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음악_영어_유학_육아_박순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음악_영어_유학_육아_박순기 전문가입니다.

박순기 전문가
동아대학교, 부산대학교
역사
역사 이미지
Q.  지리적으로 고도가 가장 높은 지역구는 어디일까요?
안녕하세요. 박순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내에서 가장 높은 지역에 자리잡고 있는 강원 태백시의 평균 해발고도가 902.2m로 확인됐다.12일 태백시에 따르면 고원도시 이미지 확립을 위해 평균 해발고도 분석 용역을 시행한 결과 이 같은 결과 값이 나왔으며 정확한 수치 산출을 위해 최신 1:5000 수치지형도를 기반으로 표고점 보정작업을 거쳐 수치표고모델(5m급 DEM)을 제작하고 GPS 검증측량을 통해 정확도를 검증했다.태백시의 최저지점은 적각동(385m), 최고지점은 함백산 정상(1570.3m)로 나타났다. 최저-최고 고도차는 1184.7m로 태백산맥을 기준으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해발고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중국의 삼국지시대에 우리나라는 어디서 통치했었나요?
안녕하세요. 박순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서기 221년 유비가 촉나라를 세우고황제위에 오릅니다. 그리고 264년 촉이 망합니다.이시기의 우리나라는 고구려 제10대왕 산상왕(재위 197∼227).과 11대왕 동천왕 (재위 227∼248) 특히 동천왕때인 236년 오나라 손권이 화친을 청해 왔으나 사신을 죽여 조조의 위나라에 보냅니다.또 242년에 중국과 낙랑군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인 위나라의 서안평을 공격하다가 관구검의 반격을 받아 환도성이 함락되고, 남옥저로 피란까지 갔습니다. 12대중천왕(재위 248∼270)때인 259년 위나라의 장수 위지계의 침입군을 양맥곡에서 격퇴하는 사건도 있었습니다. 신라는 제11대 왕. 조분왕(?~247)과 12대왕 첨해왕(?~261) 재위기간이며 백제는 5대 초고왕(166~214) 6대구수왕(214~234) 7대 사반왕(234) 8대 고이왕(234~286)재위기간이엿습니다. 또한 이때 조조의 위나라의 역사서인 위서 동이전에는 부여.고구려.동옥저.읍루.예.마한.진한.변한.왜인등의 전(傳)이 있어, 동방 민족에 관한 최고의 기록으로 동방의 고대사를 연구하는 데 유일한 사료가 되고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민주주의의 창시는 누구에 의해 생긴개념일까요?
안녕하세요. 박순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민주주의의 기원은 고대 그리스의 폴리스에서 유래하였는데 고대 그리스어의 데모스 (Demos →민중;시민;다수)와 크라티아 (Kratia →;권력;지배)의 합성어인 데모크라티아 (그리스어: δημοκρατία →국민에 의한 지배)가 민주주의의 어원이나 고대 그리스의 민주주의는 각 폴리스에 한정된 시민에게만 참정권을 인정했을 뿐이었다. 예컨대 여성이나 노예는 시민으로 인정되지 못하였으며, 그리스인이라고 하여도 다른 폴리스에서 이주한 사람에게는 시민권이 주어지는 일이 드물었다. 아테네를 비롯한 민주제는 군주제 국가나 과두제 국가와 경쟁하며 혼재하였다.의외로 현대와 가까운 민주주의 시작은 클레이스테네스와 같은 그리스나 로마의 민중파 귀족들이 귀족파 귀족들과 싸워서 이기거나 많은 것들을 제공하여 양보를 얻어낸 것이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국교가 불교에서 유교로 바뀐 계기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박순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도전은 성리학을 중심으로 조선조의 기틀을 확립해 나가면서 철저히 불교를 배척하였다. 일찍이 고려 초의 최승로(崔承老)나 고려 말의 이제현·이색 등도 불교를 배척하였지만, 그것은 사원의 폐해와 승려들의 비행에 근거한 것이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정도전은 <불씨잡변 佛氏雜辨>·<심기리편 心氣理篇>을 저술하여 불교신앙의 허구성·미신성 및 불교이론 자체의 부당성을 지적하면서 불교를 비판하였다.정도전은 불교의 비인륜성·반사회성 등의 폐단을 지적하면서 그것을 배척하였다. 불교도 중에는 기(器)를 버리고 도(道)만을 추구하여 사회를 멀리하는 고고(枯槁)·응체(凝滯)의 폐단에 빠지거나, 도와 기의 의미적 층차를 무시하고 아무 것에도 구애됨이 없고자 하여 창광방자(猖狂放恣)의 폐단에 빠지는 부류가 있다고 꾸짖는다.또한 불교에서 윤회를 주장하여 현실을 벗어나 사후 세계를 논의하는 것도 비판하였다. 성리학이야말로 이러한 불교의 폐단을 시정하여 사회 윤리를 강화하고 국가에 이로움을 줄 수 있는 참된 학문(實學)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한 뜻에서 그는 성리학을 가리켜 “옛사람들의 덕을 밝히고 국민을 새롭게 하는 실학이다”고 하였다.