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이기준 전문가
맑은글터동인
Q.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했다고 하는데 '선종'은 어떤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가톨릭에서 임종 때에 성사를 받아 큰 죄가 없는 상태에서 죽는 일을 선종이라고 합니다. 한자로 善終이라고 쓰며 직역하면 '착한 or 선한 마지막'이라는 뜻입니다.
Q.  국어에서 중요한 문장을 가리는 기준이 무엇인가요? 중요 문장 찾기를 하고 있는데 중요 문장이 왜 중요문장인지 어찌 파악할 수 있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글 속에서 중요 문장을 찾는 것은 그 글이 어떠한 주제로 기술되고 있는 것인지를 파악하여 그 글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세지를 찾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글을 읽어보고 그 글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파악한 후 그 분위기에 핵심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문장을 찾아내는 독해력(문해력이라고도 함)을 기르기 위함입니다. 쉽게 말해서 독해력인데, 이 독해력은 우리가 단순히 아는 영어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무슨 뜻인지를 아는 독해력이 아니라 영어, 한국어 할 것 없이 모든 언어로 쓰여진 글에 있어서 글의 내용과 주된 목적을 이해하고 전달하고자 하는 메세지를 파악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Q.  소설 기법 중 내러티브 기법은 어떤 기법이고 어떤 효과를 기대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내러티브라 함은 정해진 시공간 내에서 인과 관계로 이어지는 허구 또는 실제 사건들의 연속을 뜻합니다. 문학에서의 내러티브 기법이라 함은 서술 기법 중의 하나입니다. 노인과 바다에서의 내러티브 기법이라 함은 어떤 특별한 기법이라기 보다는 소설 속 이야기를 시점전환, 주인공 산티아고, 어린 견습생 마놀린, 산티아고의 바람이자 자연의 강함의 상징인 청새치, 자연의 파괴적인 힘과 삶의 도전을 나타내는 상어 등의 관계를 이미지, 상징, 은유, 대화를 통해 서술하면서 독자에게 최적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시점과 화자의 전략적인 배치를 하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을 산티아고의 여정과 그가 직면한 도전을 따라가는 섹션로 나눈 내러티브 구조로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그로 인해 독자는 이 소설 속에 자신이 몰입하게 되고 산티아고와 마놀린의 삶이 자신의 삶과 동일시 하여 소설 속에서 그 여정을 함께하고 고민하고 이겨나가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Q.  현대 문학에서 자주 등장하는 자기서사란 무엇을 의미하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자기서사란 시공간에서 벌어진 사건이나 인물의 행동을 묘사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자신의 이야기를 1인칭 주인공의 시점으로 말하게 되고 '나'라는 존재는 대상화가 되어 자신을 알게 되는 방식으로 작동하게 됩니다. 그림으로 비유하자면 자화상이 되는 것입니다. 시공간, 기물(器物), 인물(작가)의 구체적 행동 등의 구성이 작가의 심리적 측면인 자의식, 자기 성찰, 욕망 등을 다른 표현 방식보다 좀더 가깝고 세밀하게 표현해주기 때문에 현대문학에서 자기서사라는 내용으로 서술하게 되면 좀더 몰입감을 줄 수 있습니다.
Q.  우리나라에서는 어떻게 '요단강을 건너다'라는 죽음을 의미하는 표현이 생겨났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요단강을 건너다는 말은 일반적으로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거나 새로운 도전을 시작한다는 의미라고 합니다. 성경에서는 요단강을 건너서 새로운 땅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신약 성경에서는 죽음과 부활을 의미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이 두가지 의미 중에서 죽음에 초점을 맞추어 요단강을 삶과 죽음의 경계라고 인식하고, 그 강을 건너는 것을 삶의 세계에서 죽음의 세계로 넘어가는 것이라고 고착화된 것 같습니다.
212223242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