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줄기세포 연구 및 신약 개발업 전문가 안근호 입니다.

줄기세포 연구 및 신약 개발업 전문가 안근호 입니다.

안근호 전문가
고려대학교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모기는 왜 아이들을 더잘 무는것 같을까요?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모기가 더 잘물리는 현상에 대해서 재미있게도 여러가지로 연구들이 진행이 되고 있습니다.다른 혈액형보다 O형 혈액형이 더 잘물린다는 연구도 나와있지만 과학적인 입증이 더 필요한 부분들도 있고,명확하게 이것 때문이다라고 더 많이 물린다 말하긴 어렵지만, 과학적으로 설명이 가능한 몇 가지 원인들은 있습니다.먼저, 어린아이들이 어른보다 기초체온이 높은 편이기 때문에온도를 감지해 목표물을 찾는 모기의 습성 상 먼저 이끌릴 수 있다는 점과아이들의 신진대사량이 어른들보다 활발하여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아질 수 있는데모기는 이러한 이산화탄소를 매우 잘 감지하는 편이기 때문에, 더 잘 이끌릴 수도 있습니다.또한 모기가 선호하는 젖산 같은 화학물질이 아이들에게 더 많이 나와피부의 냄새 탓에 더 많이 물릴 가능성도 있죠.자는 습관도 아이들은 이불을 걷어차거나 안덥고 잘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주위에 모기장을 설치 해 주신다거나, 모기퇴치 제품들을 뿌려둔다거나유아들의 경우는 되도록 잠옷을 긴팔 긴바지를 입히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겉은 흰 깃털 속은 회색 깃털인 비둘기 돌연변이인건가요 다른종인가요?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사진 속 비둘기의 몸통은 흰색이고 날개끝만 회색을 갖고있는 비둘기로 보이는데요.말씀하신것처럼 알비노의 증상은 보이지 않고, 행동도 일반 비둘기와 비슷하다면 교배종일 가능성이 더 클 것 같습니다.비둘기들도 야생에서 여러 품종의 비둘기가 같이 교배되면서 태어난 혼혈 비둘기가 많고오랜기간 개량되어 왔기 때문에 예측하기 어려운 털 조합을 나타내는 경우도 많습니다.자연적인 유전자 변이가 나타날수도 있고, 여러 품종이 섞이면서 나타나는 혼합종의 특징일 수도 있죠.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돌연변이라고 보기보다는 여러 세대를 거쳐 유연적인 변이나 혼혈일 가능성이 크고, 혹은 가능성은 낮지만 부분적인 백색증을 가진 비둘기일 것같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비둘기가 아닌 다른 종일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고, 다른 비둘기와 잘 어울려 지낸다면건강상에는 문제 없는 비둘기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생명을 구분을 종, 속, 과 등등을 어떻게 구별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말씀해주신 종, 속, 과 등으로 구분하는 방법을 생물 분류 라고 합니다.생물 분류는 생물분류학이라고 하는 특정 학문이 있을만큼방대한 양의 지식이 연구되고 있습니다.간단하게 정의 먼저 설명드리면, 생물 분류는 생물들끼리의 유연 관계와 특징을 바탕으로 생물들을 정리해 놓은 방식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가장 널리 사용되는 분류체계는 7단계의 분류체계로계(Kingdom) - 문(Phylum) - 강(Class) - 목(Order) - 과(Family) - 속(Genus) - 종(Species)로 나뉘게 됩니다.이러한 분류는 전세계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공유하며, 생물들에게는 이러한 분류체계에 맞게 고유한 학명을 부여하여 사용하게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어떠한 생물을 보고 어떻게 구별할지는 일반 분들이 보기에 바로 구별하기는 힘들 수 있어서궁금한 경우 정보들을 볼 수 있는 사이트들이 많이 게시가 되어있고우리나라의 경우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http://www.nature.go.kr/main/Main.do)이나국립생물자원관(https://species.nibr.go.kr/index.do)과 같은 곳에 검색을 하시면어떤 분류체계를 갖는지, 학명은 무엇인지 등을 볼 수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비를 맞는것이 우리 몸에 어떤 악영향을 미치나요?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비는 우리에게 꼭 필요한 현상이기도 하지만, 주의를 해야되는 부분도 존재합니다.비가 직접적으로 악영향을 끼치는 경우도 있고, 간접적으로 끼치는 영향도 존재하죠.직접적인 부분은 비에 포함된 나쁜 성분들이 있을 수 있겠죠.과거에는 대기질도 깨끗하고, 미세먼지 등이 적어서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주장들도 있었는데점차적으로 공기질의 악화, 비의 산성화 등의 영향으로 비를 직접맞는 것 자체도 좋지는 않다는 인식이 커지고 있습니다.이해하기 좋은 근거자료들을 몇 개 같이 전달드리면,대기의 황산화물로 인해 기관지, 폐 등에 좋지 않다는 결과를 언급하고 있는 환경보건종합정보시스템의 자료와(https://www.ehtis.or.kr/cmn/sym/mnu/mpm/111021107/htmlCnView.do)산성비가 인체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나타낼 수 있다는 내용의 현대경제연구원의 자료를 전달드립니다.(https://hri.co.kr/upload/board/HER199702_04.PDF)실절적으로는,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간접적인 영향 때문에 주의와 관리를 하라고들 말하는 거라고 볼 수 있는데요.이는 비를 맞으면 우리 몸이 체온이 떨어지게 되고, 일시적인 면역력 감소로 바이러스 감염에 취약하게 되어감기 등의 질환이 걸릴 확률이 올란간다는 것과, 미세먼지 등이 함유된 비를 맞는 경우, 습진, 무좀 등 피부 질환도 걸릴 수 있다는 자료들이 있죠.