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이기준 전문가
맑은글터동인
Q.  :(콜론)과 ;(세미콘론)의 용도?차이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콜론과 세미콜론은 영어 문장부호 중에서 가장 많이 헷갈립니다. 콜론은 설명을 덧붙이거나 목록을 제시할 때 사용합니다.I have three pets: a cat, a dog, and a fish.세미콜론은 두 개의 독립된 문장을 연결할 때 사용합니다.I like to read; I also like to write.
Q.  단테의 신곡은 무슨내용인가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단테의 신곡은 이탈리아의 작가 단테 알리기에리가 1308년부터 쓰고 죽기 1년 전인 1320년에 완성한 대표 서사시입니다. 이탈리아 문학에서 가장 뛰어난 작품이자 인류의 위대한 작품으로 널리 평가받고 있습니다. 원 제목은 인데 일본의 작가 모리 오가이가 '신성스런(神) 노래(曲)'라는 뜻으로 번역할 때 써서 지금도 그렇게 쓰이고 있습니다. 작품 내용 중 행의 마지막 음절 압운이 계속해서 3번씩 반복되며, 한 행은 전부 11음절로 구성된 시의 형태른 띠고 있습니다.지옥편, 연옥편, 천국편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지옥편에 비해 연옥편과 천국편은 내용이 난해해서 상대적으로 사람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다고 합니다. 천국편은 특히 수비학적, 신비주의적 묘사, 신학적 관점이 잔뜩 들어가 있습니다. 단테 본인도 천국편의 서문에서 천국편은 지식이 좀 되는 사람만 읽으라고 기술해두었다고 합니다. 내용은 고대 로마 최고의 시인 베르길리우스와 젊은 시절 짝사랑했던 베아트리체의 인도를 받아 사후세계인 지옥, 연옥, 천국을 여행하며, 신화 혹은 역사의 인물들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는데, 이를 통해 당시 기독교 신앙과 윤리 및 철학을 고찰하는 내용입니다.
Q.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인종차별적 요소가 많은 소설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작품은 시대상을 담고 있습니다.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배경은 1939년 작품으로 당시는 노예제도가 있던 시기였기에 작품에 그러한 내용들이 담겨있습니다. 이 사실을 문제 삼는 쪽에서는 "이 소설은 용납할 수 없는 관행, 인종차별적이고 고정 관념적인 묘사, 문제가 되는 주제, 언어, 이미지가 포함돼 있다"며 독자들에게 해를 준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특히 내용에서 남북전쟁 당시 노예제도를 찬성한 미국 남부 연합의 대의를 찬성했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며 인종차별주의적 소설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백인우월주의에 입각한 소설이라는 것이죠. 지금의 시각에서 보면 그러한 내용들이 인종차별적 요소로 평가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당시는 노예제도를 옹호하는 남부와 그에 반대하는 북부의 대립으로 인한 남북전쟁의 당시를 다룬 작품으로 당연히 당시의 여러 시대상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잘못된 제도였음에는 틀림이 없지만 그 시대를 다룬 작품에서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부끄럽고 잘못되었지만 그러한 과정을 통해 지금의 자유로운 국가로 거듭났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저의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지금의 관점으로 봐서는 인종차별적 요소가 있는 작품이 맞지만, 당시 시대적 상황은 그러한 노예제도가 있었고, 그것의 찬반이 의견대립을 보이던 시기였으며, 작품의 배경이 미국 남부 조지아의 노예제도를 찬성하는 지역이었음을 감안하면 작가는 인종차별을 정당화했다기 보다는 시대상을 그대로 보여줬다고 생각됩니다. 사실 작품을 보았을 때 노예제도를 미화하거나 하는 내용이 있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반대에 의해 HBO에서는 해당 작품을 볼 수 없다고 합니다. 역사는 역사이고 시대상은 시대상입니다. 변할 수 없습니다. 그렇다고 외면할 수 없습니다. 한국의 역사드라마 등을 보아도 왕과 양반이 존재하는 계급제이고 노예제도가 있었다고 해서 인종차별이나 인권유린적 작품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고대 이집트를 배경으로 한 작품이나 로마 시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라는 작품에서도 그러한 내용이 나오는데 인종차별이나 인권유린적 작품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그 시대에 정말로 있었던 역사였기 때문입니다. 에서 노예제도에 대해 나쁜 것이고, 그것을 극복하는 내용이 아닌 그냥 백인들의 로맨스와 노예제도를 옹호하는 듯한 내용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그 시대적, 지역적 배경으로 볼 때 묘사 가능한 표현이었지, 그것을 주장하고 강조하는 의도가 있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해당 역사의 당사자였던 분들의 아픔으로 인해 충분히 문제제기 할 수는 있는 것이나 폭력적인 행동으로 이어지는 것에 대해서는 안타까울 뿐입니다. 작가는 작품으로 시대를 말합니다. 그 시대를 말할 때 자신의 의견을 포함시킬 수도 있고, 사실 그대로를 묘사하고 판단을 독자에게 맡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명확한 의견을 표시하였다면, 그리고 이후 그것이 인정되었다면 모르겠지만 한 시대를 풍미한 작품을 사장시키기에는 좀 과한 판단이지 않을까 합니다.
Q.  망부석 설화를 모티브로 한 작품이 또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고대가요로 백제에서 전해져 내려온 가 있습니다. 현대에는 뮤지컬 , 영화 , 오페라 , 희곡 등이 있습니다.
Q.  깡패라는 단어의 어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영어의 Gang이라는 단어와 무리를 뜻하는 한자 패 牌 가 합쳐져 Gang이 깡으로 변형되어 '깡패'라는 말로 불려졌다고 합니다.
1161171181191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