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줄기세포 연구 및 신약 개발업 전문가 안근호 입니다.

줄기세포 연구 및 신약 개발업 전문가 안근호 입니다.

안근호 전문가
고려대학교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모기같은것도 진화를 거듭했는지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쥬라기 공원에 나온 것 처럼 실제로 모기는 공룡시대에도 존재하였으며현재까지 가장 오래된 모기 화석은 백악기 초기(약 1억년 전) 지층에서 발견된 화석으로쥬라기 시대 이후긴 하지만, 모기과 곤충의 출현은 쥬라기 시기까지 올라갈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그럼 그때의 모기와 지금의 모기가 같은가를 보면, 그렇지 않을 확률이 99% 이상이고모기도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다는 증거들이 있습니다.다만,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외형적인 변화보다는 생존 존략과 생리적인 특성 위주로 진화 해 왔다고 보면 되는데예를들어 흡혈 방식을 보면, 현대의 모기는 조금 재미있게도 수컷은 흡혈을 하지 않고 암컷만 흡혈을 합니다.이는 알을 만들기 위한 단백질과 철분을 보충하기 위해서 인데요.고대 모기의 경우는 수컷, 암컷 모두 흡혈을 할 수 있는 입구조를 가졌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또한 기후에 대한 적응이나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 서식환경등의 변화 따른 적응 등이 진화의 결과라 할 수 있죠.거의 모든 생물은 환경변화와 생존 경쟁에 따른 끊임없는 진화를 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 맞고모기 또한 끊임없이 진화를 해오고 있다고 생각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세탁조에 붙어있는 이것들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사진 속 세탁조는 오염 정도가 심각해보이고, 부식도 진행된 것 처럼 보입니다.겉에 붙은 검은 물질은 세탁조 내부에 번식한 곰팡이와 세균막일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만져보았을 때 끈적거리거나 말라있을 수 있으며, 세탁조 내부의 습기, 세제 찌꺼기, 섬유유연제 등이 쌓이면서 세균과 곰팡이가 번식할 수 있기 때문에이번과 같이 정기적인 세탁조 세척을 하시는 것이 가장 좋고, 고온 세탁, 산소계 표백제, 세탁조 크리너 등을 통해 어느정도 예방을 하실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겨울철에 김장김치를 담글때 사용하는 굴은 항상 많은데, 어떻게 번식을 하고 채취를 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굴은 주로 얕은 바다의 바위나 다른 단단한 표면에 붙어 자라며, 물속의 플랑크톤 등 유기물을 걸러 먹고 성장하고, 수컷 굴이 정자를, 암컷 굴이 알을 물속으로 방출하면 수정이 이루어지는 체외 수정 방식으로 번식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곰팡이를 먹는 벌레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세탁기에서 나온 검은색 가루는 주로 세탁조 내부에 번식한 곰팡이나 세균 덩어리일 가능성이 높으며, 수건에서 발견된 벌레는 이 곰팡이나 오염물질을 먹이로 삼는 좀벌레, 곰팡이벌레(먼지다듬이), 또는 권연벌레류일 수 있으니, 세탁조 클리너를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세탁조를 청소하고, 빨래 후에는 세탁기 문을 열어 충분히 건조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유독 같이 있는데도 모기에 잘 물리는 사람은 이유가 뭣 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모기는 당신이 내뿜는 이산화탄소의 양, 높아진 체온, 그리고 땀 속에 포함된 젖산과 같은 특정 화학 물질 등 다양한 요소에 이끌려 당신을 집중 공격하는 겁니다. 또한, 일부 연구에서는 O형 혈액형을 가진 사람들이 더 잘 물린다고 보기도 하는데, 이 모든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모기의 표적이 될 가능성을 높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제약회사 연구진이 되려면 의사만큼 공부를 잘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제약회사는 주로 화학 기반의 약이 주 제품군을 형성하기 때문에, 전공은 화학이나 생화학, 약학 쪽을 전공하신 것이 제약회사 연구원이 되기에는 더 수월합니다.최근에는 결과 분석 및 해석에 통계학을 전공하시는 분들도 취업을 하시기도 하시죠.생명과학과 같은 분야는 바이오회사쪽으로 취업을 목표로 하며,각 회사의 종류마다 필요로 하는 전공들이 있고, 다양한 분야의 공부도 중요하겠지만한 사람이 모든 분야를 깊게 공부할 순 없기 때문에, 어느 한 분야를 깊게 공부한 인재를 주제와 맞는 팀에서 일을 하게 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연구는 단순히 지식을 쌓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것을 탐구해내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어서실험 능력도 중요하지만, 창의력이나 어떤 것을 개발해본 경험 등이 중요하며해당 연구 경험을 하고 나올 수 있는 대학원을 졸업한 사람들을 우선 채용하기도 합니다(석,박사)결론적으로는, 연구원은 의사와는 다른 방향과 내용으로 지식을 쌓는것이 중요한 직업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고어느 직종이나 경력을 중요하는 것 처럼, 연구직은 특히나 연구 경험이 있는 학위자들을 위주로 취업이 된다는 점을같이 말씀드립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비멘델적 유적과 멘델 유전과 어떻게 다른지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멘델의 유전법칙이 유전 현상을 이해하는데 기본적인 틀을 제공하긴 하지만모든 현상이 멘델의 법칙만으로 설명이 어려운 부분들이 있죠.