이와 같이 고려 시대의 국교인 불교를 비판하고 성리학으로서 국가의 통치 이념을 건립함에 따라 성리학은 관학(官學)의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신부가 나이가 어린데 일찍 결혼하는 것을 조혼 풍습이라고 하는데 이것이 몽골 때문에 생긴 풍습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순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는 일찍 결혼하는 조혼과 늦게 결혼하는 만혼의 폐해를 막기 위해 혼인하는 나이의 제한을 두었다. 조혼은 고려시대에 처녀를 몽골에 바치는 공녀제도를 피하기 위해 딸을 일찍 시집보낸 데서 비롯되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철학가중에 유명한 철학가는 누가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순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너무 포괄적인 질문이긴 합니다. 철학은 인간에 대한 몇 가지 기본적인 질문에 답하기 위해 연구하고 시도하는 분야입니다. 존재의 의미는 무엇인가, 진리를 추구하는 것, 도덕적 인 것 , 윤리, 아름다움, 언어, 마음, 다른 많은 것들을 포함합니다.1. 소크라테스 (BC 470/469 BC-399 BC)2. 아리스토텔레스(기원전 384-322년3. 프리드리히 니체 (1844-1900).4. 임마누엘 칸트 (1724 – 1804)5. 장 자크 루소(1712-1778)요정도만 알아도 되요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쌍둥이에 대한 처우는 어땠나요?
안녕하세요. 박순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왕가는 왕실의 특수성 때문에 어떤지 몰라도 사실 양반가에서 쌍둥이에 대한 기록은 넘치고 넘쳤습니다.먼저 쌍둥이에 대해 과거의 인식이 어땠나를 볼 필요가 있을 겁니다.쌍둥이에 대한 인식에 대한 기록은 이규경이 지은 오주연문장전상고에 옛 기록과 그 의미를 말하고 있는데,좌구명의 국어에 이르기를 국가가 번성하지 못할까 염려해 두 아이를 한 번에 낳은 사람에게는 국가에서 쌀을 보내주고,한 번에 세 아이를 낳은 사람에게는 보모를 제공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하였으니 세 아이를 한 번에 낳은 것이 문제가 될 일이 아니다.라고 저술하고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이슬람교는 왜 하루 5번의 기도를 하나요?
안녕하세요. 박순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무슬림들에게 매일매일 반복되는 다섯 번의 예배는 하나님과 직접 교통하며 자성의 시간을 갖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선지자 무함마드의 천상여행에서 하나님은 원래 하루 50번씩 예배하도록 하셨는데, 이를 5번으로 줄이면서 한 번 예배를 열 번 하는 것처럼 정성을 다하라고 하셨다) 그리고 하나님께서는 이 시간들을 통하여 예배자들의 기도를 들으시며 이에 답해 주시고 예배자의 죄를 사하여 주신다. 라고 믿는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중세 시대 유럽의 흑사병으로 얼마나 많은 사람이 피해를 보았나요
안녕하세요. 박순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흑사병은 숙주 동물인 쥐에 기생하는 벼룩에 의해 페스트균(Yersinia pestis)이 전파돼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1300년대 중반 중세 유럽에서 유행해 7500만~2억 명의 인구를 죽음으로 몰아갔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1980년대 이산가족 찾기 운동의 배경과 성과는 어떠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순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71년 8월 12일 대한적십자사는 KBS방송을 통하여 북한 조선적십자회에 남북한간의 이산가족찾기를 위한 〈남북적십자회담〉을 개최할 것을 제의하였다. 대한적십자사는 이 제의에서 남북 적십자사가 협력하여 남북으로 흩어져 살고 있는 1000만 이산가족의 생사와 소재를 확인하고 그들에게 소식을 알려 주며 재회(再會)를 주선하는 등 가족찾기운동을 전개하자는 취지를 밝혔다. 북한측은 이틀 후인 8월 14일 평양방송을 통하여 북한 조선적십자회는 개최에 동의한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이 개최되었다.1980년대에는1984년 9월 서울·경기에 내린 폭우로 북한이 수재물자의 제공 제의 후 수락하여 10년 만에 다시 새로운 적십자 회담이 재개되었다. 1985년 5월 〈제8차 회담〉에서 8.15 기점으로 제1차 상호 교향방문단 상호교환제의 하였다. 1989년 9월에서 12월 제2차 고향방문단 및 예술공연단 교환협의에 관한 실무접촉이 있었으나 성과 없이 끝났다. 1992년 5월 〈제7차 남북고위급회담〉에서 이산가족 노부모 방문단 및 예술단의 서울·평양 동시교환을 실시하기로 합의하였다. 북한은 8차례 걸쳐 이루어진 적십자 대표간 실무접촉에서 합의내용과 관련 없는 전제조건을 내세움으로써 교환은 무산되고 말았다
262728293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