(헬스조선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0062402719))결론적으로, 비를 맞는 경우 체온 저하 및 오염 물질에 노출되는 상황을 포함하여 직간접적인 요인들로 인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아주 어릴 때를 기억할 수 없는 이유는 뭘까요 그리고 과연 기억할 수 있다면 언제부터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사람의 기억은 끊임없이 썼다 지웠다를 반복하는데요.그 중에서도 유년시절의 기억은 유독 기억이 안나죠.사람마다 차이가 있지만, 특정사건을 기억하는 것 외에 대부분의 유년기 2~4세 기억을 하지 못하며,일반적으로 이러한 현상을 유아기 기억상실증 이라고 부릅니다.어린시절에는 뇌의 발달이 미숙하여 기억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관인 해마나전두엽의 발달이 덜 된 상황이기 때문이기도 하며,또한 언어의 발달이나, 자아형성이 되지 않아 기억이 견고하게 자리잡기 어려운 상황입니다.따라서 어릴적 기억이 단절되는 현상은 뇌의 인지시스템과 기억 저장 방식이 성장하고 있는 과정이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나타나는 것이라고 생각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바나나나무를 왜 큰꽃배롱나무라 부르나요?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이름이 비슷해서 혼란의 여지가 있는 식물이름 때문에 그렇게 인식하신 것 같습니다.큰꽃배롱나무는 바나나 나무가 아닌, 바나바(Banaba) 나무라고 불리며,학명은 Lagerstroemia speciosa 입니다.바나바 나무는 부처꽃과 나무이고, 바나나 나무는 파초과 로 전혀 다른 식물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그 외에도 재미있는건, 바나나는 나무(목본식물)가 아니라 초본식물인 풀에 속하는 식물입니다.바나나는 세계에서 가장 큰 초본식물 중 하나로서, 풀로 분류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왜 오래된 건물이나 다리에는 이끼나 식물이 잘 자라나요??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말씀해주신 건물 외벽이나 오래된 곳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이끼는 여러 환경적인 요인이 잘 맞아 해당 환경에 적응해서 증식을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가장 중요한 환경적 요인은 습도 입니다.이끼는 높은 습도를 선호하며, 수분유지가 가장 중요합니다.이를 위해 직사광선이 들지 않는 적절한 그늘진 곳이 필요하고, 광합성도 해야하기 때문에 너무 어두운 곳 보다는 적당히 밝은 그늘을 선호합니다.그리고 벽돌 같은 곳에는 틈새가 많아 지지하기가 좋고, 그 틈새에 바람 등으로 날라오는낙엽,먼지 등이 쌓여 유기물이 되기때문에 영양 공급에도 도움이 됩니다.그 외에도 경쟁 생물이 적다는 점, 군집 형성에 좋다는 점 등 생존 존략에도 영향을 받기에다양한 환경적요인과 이끼의 생물학적 특징들이 돌담, 오래된 다리 등에 적응하기 좋아 번식하게 되는 것으로생각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새 깃털은 어떤성분으로 되어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새의 깃털은 주로 케라틴이라는 단백질로, 약 90%정도를 구성하고 있습니다.이 케라틴은 사람의 머리카락이나 손발톱, 동물의 뿔 등을 이루는 성분과 같은 종류입니다.케라틴은 매우 튼튼하고 가볍고, 물에 잘 녹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플라스틱처럼 단단하게 느끼실 수 있습니다.이러한 케라틴이 가볍고 튼튼한 특성으로 새가 날아다니고 몸을 보호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인간의 뼈무게는 어느정도 무게가 나가나요?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일반적으로 사람의 몸무게에서 뼈가 차지하는 비율은 약 15%(14~18% 정도) 입니다.따라서, 몸무게와 연관이 있다고 보시면 되는데요.간단한 계산을 위해서, 남성의 경우 체중이 100키로라고 한다면 15~18키로 정도는 뼈 무게라고 보시면 되고여성이 남성보다 뼈 무게가 적은 편이라, 100키로 기준이면 13-14키로 정도 나간다고 볼 수 있습니다.뼈는 몸을 지탱하는 단순한 지지대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를 보호하고 혈액을 생성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하는 곳이라는 점도 같이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이거 무슨 거미인지 알고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어떤 거미인지 알려면, 형태적으로 잘 보이거나, 크기가 대략적으로 가늠이 되야합니다.현재 사진상으로는 멀리서 직어서 형태적으로나 크기가 구별이 어려워 정확한 종을 확인하기 어렵습니다.다만 행동을 깡충깡충 뒤는 것을 관찰하셨다면, 깡충거미과의 속하는 거미일 가능성도 있으나보통의 깡충거미과는 덩치가 작은편입니다.대략적으로 보기에는, 덩치도 어느정도 큰 것 같고 몸의 형태적으로는 농발거미일 가능성도 높을 것 같습니다.농발거미는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제주도를 포함한 남부지방쪽에 분포한다고 알려져있고,익충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조금 더 정확하게 어떤거미인지 알고 싶으시다면, 조금 더 가까이에서 사진을 찍어 올리시면 좋을 것 같고(카메라 줌을 활용해도 괜찮을 수 있습니다) 어디에 가두는 방식으로 잡아서 밖으로 내보내 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6789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