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강아지는 색깔을 구분 하지 못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강아지는 적록색약에 가깝습니다. 색을 구분할 수 있지만, 적색과 녹색의 구분을 뚜렷하게 하진 못하는 편입니다. 다만, 전혀 구분을 하지 못하는 건 아니고, 색구분과 달리 사물이 먼지, 가까운지에 대한 원근감의 구분은 인간 못지않게 뛰어나고, 의존도 역시 후각 다음으로 높습니다. 이 때문에 강아지들 역시 노화가 되면서 수정체가 뿌옇게 되는 핵경화나, 병적 백내장으로 인해 사물 감각에 대한 인지가 떨어지죠.
Q. 강아지 코 옆에 살 같은게 올라왔는데 뭘까요?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사실 종기의 외관만으로는 어떤 종기인지 알기 어렵습니다만, 대부분 특별한 증상 없이 나타나는 종기의 경우, 그리고 코 옆에 나는 경우, 종기가 무른 편이라면 대개 피지샘의 과잉이고, 혹은 무르긴 하나, 터지는 느낌은 없다면 조직구종, 단단한 경우는 유두종(사마귀)인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가장 정확한 방법은 세침검사나 조직검사를 해서 종괴가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이긴 합니다만, 모든 종기나 종괴를 그런식으로 검사하기는 어렵지요. 너무 걱정하진 마시되, 해당 부위를 너무 핥거나 가려워 한다면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동물병원에서 주치 수의사 선생님과 상담해보시길 바랍니다.
Q. 땀은 원래 냄새가 있나요 ? 아니면 땀이 분비되고서 피부 위에서 냄새가 만들어지는건가요 ??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아포크린샘, 에크린샘에서 나는 땀 모두 그 자체로는 무취입니다. 다만, 땀은 그 자체가 수분인데다가 단백질을 포함한 유기물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거기에 더운 날씨에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더 많이 분비되지요. 고온,다습,고영양은 미생물이 굉장히 좋아하는 삼박자 조건입니다. 동물과 사람의 몸에는 특별히 질환이 없더라도 모낭충이나 포도모양 구균 등 다양한 미생물이 잔존하고 있는데, 이 미생물은 사람의 땀과 각질을 먹고 소화를 시킨 뒤 생물인 만큼 섭취한 소화산물을 배출하는데, 이 소화산물은 독특한 향을 띱니다. 이 냄새가 소위 말하는 땀냄새지요
Q. 나이가 들면 돋보기를 쓰는이유,,, 돋보기를 쓰면 잘 보이는 이유는 ??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우리 눈의 렌즈인 수정체에 붙어 렌즈 두께를 조절하는 섬유나 근육이 약해지기 때문입니다. 특히 모양근이라는 근육의 탄력이 약해지면 수정체 렌즈를 두껍게 하기가 어려워 지는데, 애매하게 두꺼워진 렌즈의 초점을 맞추기 위해 돋보기안경을 추가로 써주는 것입니다. 멀리 볼 땐 모양체 근육이 수축이 아닌 이완상태가 되는데, 이완은 근육이 힘을 빼는 상태이기 때문에 나이가 들어도 이완은 큰 문제 없이 가능하기에 나이가 든다고 근시가 생기는 경우는 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