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국제무역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주요. 서류들의 종류와 역할은?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상업송장 : 매도인이 매수인에 대한 물품명세서로서 수입신고시에 필요서류입니다. 물품에 대한 명세, 수량, 단가, 금액 등이 기재되어 있습니다.포장명세서 : 물품에 대한 목록을 기술한 서류로서 물품의 포장 및 포장단위별 명세와 단위별 순중량, 총중량 등이 기재되어 있습니다.원산지증명서 : 물품을 생산한 국가 등의 원산지를 증명하는 서류로서 특혜원산지증명서는 FTA가 체결된 국가 간의 협정관세 적용을 위해 필요한 서류입니다.감사합니다.
Q. 무역에서 HS 코드 분류는 어떻게 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HS code는 통일상품명 및 부호체계에 관한 국제협약에 의해 작성된 품목분류표입니다. 6단위까지는 국제공통입니다. 2단위 류, 4단위 호, 6단위 소호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후에는 각국에 따라 결정됩니다. 우리나라는 10단위 체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HS code는 형태, 기능, 용도, 재질 등에 따라 1류부터 97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hs 분류 방법은 통칙 및 각부나 류의 주규정에 따라 분류됩니다. 물품에 따라 분류가 달라지기 때문에 물품의 형태, 기능, 용도, 재질 등을 정확히 알아야 분류가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Q. 수출입물품에 검사와 평가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수료는?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수출입통관 시에는 우범도, 동향정보 등을 바탕으로 수출입신고건에서 검사 선별이 됩니다. 검사는 수출입신고 내용의 정확성 확보를 위해 선별됩니다. 수출입 검사 시에는 검사비용이 발생하며, 검사비용은 화주가 부담합니다. 수출입검사 발생 시 관세청에서는 중소기업이나 중견기업의 검사비용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검사비용은 세관지정장치장에서 검사하는 물품 등에 대하여 지원하고 있습니다. 검사비용 지원 대상은 컨테이너 운송료, 컨테이너 상차차료, 내장물품 적출입료 등입니다. 수출입신고 시 검사는 무작위방식 등으로 선별되기 때문에 선별 시 검사비용 지원대상이라면 검사비용 지원을 신청하여 검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Q. 관세 감면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전략은?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관세감면은 수입물품 중 특정한 정책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수입자나 수입물품이 일정한 요건을 갖춘 경우 무조건 또는 일정한 조건하에 관세의 일부 또는 전부를 면제하는 것을 말합니다. 외교관용물품, 세율불균형물품, 학술연구용물품 등의 면세규정이 있으며, 면세를 적용받기 위해서는 관세법에 규정된 면세조건을 충족하여야 합니다. 관세감면은 수입신고 수리전에 신청을 하여야 하며, 감면신청서를 세관장에게 제출하여야 합니다. 감면물품은 일정기간 사후관리를 받게됩니다. 감사합니다.
Q. FTA란 어떤것을 말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자유무역협정(FTA)란 협정을 체결한 국가 간에 상품/서비스 교역에 대한 관세 및 무역장벽을 철폐함으로써 배타적인 무역특혜를 설부여하는 협정을 말합니다.FTA를 체결하는 경우 관세를 단계적으로 철폐하는 것이 목적이며, 협정국에서 생산된 상품에만 특가적용, 금융, 통신, 교육, 의료 등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 무역장벽 제거 등이 있습니다.FTA가 확산될 수 있었던 이유는 지역주의로 세계화와 함께 오늘날 국제 경제를 특징짓는 뚜렷한 조류가 되고 있습니다.FTA 체결현황은 칠레, 싱가포르, EFTA, EU, 아세안 인도, 페루, 미국, 튀르키예, 호주, 캐나다, 중국, 뉴질랜드, 베트남, 콜롬비아, 중미 5개국, 영국, RCEP, 이스라엘, 캄보디아, 인도네시아의 국가와 체결 후 발효되었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