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이기준 전문가
맑은글터동인
Q.  석보상절이 편찬되게 된 동기와 간행시기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석보상절은 1447년(세종 29)에 간행되었다고 합니다. 편찬 동기와 간행 시기는 와 에 기록되어있습니다. 편찬동기는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고 대중을 불교에 귀의하게 하기 위한 데 있다고 쓰여있습니다.
Q.  전 세계에서 가장 독창적인 판타지 문학 작품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J.R.R. 톨킨의 '반지의 제왕' 시리즈라고 생각합니다. 중간계라는 고유의 세계를 세밀하게 구성하여 독자에게 몰입감을 제공하며, 이러한 세계관 속에서 독자들이 판타지 속 인물들과 사건에 감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특히 인간, 엘프, 난쟁이, 마법사, 트롤 등의 상관관계를 선악의 개념을 부여하여 잘 연결하였고, 마법과 기술이 공존하는 사회에서 결국 인간의 욕망을 어떻게 제어해야 하는가에 대한 교훈도 부여하였습니다. 그리고 종족 간의 융합과 사랑의 요소를 넣어 다문화, 글로벌 사회의 통합에 대한 의미도 가미하였습니다. 이에 반지의 제왕 시리즈가 가장 독창적인 판타지 문학이라고 생각됩니다.
Q.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소설인 홍길동전은 허균이 지은것으로 알고있는데 홍길동이라는 실존인물을 바탕으로 소설을 쓴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홍길동전은 허균이 중국의 수호전을 모방하여 썼다고 후학 이식이 택당집에서 밝히고 있습니다. 이에 홍길동전은 허균이 쓴 허구의 최초의 한글소설이라고 알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윤석 전 연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가 지소 황일호(1588~1641)가 쓴 홍길동의 일대기인 을 "지소선생문집"에서 찾았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허균의 한글 홍길동전 다른 내용의 한문으로 된 홍길동전입니다. 허균(1569~1618)아 황일호보다 먼저나고 죽었기에 어떤 작품이 먼저 쓰였는지는 알 수 없지만, 조선왕조 실록에 연산군 6년(1500)에도 홍길동을 잡았다는 기록이 있고, 선조 21년(1588)에도 홍길동의 나옵니다. 실록에서는 일관되게 홍길동을 충청도 지역에서 출몰하던 도적떼의 우두머리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에서는 노혁은 본래 성은 홍, 이름은 길동으로 명망있는 집안의 자손이다라고 기술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연산군 6년이 1500년인데, 선조 21년 1588년까지 도적 홍길동의 이름이 실록에 기록되어있다는 것으로 보아 당시에 첫 홍길동은 이름이었을지라도 이후에는 그 도적떼의 우두머리의 명칭이 되지 않았을까 유추해봅니다. 어찌되었든 실록에도 도적의 우두머리로 홍길동이라는 이름이 있으니 그 이름을 차용한 것이든, 실존의 행위를 포함한 것이든 실존인물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Q.  향가의 장르적 성격은 현존하는 25수의 향가만 놓고 볼때 어떤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향가 자체가 고대 시가의 한 장르입니다. 향가는 4구체 계열의 민요계향가, 10구체 계열의 사뇌가계향가가 하위 장르로 있습니다. 이것을 오늘날 시가의 형태와 비교하여 본다면, 4구체의 민요계향가는 민요적 전통속에서 산출된 문자문학으로 민요시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는 것입니다. 서동요, 헌화가, 도솔가, 풍요, 처용가, 도이장가가 그러합니다. 10구체 사뇌가계향가는 창작시의 전통에 기반을 둔 전형적인 서정시의 성격을 띠고 있습니다. 혜성가, 모죽지랑가, 원왕생가, 원가, 제망매가, 안민가, 찬기파랑가, 도천수대비가, 우적가, 보현시원가 11수가 그러합니다.
Q.  엑소시즘이 단순히 종교적인 의식인지, 아니면 다른 문화적 또는 심리적인 측면도 포함하고 있는지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엑소시즘은 빙의된 악령을 퇴치하는 의식을 말합니다. 엑소시즘은 각 종교마다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제일 많이 소개되는 것이 카톨릭의 구마의식, 개신교의 안수의식, 불교의 천도제, 무속신앙의 굿 등입니다. 도교에서도 많은 퇴마의식이 있는데 우리가 영화나 드라마에서 보는 치렁치렁한 도포를 입고 높은 두건을 쓰고 동전검, 부적 등으로 하는 행위가 그런 것입니다. 이슬람에서는 귀신이나 악령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믿는다고 하니 정통 이슬람에는 없는 듯 합니다. 이러한 엑소시즘은 카톨릭, 개신교, 불교 등에서는 종교의식이기도 하고, 도교나 무속신앙에서는 문화적 심리적인 측면도 있습니다. 전통적인 무속신앙에서의 엑소시즘은 공동체의식, 희생정신 등으로 령을 어르고 달래며 사람의 몸에서 벗어나게 합니다. 이러한 무속신앙에서의 엑소시즘은 집단 사회, 즉 고대 부족사회에서 무속인을 중심으로 믿으며, 결속하는 도구로 사용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리고 무속인이 신과 통하여 자신들을 나쁜 악령에서 지켜주고 있다는 심리적인 안정감을 가져다 주기도 합니다.
616263646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