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이기준 전문가
맑은글터동인
문학
문학 이미지
Q.  구운몽 주인공 성진과 작가 김만중은 어떤 공통점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김만중은 서인의 한사람으로 당쟁으로 인해 남인이 정권을 잡을 때마다 귀양을 가야했습니다. 그때마다 김만중은 자신을 걱정하는 어머니을 안타깝게 여겼습니다. 그의 어머니는 청상과부였고, 늙어서는 자식이 귀양가는 모습을 멀리서 지켜봐야만 했습니다. 이러한 어머니를 위로하고 편안하게 해드리기 위해서 좋아하시는 이야기를 쓰게 된 것입니다. 구운몽의 주인공인 성진은 연화도장에서 도를 닦는 인물로 김만중의 생애와는 공통점이 많지 않은 것처럼 보이지만, 도를 닦는 것이나 관직에 나가 출세하려는 것이나 무언가를 이루고자 하는 것은 유사합니다. 성진이 꿈 속에서 양소유로서 살아가는 모습을 볼 때 김만중의 모습과 유사한 부분이 있습니다. 김만중은 유복자로 태어났고, 양소유도 태어나자마자 부친이 하늘로 올라가 버리고 말지요. 또 성진의 꿈 속 인물인 양소유는 언제나 어머니를 생각하며 어머니에게 효도를 다하고자 했는데 이것은 김만중이 자신의 모습을 투영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야기의 내용에 성진이 8선녀를 만나 놀다가 죄를 받아 인간세계의 양소유로 태어나게 되고, 그 8선녀를 다시 인간세계에서 만나 부와 즐거움을 누렸으나, 모든 것이 꿈이었다는 것을 깨닫고 다시금 스승에게로 돌아가 도를 닦는다는 결론은 김만중이 출세를 하고 관직에 있었으나 당파싸움에 의해 귀양과 관직을 반복하면서 현실에 출세에 대한 욕심 같은 것은 그냥 깨어버리면 그만인 꿈과 같다는 생각의 표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김만중의 구운몽은 왜 구운전이 아니라 구운몽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고전소설에서 제목에 전을 붙이는 것은 어떤 사건이나 인물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될 때 그리합니다. 구운몽은 단순한 사건의 나열이나 인물의 이야기가 아닌 꿈을 통해 인생의 덧없음을 깨닫는 철학적 사유를 담고 있어 김만중이 구운몽이라고 지은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유래? 유레?? 어떻게 구분하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유래는 사물이나 일이 생겨남 또는 그 사물이나 일이 생겨난 바를 뜻합니다. 즉 기원, 내력 등과 유사어입니다. 유레라는 말은 우리말에는 없는 것으로 일본어와 라틴어 데 유레(de jure)가 있습니다. 라틴어 데 유레는 법률상의 뜻을 가진 표현으로 공식적으로 승인된 것은 아니지만 '사실의'라는 뜻을 가진 단어로 실제 관습적인 것과는 다르게 인정된 법률상의 사실을 표기할 때 사용됩니다. 일본어 유레(ゆれ)는 요동, 흔들림이라는 뜻과 언어 등이 일정하지 않고 불안정한 상태를 말합니다. 아마도 문의하신 것이 유래와 유례의 사용 구분을 말씀하신 것 같습니다. 유래는 위에 설명한대로 이고, 유례는 같거나 비슷한 경우, 이전 부터 있었던 사례를 뜻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문장을 예로 들어보면, 아시아 선수로는 유례가 없는 세계선수권대회 3연패를 하였다삼시 세끼를 먹는 문화가 언제부터 유래되었는지 조사할 필요가 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초랗다] 라는 말을 대체할 수 있는 말은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노랗다', '파랗다'는 이런 형용사가 이미 존재하고 이와 관련하여 '노랑'이나 '파랑'과 같은 명사로 나타납니다.그러나 '초록'은 '草綠'이라는 한자로 구성된 명사이고 별도의 형용사와 연결되지 않는 명사이므로, 이를 '초랗다'로 쓰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가전체에서 소재로 쓰였던 사물에는 어떤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가전체에서 소재로 쓰였던 사물 및 동물, 생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공방전 - 돈국선생전 - 누룩술저생전 - 종이국순전 - 누룩술죽부인전 - 대나무청강사자현부전 - 자라규중칠우쟁론기 - 자, 가위, 바늘, 실, 인두, 다리미, 골무정시자전- 지팡이해의국사 - 김화왕전 - 꽃등이 있습니다. 다른 것도 많으니 찾아보시면 재미있을 겁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단군신화에서 곰과 호랑이는 어떤 의미를 담고 있었을 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단군신화에서는 주인공의 이름에서부터 결론을 지어놓고 있습니다. 환인의 아들 환웅이 하늘에서 내려와 배달국 신시를 건국했다...곰이 사람이 되어 환웅과 결혼해 단군을 낳았다. 환인의 인(因)은 인할 인을 사용합니다. 이것은 동방 인(寅)이라고 하는데, 12간지의 호랑이 띠도 인(寅)을 사용합니다. 이것은 우리 고대 조상인 예족이 호랑이를 숭상하였습니다. 