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순현재가치법(NPV)에 대해서 여쭙습니다..
순현재가치법은 조금 더 복잡한 계산이 필요합니다.유입액의 현재가치와 유출액의 현재가치를 비교하여 유입액의 현재가치가 더 크다면 투자를 합니다.현재가치를 구해야 하므로 화폐의 시간가치를 고려한 적당한 할인율로 유입액과 유출액을 할인하는 작업도 필요합니다.현재, 건물에 총 4억을 지출했으니 현재 유출액은 4억이 됩니다.현재 4억의 현재가치는 당연히 4억이므로 할인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그러나 1년 후 납부해야 할 이자와 1년 후 받게 될 월세는 모두 미래에 발생하는 현금 흐름이므로 현재가치로 할인해줘야 합니다.만약 이자가 100만원, 월세가 110만원으로 고정되어 있다면 순유입액은 10만원이 되며, 1년에 120만원이 됩니다.할인율이 5%라고 가정했을 때 1년 뒤 120만원의 현재가치는 120÷1.05 = 약 114만원이 됩니다.2년 뒤에도 120만원을 받는다면 2년 뒤 120만원의 현재가치는 120÷(1.05)^2 = 약 108만원이 됩니다.부동산을 평생 소유할 것이 아니라면 언젠가는 매도를 할 텐데만약 2년 뒤 4억에 매도를 하게 된다면, 2년 뒤 4억의 현재가치를 따졌을 때 약 3억 6281만원이 됩니다.따라서 이 경우유입액의 현재가치는 1년 뒤 순유입액 114만원 + 2년 뒤 순유입액 108만원 + 3억 6281만원 = 3억 6503만원이 됩니다.유출액의 현재가치는 현재의 유출액인 4억이 되고요.유입액의 현재가치 - 유출액의 현재가치 이해하기 쉽도록 예를 들어서 설명을 드렸으나실제로는 부동산을 4억 이상에 매도할 수 있고, 2년 안에 팔지 않고 더 오래 보유할 수도 있고, 할인율을 5%보다 낮게 적용할 수도 있으니 NPV가 0보다 커져 사업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될 수도 있습니다.중요한 건 순현재가치법은 화폐의 시간가치를 고려해 유출액과 유입액을 모두 현재가치로 평가해야 한다는 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