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원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영 전문가입니다.
이원영 전문가
아주스틸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3년 4월 23일 작성 됨
Q.
다른나무와 달리 소나무는 겨울에도 푸른빛을 띄는이유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소나무는 칩엽수 입니다. 잎의 조직이 공기와 수중기가 이동하는 공간이 좁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추위에 강한 구조를 형성하고 수분이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 하고 또 양분이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했습니다. 그래서 계절에 관계없이 봄, 여름, 가을, 경울에 활엽수처럼 떨어지지 않고 녹색잎을 그래로 유지하는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4월 23일 작성 됨
Q.
번개는 왜 일자가 아닌 여러갈래로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번개가 지그재그로 이동하는 이유는 대기중에 전기가 흐르는 대 있어서 방해하는 요소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공기는 원래 절연체입니다. 고압의 전기는 공기 절연체를 파괴하여 전류가 흐를 수 있게 하고습기가 많은 곳을 골라서 가기 때문에 지그재그로 가는 것입니다.
화학
2023년 4월 23일 작성 됨
Q.
부모에게 없는 특징이 자녀에게 나타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있을 수 있습니다. 유전적으로 열성으로 부모님에게는 나타나지 않았는 데, 아이에게는 그 열성인자가 나타나 새로운 특성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3년 4월 23일 작성 됨
Q.
피는 빨간색인데 핏줄은왜 초록색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 몸에 피는 빨간색입니다. 산소와 결합하고 있으면 붉은 색을 띠고 이산화탄소와 결합하고 있으면 검푸른 색을 띱니다. 동맥은 피부 안쪽에 존재하고 정맥은 상대적으로 바깥쪽에 존재하죠. 그래서 우리가 보는 핏줄은 정맥입니다. 그래서 파란색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화학
2023년 4월 23일 작성 됨
Q.
사람은 왜 새벽에 더 감성적이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낮에는 사람에게 자극하는 것이 많아 집니다. 소음 여러가지 일들이 일어나죠. 그만큼 여러자극을 받게 됩니다. 새벽에는 사람을 작극하는 것이 적어집니다. 그 만큼 감정에 집중하고 사색할 시간이 많아지는 것 입니다.그래서 감성이 풍부해 지는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4월 23일 작성 됨
Q.
청동기가 왜 철기보다 앞섰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철보다는 동을 다루기 쉬워서 그랬습니다. 당시의 기술로 철을 다루기 힘들었기 때문입니다. 철은 녹는점이 1538도입니다. 반면 동은 1084도에서 녹습니다 상대적으로 구리가 다루기 쉬웠죠.
생물·생명
2023년 4월 23일 작성 됨
Q.
물이 없으면 생물이 살수 없나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산소없이 생존하는 생물은 있으나 물은 불가합니다.원시지구의 대기는 산소가 없는 상태였으며,원시 바다에서 최초의 혐기성 종속영양생물이 탄생하게 됩니다.혐기성 생물은 산소가 없는 조건하에서만 생존이 가능합니다. 이 생물들은 원시바다에 풍부한 유기물을 이용하여 대사를 하게되고 이산화탄소를 생성합니다. 이후 이 이산화탄소를 이용하는 독립영양생물이 등장함으로써 산소가 발생하게 되고 대기엔 산소가 쌓이게 됩니다. 산소들은 오존층을 형성하여 자외선을 막아주고 드디어 생물은 육상으로 진출하게 됩니다.오랜 시간이 지난 지금도 혐기성 미생물들이 존재하며,산소가 반드시 필요한 생물을 호기성반드시 없어야하는 생물을 절대적 혐기성없어도 살지만 있어도 생존가능하면 조건부 혐기성아주 낮은 산소농도에서만 생존가능하면 미호기성 이라고 합니다.
화학
2023년 4월 23일 작성 됨
Q.
숯은 나무가 타다남은것인데 제습기능이 있는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숯은 제습기능이 있습니다. 물론 숯에는 수분이 없습니다. 그리고 미세한 기공이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수분이 이 기공으로 빨려 들어가 제습기 역활을 하며 이러한 기공은 냄새를 잡아내는 역활도 하고 세균의 번식을 막아주는 역활도 합니다.
생물·생명
2023년 4월 23일 작성 됨
Q.
타조를 제외하고 가장 몸이 큰 새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가장 큰 새는 타조이고요 그다음은 큰화식조 입니다. 그다음은 에뮤 / 황제펭귄 / 레아 / 아프리카튼트시 순으로 되어 있네요
물리
2023년 4월 23일 작성 됨
Q.
헬스를 하고나면 왜 하고 나서 바로 아프지 않고 하루 지나면 아플까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지연성 통증 증후군 (DOMS) 때문입니다.운동은 근육 섬유의 손상을 일으키고, 이것이 회복되는 과정에서 더 강하고 큰 근육이 생생되는데요. 이때 일어나는 손상을 회복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염증 반응이 일어나게 됩니다.이것이 운동 직후가 아닌 약 48시간 이후 시작되어 2-3일 경에 정점을 찍고 점차 근육통이 줄어드는 이유입니다.
256
257
258
259
26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