이를 비멘델 유전이라고 부릅니다.멘델의 유전법칙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형질이 하나의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며각 유전자는 두개의 대립유전자(열성, 우성)을 갖는 것으로 되어있죠.따라서 두개의 유전자 중 우성 유전자가 존재하면 열성 유전자의 형질은 발현되지 않고한 형질이 다른 형질의 유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독립성을 가지고 있습니다.반면에 비멘델 유전의 대표적인 예시들은 우성이 확실하지 않고 중간형질이 나타나기도 하는불완전 우성을 갖게 되는데요.예를들어 곱슬머리의 경우 곱슬머리 유전자와 직모 유전자가 만나 반곱슬머리(웨이브 머리)가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이죠.또다른 비멘델유전의 예시로는 두 대립유전자가 우성, 열성이 없이 동등하게 발현되어두 형질 모두가 나타나는 형태로 ABO혈액형이 예시로 들 수 있습니다.(A형-B형->AB형)또한 여러 유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피부색, 키, 눈색깔과 같은 부분이나성별을 결정하는 성 염색체의 경우도 멘델의 유전 빈도와는 다르게 나타납니다.이 외에도 환경적인 요인이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줘서 나타나는 경우 등매우 복잡한 유전 패턴들을 가지며, 인간의 형질과 유전을 연구하는데 있어서기본적인 이론에 국한되지 않고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알아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바이오의 ADC 핵심 기술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바이오회사에서 말하는 ADC 기술은 Antibody-Drug Conjugate 의 약자로항체-약물 접합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이 기술은 쉽게 말하면, 타겟 암세포만 찾아가 공격하는 약물이라고 볼 수 있는데암세포만을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고성능 항체를 개발하고, 거기에 암세포를 죽일 수 있는 세포 독성 항암제를 연결하여암세포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기술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실제 ADC 기술을 기반으로 한 치료제들은 글로벌 제약회사들에서 엔허투, 트로델비, 아드세트리스 등이 10종 이상의 치료제들이 이미 FDA승인을 받아 판매되고 있으며많은 임상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국내에서도 대기업인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를 비롯한 다양한 기업들이ADC 기술 기반 치료제들을 개발하고 있으며 아직 FDA승인을 받은 국내기업은 없지만다양한 연구들과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바이오 회사와 제약회사의 다른 점은 무엇입니까?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주식시장에서는 제약과 바이오는 묶여서 제약/바이오 로 표현되기도 하지만, 두 회사들은 연구하는 방향이 조금 다른 회사들이라고 보시면 됩니다.바이오회사는 주로 세포를 다루는 회사가 많으며,세포치료제, 단백질 치료제, 항체치료제, 유전자 치료제와 같은 생물을 기반으로 하는 치료제들을 개발합니다.제약회사는 주로 화학 합성 의약품을 개발하고 생산하며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알약, 캡슐, 주사 등 대부분의 의약품은 화학합성 의약품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주식을 기준으로 하면, 바이오의 경우 고위험 고수익 항목으로 보시면 되고회사 자체들이 R&D 비중이 높아 재무재표 상 매출 및 순이익이 마이너스인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상대적으로 제약회사는 안정적으로 매출이 발생하는 곳이 많아주식 자체도 안정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최근에는 제약회사에서도 바이오 의약품을 개발한다던지, 바이오회사에서도 제약 및 의료기기 등을 같이 개발하여제약과 바이오 간의 경계가 점점 허물어 가는 분위기이긴 합니다만아직까지는 주력 제품군에서 차이가 난다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실제로 개미 전체의 무게가 사람 무게보다 더 나가나요?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얼핏 들으신 내용의 이야기는 사실과 매우 가깝거나, 특정 관점으로 보면 사실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2022년 연구결과에 따르면, 전세계의 다양한 대륙과 주요 생물군계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을 통합하여 지구상의 개미들의 총 무게(바이오메스)를 측정하였는데지구상 전체 개미의 개체 수는 약 2경 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었으며이 개미들의 총 건조 바이오메스는 약 1200만 톤으로,이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포유류와 조류를 합친것보다 많으며인간 전체 무게와 개미의 무게를 비교하면 약 5배의 차이가 난다고 합니다.(개미가 5배 무거움)개미 한마리는 매우 작지만, 압도적인 개체 수 때문에 어마어마한 양을 차지하게 된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123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