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이기준 전문가
맑은글터동인
문학
문학 이미지
Q.  밀그램 실험이 현대 사회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1961년 예일대 심리학과 스탠리 밀그램이 실시한, 권위에 대한 복종 실험이었습니다. 그는 사람들이 파괴적인 권위에 굴복하는 이유가 성격보다 상황에 있다고 명제를 제시하고 굉장히 설득력 있는 상황이 생기면 아무리 이성적인 사람이라도 윤리적, 도덕적인 규칙을 무시하고 명령에 따라 잔혹한 행위를 저지를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실험자는 선생 역할의 피실험자에게는 학생에게 테스트할 문제를, 학생 역할의 배우에게는 암기할 단어를 제시하고 선생에게 학생들을 테스트한 후 학생이 문제를 틀릴 때마다 15볼트부터 시작하여 450볼트까지 한번에 15볼트 씩의 전기 충격을 가하라고 지시하였습니다. 그가 살피고자 했던 것은 선생들이 전압을 높여가는 과정에서 어떤 태도를 보이는가였습니다. 사실 학생 역할은 배우였고, 전기충격도 가짜였다고 합니다. 밀그램은 0.1% 정도의 사람들이 450볼트까지 전압을 올릴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예상과는 달리 65%의 피실험자가 450볼트까지 전압을 올렸고 이 실험은 1971년 필립 짐바르도의 스탠퍼드 감옥 실험까지 확대되었습니다. 밀그램의 실험은 피실험자들에게 심리적 외상을 줄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미리 알리지 않았다는 이유로 윤리적으로 많은 비판을 받았고 결국 대학에서 해임되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후 비슷한 형태의 실험에서도 진행되었고, 실험윤리강령을 준수하도록 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의미있는 결과를 보여 사회압력이 주는 영향력을 증명하게 되었습니다. 이것은 현대사회의 군중심리학, 권위에 대한 복종, 악의 평범성, 루시퍼 이펙트 등의 심리학적인 연구에 기여하며, 파괴적인 권위, 권력에 복종하는 인간의 나약함이 그 성격이 아닌 상황에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현대사회에서의 정치적 권력에의 무조건적인 복종, 그릇된 신념의 맹종 등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면서 밀그램의 실험이 재조명되는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특히나 대한민국에서 최근 탄핵, 계엄, 탄핵의 사태가 벌어지면서 사실상 국민과의 대립이 아닌 정치권 양당의 대립이 그들을 지지하는 세력의 대립으로 확산됨에 있어서 권력자의 생각과 방향에 따라 지지세력들의 생각도 따라가는 양극화를 보여줌에 따라 다시 한번 생각해봐야 할 문제인 것 같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집단 극화가 발생하는 주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영어로 Group polarization이라고 합니다. 집단 내의 토론 과정에서 구성원들이 보다 극단적 주장을 지지하게 되는 사회심리학 현상입니다. 개인의 위치에서는 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도 집단이 되면 자신이 그 부담을 책임지지 않아도 되니 더욱 과격한 주장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집단 극화가 일어나는 원인으로는 사회비교이론, 설득주장이론, 자기범주화이론이 있습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사회비교이론 - 영국의 사회심리학자 데이비드 마이어스(David Myers)는 사람들은 우유부단하다는 평가보다 소신이 있다는 평가를 선호하기 때문에 집단 토론 과정에서 자신이 다른 사람들에 비해 보다 선명하다는 평가를 얻기 위해 극단적 주장에 동참한다는 이론설득주장이론 - 마틴 카플란과 찰스 밀러는 사람들이 토론 과정에서 어느 한 주장이 보다 설득력있다고 인정하게 되면 점차 보다 많은 사람들이 그 주장에 동조하게 된다는 설득주장이론을 내세웠는데 이는 집단 극화의 경향을 모험적 이행과 보수적 이행으로 구분하고 그 둘 가운데 어느쪽으로 사람들이 극화될 것인지는 초기 토론을 지배하는 주장의 성격에 따른다는 이론자기범주화이론 - 존 터너는 개인은 자신이 속한다고 믿는 내적 집단의 견해를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옹호하려 하고 그렇지 않은 외적 집단과 구분하는데 이 경우 내적 집단의 규범이 사회적 평균보다 극단화되면 그것에 소속감을 갖는 개인들도 극단화된다는 이론
문학
문학 이미지
Q.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했다고 하는데 '선종'은 어떤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가톨릭에서 임종 때에 성사를 받아 큰 죄가 없는 상태에서 죽는 일을 선종이라고 합니다. 한자로 善終이라고 쓰며 직역하면 '착한 or 선한 마지막'이라는 뜻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국어에서 중요한 문장을 가리는 기준이 무엇인가요? 중요 문장 찾기를 하고 있는데 중요 문장이 왜 중요문장인지 어찌 파악할 수 있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글 속에서 중요 문장을 찾는 것은 그 글이 어떠한 주제로 기술되고 있는 것인지를 파악하여 그 글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세지를 찾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글을 읽어보고 그 글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파악한 후 그 분위기에 핵심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문장을 찾아내는 독해력(문해력이라고도 함)을 기르기 위함입니다. 