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
경동고등학교
Q.  국내 천문대는 어느지역에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국내에는 대부분의 지자체마다 천문대를 가지고 있으며 지역별로 사설 천문대도 많이 있습니다. 경기도 지역에는 양평 중미산에 있는 중미산천문대, 양주시 장흥면에 있는 송암스페이스센터, 경북 예천 천문우주센터, 대전 시민천문대 등이 있고, 서울에는 노원천문우주과학관, 광장동의 서울시립천문대, 봉천동에 있는 서울특별시융합과학교육원, 용산 과학동아 천문대 등이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블랙홀 개념을 최초로 제안한 인물은 누구며, 실질적으로 최초로 수학적 계산을 성공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블랙홀(black hole)은 중력이 매우 강하여 빛조차 탈출할 수 없는 시공간상의 중력 특이점으로 대표되는 천체를 말합니다. 블랙홀이라는 개념은 1783년 영국의 존 미첼에 의해 제안되었습니다. 존 미첼은 탈출 속도 개념을 이용하여 블랙홀의 개념을 설명하였습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탈출 속도가 광속 이상인 천체에서는 빛조차 빠져나올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그는 이 별의 빛이 우리에게 도달하지 못하므로 검은색의 공처럼 보일 것으로 생각하고 ‘어두운 별(dark star)’이라고 하였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지구 공전으로 발생하는 원심력은 얼마쯤되고 중력대비해서 얼마쯤 된다고 볼 수있나?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지구 중력과 원심력을 비교하려면 공전이 아니라 자전에 의한 원심력을 비교해야 합니다. 지구 자전에 의한 원심력은 적도에서 가장 큽니다. 지구 반지름이 6400km, 자전 각속도가 2π/(24×3,600) = 7.26×10^-5(1/s)이므로 적도에서의 원심력에 의한 가속도의 크기는 6.4×10^6 (7.26×10^-5)^2 = 0.034(m/s^2)이 됩니다. 적도에서 표준 중력 가속도의 크기가 9.78m/s^2이므로 적도에서 자전에 의한 원심력은 중력의 약 0.35% 정도가 됩니다. 다시 말하면 중력이 원심력의 약 288배입니다.따라서 지구과학 교과서 등에 실린 그림은 중력에 비해 원심력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매우 크게 표시한 것입니다.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실제 크기와는 관계가 없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지구본은 언제 만들어지고 누가 대중화를 했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지구본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기원전 150년 고대 로마의 지리학자인 스트라본의 저서인 에 나옵니다. 그는 당시에 만들어진 다른 사람들(포세ㅣ도니오스와 크라테스)의 지도를 보았으며, 크라테스의 지구의에 대한 설명을 남겼습니다. 현재 가장 오래된 지구본은 1492년 뉘른베르크의 마르틴 베하임이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가 만든 지구본은 지름 54.1cm의 구 모양에 가죽으로 만든 것이었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왜 태양계의 행성들은 대부분 같은 평면에서 공전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과학자들은 태양계가 하나의 성운에서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성운이 회전함에 따라 성운 자체는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납작하게 원반 모양으로 변했고, 이 원반에서 물질들이 중력으로 뭉쳐 행성들이 만들어졌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행성들의 공전 궤도면이 어긋난 정도는 지구의 공전 궤도의 경사를 0이라고 할 때, 최대 7도(수성)에서 최소 0.8도(천왕성)입니다. 명왕성은 17.1도 어긋나 있는데, 여러 사실들로 볼 때 명왕성은 태양계가 만들어질 때 같이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고 보고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1121314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