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상하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하 전문가입니다.
이상하 전문가
중원 노무법인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4년 11월 11일 작성 됨
Q.
아르바이트에게도 산업재해로 인정을 해주는거 맞죠?
안녕하세요. 이상하 노무사입니다.업무를 하다가 업무상 원인으로 사고를 당한 경우라면, 산재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4일 이상의 치료를 요하는 경우 산재로 인정될 수 있으며 업무와 재해 사이에 상당인과관계가 있음을 입증해야 합니다.참고 바랍니다.
2024년 11월 11일 작성 됨
Q.
안녕하세요 월급날이 주말이면 그전에 주는게 정상이죠?
안녕하세요. 이상하 노무사입니다.해당 내용은 계약서나 취업규칙 등에 정하고 있을 것인데, 보통은 휴일 전날에 미리 지급하나, 정하기에 따라 휴일 이후 첫 영업일에 지급하기로 했다면 문제는 없습니다.참고 바랍니다.
2024년 11월 11일 작성 됨
Q.
소정근로시간이 없는 사람은 통상임금을 어떻게 구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하 노무사입니다.계약 시의 시급이 통상시급이 되고, 하루 일급을 구하면 통상일급을 구할 수 있습니다. 다만 근로시간 역시 정해진 게 없다면 주된 근로시간을 기준으로 처리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참고 바랍니다.
2024년 11월 11일 작성 됨
Q.
회사에서 권고사직을 받고 있는 상황인데, 부당해고로 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하 노무사입니다.근로계약내용을 확인해 봐야 하겠으나, 계약기간을 정해서 채용되어 계약기간 만료로 근로관계를 종료하는 게 아니라면 근로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근로관계를 종료할 경우 해고에 해당할 것입니다.5인 이상 사업장이라면, 부당해고 구제신청 제기 시 사업주가 해고의 사유와 절차가 정당하다는 점을 입증해야 합니다.참고 바랍니다.
2024년 11월 11일 작성 됨
Q.
23년 11월 20일 입사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하 노무사입니다.19일도 연차로 근무한 것으로 보게 된다면, 365일 근무한 것으로서 퇴직금 지급 대상에 해당됩니다.마지막 근무일 다음날이 퇴사일이므로 문제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참고 바랍니다.
391
392
393
394
39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