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
이상훈 전문가
상명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4년 8월 11일 작성 됨
Q.
안녕하세요 세라와기관충입니다. 과거 조선시대에는 여성들이 은장도를 지니고 있었다고 합니다. 호신용으로 있었죠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은장도는 원래 고려시대에 시작돼 조선시대에 보편화된 칼을 차는 풍습에서 비롯된 수많은 종류의 도(刀)중 한 종류입니다.세간에 알려진 것처럼 여성의 정절을 지키기 위한 목적이라기보다는 장식구로 패용하고 다녔다고 합니다.
역사
2024년 8월 11일 작성 됨
Q.
고려의 왕릉 중에 현재 휴전선 이남 지역에 남아 있는 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남한에 남아있는 고려왕릉은 여몽전쟁 시기나 고려가 멸망한 후에 공양왕릉등이 조성되었기에 북한에 남아 있는 고려왕릉에 비해 초라합니다.희종의 석릉, 성평왕후의 소릉, 원덕왕후의 곤릉, 고종의 홍릉, 순경태후의 가릉을 포함하여 경기도 고양시와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에 위치한 공양왕릉이 고려 왕릉중 유일하게 대한민국에 위치합니다.
역사
2024년 8월 11일 작성 됨
Q.
백두산 정계비는 어떤 내용이 실려 있던 거였습니까.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백두산 정계비의의 주 내용은 조선과 청나라의 국경이 백두산을 중심으로 압록강과 두만강을 따라 설정되었다는 것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이 비석은 국경의 위치를 확정짓는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양국 간의 경계 분쟁을 예방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세워졌습니다.
역사
2024년 8월 11일 작성 됨
Q.
옛적에 하이힐이 개발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하이힐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설들이 존재합니다.질문자님 말처럼 중세 유럽에서는 하수처리 시설이 정비되지 않았기 때문에 길거리에 똥같은 오물들을 아무렇지 않게 버렸고 이를 밟지않기 위해 하이힐이 생겨났다는 설도 존재합니다.이와는 달리 고대 이집트에서 도축사가 바닥에 질퍽거리는 피를 밟지 않기 위해 굽이 높은 신발을 신고 다닌 것이 하이힐의 원형이라는 말도 있습니다.또한 페르시아의 기병들이 말을 타고 다니기 위해 하이힐을 사용했다는 설도 있습니다. 이 힐은 기수의 발을 등자에 단단히 고정시켜, 말 위에서 더욱 안정적으로 서있을 수 있도록하는 실용적 목적이었습니다.
역사
2024년 8월 11일 작성 됨
Q.
무궁화를 국화로서 지정한건 언제부터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법적으로 인정된 공식 국화는 아니지만 애국가에 나오는 가사에 의하여 무궁화가 국화로 인식되어 있습니다.다만 국회에서 무궁화를 국화로 지정하자는 논의가 꾸준하게 이어져 오고 있으며 국민 정서상으로도 무궁화는 우리 민족을 대표하는 꽃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역사
2024년 8월 11일 작성 됨
Q.
한국에 레저 보트가 도입된 시기는 언제 인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2006년 4월에 「수상레저안전법」 개정으로 수상레저기구를 등록하는 제도가 도입되었습니다. 2011년 12월부터는 총톤수 20톤을 기준으로 레저선박을 구분하여 「선박법」 또는 「수상레저안전법」에 따라 등록한다고 합니다.
역사
2024년 8월 11일 작성 됨
Q.
우리나라는 왜 굳이 동남아시아와 동북아시아로 나눠서 구분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동북, 동남아시아라는 용어는 서구의 기준에서 정해진 것입니다.우리나라 위치를 기준으로 인도네시아등의 나라는 정확히는 서남아시아가 되어야 겠지요.동남아시아와 동북아시아는 기후대도 다르고 인종이나 문화가 판이하게 다르기 때문에 같은 아시아권이라고 해도 구분지어 부를 수밖에 없습니다.
역사
2024년 8월 11일 작성 됨
Q.
지폐속의 인물들의 다수가 수염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지폐에는 아무래도 과거의 위인들이 들어가게 됩니다.현재와 가까운 인물이면 아무래도 찬반 논란이 심하기 때문이죠.과거에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남자가 수염을 기르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남성다움의 상징이기도 했고 면도 기술이 발달하지 못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역사
2024년 8월 11일 작성 됨
Q.
일본에서 돈까스를 개발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일본은 그들의 서구식 근대화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된 메이지 유신 이후, 정부 주도로 사회 전반에 서구화 정책을 강력히 시행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육식을 적극 장려하였는데 서구에 비해 체구가 왜소한 것이 식습관 때문이라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단숨에 육류 생산량이 늘어날 수 없었기 때문에 한정된 고기만으로도 여러 사람들을 맛보게 하기 위해서 고기를 얇게 썬 후에 튀김 옷을 입혀서 양을 늘린 것이 돈까스의 시초가 되었습니다.
역사
2024년 8월 11일 작성 됨
Q.
옛날에 삼족을멸한다고할때 삼족의범위는어디까지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삼족은 부계 · 모계 · 처계 친족을 통틀어 부르는 말입니다.삼족의 범위를 확대했을 때는 인척(姻戚)까지 포함되기도 하나, 벌을 받는 당사자의 인척이나 외족·처족이 영향력이 있을 경우는 삼족의 범위가 동성삼족으로 국한되는 수도 있었습니다.
71
72
73
74
7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