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제우스가 아버지 크로노스가 삼켜버렸던 형제들은 뱉어내게 한 방법은?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크로노스의 아내 레아가 다섯 아이를 잃고 마지막 제우스를 지키기 위해 돌덩이를 포대기로 싸서 크로노스에게 제우스인양 삼키게 하였습니다. 그렇게 위험을 피한 제우는 성인이 되어 크로노스에게 먹은 것을 모두 토해내는 약을 먹였고, 이에 크로노스는 다섯 명의 자식들과 돌덩이까지 토해내게 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살아난 다섯이 헤라, 하데스, 포세이돈, 헤스티아, 데메테르입니다.
Q. 문화의 다양성이 나타나는 사례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문화의 다양성은 여행, 예술적 교류, 언어, 문자 등으로 표현되어집니다. 이러한 문화는 오랜 세월 살아오면서 축적되어오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집단이 함께 하는 사회, 지역에 따라서 관습, 음식 등이 각 지역의 문화별로 다르게 나타나게 됩니다. 이것을 문화의 다양성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다양성을 지닌 문화는 서로의 문화를 포용하기도 하지만, 양면적으로 배타성을 지니기도 합니다. 그렇기에 종교, 인종, 관습, 역사 등의 충돌로 인해 서로 다른 문화가 갈등을 겪기도 합니다.
Q. 소설에서 유미주의와 탐미주의는 무슨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유미주의와 탐미주의는 둘다 미와 쾌락을 추구하는 사상입니다. 둘을 같은 사상으로 보는 시각도 있지만 세부적인 의미로 본다면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유미주의는 오직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사상으로 예술을 위한 예술이라는 철학을 내세우며, 예술의 자율성과 미적 가치를 무엇보다 중시합니다. 예술을 정치, 종교 등 모든 목적에서 벗어나 예술 그 자체가 목적이어야 한다는 사상이 밑바탕에 깔려있습니다. 그로 인해 종교적, 도덕적으로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탐미주의는 아름다움에 몰입하는 사상으로 쾌락을 삶의 주요 목표로 삼으며 육체적, 감각적 쾌락을 통해 삶의 의미를 찾아야 한다는 사상입니다. 감각적 쾌락, 특히 성적 쾌락이나 육체적 즐거움을 긍정적으로 바라보았고, 이를 예술과 삶의 중요한 요소로 다루었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종교적, 도덕적으로는 비판을 받았습니다.이 두 사상이 팽배했던 것은 19세기 말 유럽인데 당시 기독교에서는 이것을 도덕적 타락으로 보고 이러한 것들을 절제하여야지 영적인 구원을 받을 수 있다고 대립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