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부동산과 경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부동산과 경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김대용 전문가
나눔공인중개사사무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자격증
부동산
2023년 3월 20일 작성 됨
Q.
저당과 근저당 다른 말인가요? 같은 말인가요?
다른 말입니다.비슷하긴 하지만 실제로는 근저당이 많이 쓰이고 저당은 거의 쓰이지 않습니다.저당은 금액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저당권이 1억으로 잡혀 있으면 이 부동산에 대해 1억의 채무가 존재하고 있다는 뜻입니다.하지만 근저당은 한도액으로 표기되기 때문에 1억으로 잡혀 있으면 이건 최대 1억의 채무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낼 뿐, 실제 채무는 1억 이하일 수 있습니다.저당권은 채무액이 변동될 때 등기를 통해 수정을 해야 하지만, 근저당권은 그럴 필요가 없어서 실무에서는 저당권 대신 근저당을 사용합니다.
부동산
2023년 3월 20일 작성 됨
Q.
토지대장에서 확인할 수 있는 "지목"이라는 게 뭔가요?
지목은 토지의 활용 목적이라고 보시면 되는데지목의 종류에는 전, 답, 과수원, 대 등이 있습니다.전과 답은 각각 밭과 논을 뜻하며 이러한 지목의 토지에서는 농사를 지을 수 있습니다.과수원은 말 그대로 과수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토지이며'대'는 건축물을 지을 수 있는 토지이므로 활용 가치가 높습니다.그러나 모든 토지의 실제 활용 현황이 지목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으니 사전 답사를 통해 어떤 용도로 활용되고 있는지 확인하시는 게 좋습니다.
부동산
2023년 3월 20일 작성 됨
Q.
만약에 국내 은행이 파산된다면 부동산 시장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
부동산 계약 시 대출을 이용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기 때문에 은행이 파산한다면 대출을 받기 어려워져 부동산 수요가 줄어들게 됩니다.이로 인해 전반적인 부동산 시세가 하락하여 불경기가 나타나게 됩니다.
부동산
2023년 3월 18일 작성 됨
Q.
일반적인 전세계약을 하고 전세를 살게되면 전세권을 가지나요?
전세 계약을 하더라도 전세권이 생기는 건 아닙니다.전세권은 전세권설정등기라는 절차를 거쳐야 비로소 발생합니다.전세계약 후 소유자가 전세권설정등기에 협력해야 등기가 가능합니다.소유자가 거부하면 등기를 할 수 없으며, 이 경우 전세 계약의 세입자는 전세권을 가질 수 없습니다.
부동산
2023년 3월 18일 작성 됨
Q.
빌라는 왜 감가상각이 클까요?
궁극적인 이유는 수요가 적기 때문입니다. 빌라는 아파트에 비해 수요가 적기 때문에 가격이 잘 오르지 않는 것이며, 건물은 시간이 지날수록 노후가 진행되므로 자연스럽게 가격이 떨어지는데 수요량에 따른 시세 변동도 거의 없으니 아파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격이 많이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336
337
338
339
3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