : 칼슘, 비타민D 의 부족 및 골형성능 감소 -> 완만한골소실, 피질골+해면골 동시 -> 모든부위 골절 가능2. 골다공증 검사는 주로 척추뼈와 대퇴뼈를 이용합니다. T score 라는 골밀도값을 기준으로 -2.5 이하인 경우를 골다공증 / -1.0 ~ -2.5 를 골감소증 이라고 정의합니다. 3. 골밀도검사의 검사 간격은 1년이 권장되며, 급여로 보장되는 기간도 동일합니다. 4. 정기적인 골밀도 검사와 이에 따른 골다공증 치료를 받는것이 골밀도감소로 인한 골절등의 심각한 질환을 예방하는 길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신경과·신경외과
Q. 수면 위내시경때 고통을 느껴요?
안녕하세요. 신태현 의사입니다.수면마취시에 "Paradoxical reaction" 을 경험하셨을수 있습니다. 이현상은 일반적으로 특정 약물, 특히 진정제나 수면제를 투여 받았을 때 예상되는 반응과는 반대의 효과나 반응이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수면위내시경에서는 대체로 진정제와 함께 사용되는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이 이러한 paradoxical reaction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약물을 투여하여 환자를 진정시키려고 할 때, 예상 외로 흥분, 공격성, 행동의 증가, 불안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반응은 모든 환자에게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일부 환자에서만 관찰되는 현상입니다.Paradoxical reaction의 정확한 원인은 확실하게 알려져 있지 않지만, 약물의 투여량, 환자의 개인적인 특성, 동반되는 다른 약물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이러한 반응이 나타났을 때에는 진정제의 추가 투여나 다른 약물을 통한 조절, 환자의 상태 모니터링 등 적절한 처치가 필요하며, 의사와 간호사는 이러한 현상에 대비하여 환자의 상태를 계속 모니터링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