절의 산신각에 있는 그림에 산신이 호랑이와 같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 전통이 내려온 것입니다. 그리고 그의 아들인 환웅의 웅(雄)은 수컷,우두머리 웅을 사용합니다. 그와 결혼하게 되는 웅녀의 웅(熊)은 곰 웅을 사용합니다. 고구려족 맥족이 곰을 숭상하였습니다.호랑이와 곰을 신화에 등장시킨 것은 당시 그 지역에서는 토테미즘이 있었다고 볼 수 있고, 아니면 그 지역에 두 부족이 살았는데 호랑이와 곰의 성향을 지니고 있었다고 추측할 수도 있습니다. 이미 하늘의 신인 환인에게서 독립하여 환웅이 천부인을 가지고 배달국 신시를 건국했습니다. 새로운 국가를 건국했다는 것은 빈 땅을 차지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모여 살고 있는 곳을 차지하여 자신이 우두머리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 과정에서 토착민과의 충돌을 피할 수 없는 것입니다. 이에 환웅은 기존의 토착 부족의 우두머리에게 함께 할 것을 힘으로 제안하였고, 그 중 곰을 숭상하였던 부족과 동맹을 하여 그 동맹의 약속으로 부족의 여인과 혼인을 하여 결속을 다진 것으로 추측됩니다. 이것을 볼 때 아버지인 환인은 호랑이족을 근간으로 권력을 영위했던 것으로 추측되며, 이에 독립한 환웅은 곰족을 근간으로 권력을 창출하여 새로운 국가를 만들어나갔기에 이와 같은 신화가 만들어지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이러한 신화적 사상은 계속 이어져왔고, 이후 불교가 도입되었으나 토착신앙을 밀어내지 못하고 도리어 받아들여 다른 국가의 불교에서는 볼 수 없는 '대웅전(大雄殿) / 환웅 및 단군을 불교의 제석천과 동일한 하늘의 신으로 여김'이 가장 크게 자리하고 있고, 대웅전보다 높은 곳, 즉 하늘에 가까운 곳에 산신각을 두어 산신(환인)을 모시고 있고 항상 곁에 호랑이가 있는 것입니다. 지금껏 내려오고 있는 천도교의 사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송강 정철의 가사 문학이 문학성을 인정받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우선 송강 정철은 문과에 장원급제하였던 수재로서 그 문장력이나 배경지식이 남달랐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의 문학적 재능은 스승인 하서 김인후, 고봉 기대승에 사사를 받으며 점점 그 수준이 높아졌갔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가 수학했던 성산 등 주변의 아름다운 환경 등에서 감성에 영향을 받았을 것입니다.정철은 국문시가와 한시 등 많은 작품을 남겼고, 시조 79수도 남겼다고 합니다. 성산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관동별곡 등은 가사 또는 사설시조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의 작품은 당시의 시대상을 담고 있으며, 충연군시사의 충절에 관한 것도 있고, 자연에 대한 아름다움을 정치적 상황 등과 빗댄 수준 높은 작품들이 많습니다. 군신 간의 관계와 연인 간의 관계, 자연과 개인의 조화를 비유적으로 잘 표현한 작품들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전설 속에 등장하는 영웅들은 왜 이상한 탄생비화를 지니게 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고대에는 자연을 숭상하였습니다. 그리스 로마 신화에도 바다의 신 포세이돈, 땅의 신 가이아, 하늘 번개의 신 제우스 등도 그렇고, 북유럽 신화의 천둥의 신 토르 등도 그러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대부터 하늘의 자손이라고 칭하며, 태양을 숭상하였습니다. 기록이 남아있는 고구려, 백제, 신라도 그렇고 그 이전이 배달국, 고조선도 그러하였습니다. 삼국시대 백제, 신라의 영향을 받은 일본도 그러합니다. 국기만 봐도 알 수 있죠. 그리하여 하늘의 자손이고 하늘의 선택을 받은 왕 또는 영웅의 경우 태양과 같은 둥글고 빛나는 것으로부터 나왔다는 설화가 형성되어 그 신성함을 강조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우리나라 문학 작품 중에서 글자 수가 가장 많은 문학 작품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글자수가 가장 많은 문학 장르는 소설입니다 그 소설 중 가장 긴 작품들이 대하소설들로 여러권으로 발간되어있습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대하소설 중에서는 박경리의 토지가 20권으로 가장 긴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설화 중 근원설화는 무엇을 뜻하는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근원설화라 함은 여러 장르의 문학작품의 모티브가 되었던 설화를 말합니다. 춘향전의 근원설화는 도미설화, 염정설화, 암행어사 설화 등이 있고, 심청전의 근원설화는 효녀지은설화, 개안설화, 인신공희설화 등이 있고, 옹고집전의 근원설화는 장자못설화 등문학작품의 이전에 유사한 내용의 구전되어오던 전설, 신화 등을 말합니다.
818283848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