쉽게 말해서 독해력인데, 이 독해력은 우리가 단순히 아는 영어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무슨 뜻인지를 아는 독해력이 아니라 영어, 한국어 할 것 없이 모든 언어로 쓰여진 글에 있어서 글의 내용과 주된 목적을 이해하고 전달하고자 하는 메세지를 파악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소설 기법 중 내러티브 기법은 어떤 기법이고 어떤 효과를 기대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내러티브라 함은 정해진 시공간 내에서 인과 관계로 이어지는 허구 또는 실제 사건들의 연속을 뜻합니다. 문학에서의 내러티브 기법이라 함은 서술 기법 중의 하나입니다. 노인과 바다에서의 내러티브 기법이라 함은 어떤 특별한 기법이라기 보다는 소설 속 이야기를 시점전환, 주인공 산티아고, 어린 견습생 마놀린, 산티아고의 바람이자 자연의 강함의 상징인 청새치, 자연의 파괴적인 힘과 삶의 도전을 나타내는 상어 등의 관계를 이미지, 상징, 은유, 대화를 통해 서술하면서 독자에게 최적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시점과 화자의 전략적인 배치를 하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을 산티아고의 여정과 그가 직면한 도전을 따라가는 섹션로 나눈 내러티브 구조로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그로 인해 독자는 이 소설 속에 자신이 몰입하게 되고 산티아고와 마놀린의 삶이 자신의 삶과 동일시 하여 소설 속에서 그 여정을 함께하고 고민하고 이겨나가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현대 문학에서 자주 등장하는 자기서사란 무엇을 의미하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자기서사란 시공간에서 벌어진 사건이나 인물의 행동을 묘사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자신의 이야기를 1인칭 주인공의 시점으로 말하게 되고 '나'라는 존재는 대상화가 되어 자신을 알게 되는 방식으로 작동하게 됩니다. 그림으로 비유하자면 자화상이 되는 것입니다. 시공간, 기물(器物), 인물(작가)의 구체적 행동 등의 구성이 작가의 심리적 측면인 자의식, 자기 성찰, 욕망 등을 다른 표현 방식보다 좀더 가깝고 세밀하게 표현해주기 때문에 현대문학에서 자기서사라는 내용으로 서술하게 되면 좀더 몰입감을 줄 수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우리나라에서는 어떻게 '요단강을 건너다'라는 죽음을 의미하는 표현이 생겨났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요단강을 건너다는 말은 일반적으로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거나 새로운 도전을 시작한다는 의미라고 합니다. 성경에서는 요단강을 건너서 새로운 땅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신약 성경에서는 죽음과 부활을 의미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이 두가지 의미 중에서 죽음에 초점을 맞추어 요단강을 삶과 죽음의 경계라고 인식하고, 그 강을 건너는 것을 삶의 세계에서 죽음의 세계로 넘어가는 것이라고 고착화된 것 같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이슬람교를 한자로 回敎로 표기하는 것은 언제부터였고 그 의미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한국에 이슬람이 처음 소개된 것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때 중국을 통해서라고 합니다. 당시의 중국 북서부에 소수민족인 회족(回族)이 있었는데 대부분 무슬림이어서 회족이 믿는 종교라는 뜻으로 이슬람을 회교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그런데 이슬람교를 회교라고 부르는 것은 본래 이슬람이라는 말은 하나님에 대한 복종을 통한 평화'라는 뜻의 아랍어이므로 잘못된 표현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우리가 한자문화권이기는 하나 한글이라는 독자적이고 독창적인 문자를 가졌고, 회교라는 것은 이슬람문화권에서 느끼기에 불쾌할 수 있으므로 제대로 된 표현인 이슬람으로 부르는 것이 좋다고 생각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인사말로 쓰이는 '안녕하세요'라는 표현은 언제부터 쓰였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안녕(安寧)이라는 말은 한자어인데 별일 없이 편안하다’는 뜻입니다.중국의 고서인 등에서도 그 말이 있었고, 그 의미도 지금에의 뜻과 동일하게 사회나 국가가 평안하고 안전하다는 의미라고 합니다. 하지만 현재 대한민국, 중국, 대만, 일본 등 한자 문화권에서 이것을 안부를 묻는 인사말로 쓰는 곳은 대한민국 하나 밖에 없다고 합니다. 언제부터 보편적으로 사용하였는지는 명확하게 알 수 없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잘 들어 주는 것이 왜 중요한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경청은 인간관계, 세부적으로 대화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태도입니다. 상대방과 이야기 할 때 자신의 주장을 먼저 내세우는 것보다 상대방의 이야기를 듣고 공감하고 호응하며 친근감을 상승시킨 후 자신의 이야기를 전달하면 더 쉽게 수용하게 됩니다.정부에서 어떠한 정책을 펼칠 때에도 정부의 생각과 주장만으로 정책을 수립하고 펼치는 것보다 현장의 목소리를 먼저 경청하고 국민들이 어떠한 것을 실생활에서 원하는가를 파악한 후 적용하면 좀더 효과적이고 수용성이 높은 정책을 펼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상대방에게 내가 당신의 말을 잘 경청하고 있다는 것을 어필하기 위해서는 중간중간 추임새 등으로 호응해준다던가 대화의 맥락을 이어나갈 수 있는 질문을 한다던가 또는 말에 따른 표정으로 공감을 표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212223242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