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현행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현행 전문가입니다.

이현행 전문가
운흥초등학교
역사
역사 이미지
Q.  이승만은 김구와 왜 싸워났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상하이 임시정부의 대통령으로 이승만이 추대되었습니다. 이승만은 주로 강대국에 호소하는 외교활동에 주력했습니다. 주로 미국에서 활동했습니다. 그러나 그 성과가 지지부진하고 연통제 등 조직도 와해되어 임시정부는 재정적, 활동적 위기에 봉착합니다.그러다 1923년 국민대표회의가 열리게 됩니다. 이는 이승만 대통령이 유엔에 우리나라를 위임통치해 달라는 청원을 한 소식이 전해졌기 때문입니다. 이승만 대통령에 대한 비판이 크게 높았던 것입니다. 대표회의에서는 임시정부 해체론, 창조론, 현상유지론이 크게 대두되었습니다. 해체론에는 주로 무장투쟁론자들이 신채호 등이 있었고, 안청호 선생이 새 임시정부 수립을 주장하였습니다. 현상유지론에는 김구가 있었습니다. 백범 김구 선생은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고난에 빠졌을 때에도 항상 임정과 함께한 인물입니다.대표회의 결과 이승만 대통령은 탄핵되고 임시정부는 유지하되 독재적 결정에 문제가 있으니 집단지도체제를 만들기로 하였습니다.김구 선생과 이승만 대통령은 임정을 둘러싸고 다른 길을 걸었으나 광복 전에는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민족주의 진영을 대표하는 인물들이었으나 광복 후 한반도 정부수립과 관련해 단독정부 수립의 이승만과 통일정부 수립을 위한 김구의 길은 결정적으로 갈라지고 맙니다.이승만은 대한민국 초대대통령이 되고 김구 선생은 안두희의 총탄에 희생되고 말았지요.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과거는 양반만 볼수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과거시험은 법적으로 양인이면 볼 수 있었습니다. 양인은 천민 이외의 신분을 말하는데 흔히 양반, 중인, 상민이 있었습니다. 양반은 문무관리를, 중인은 서얼, 남반, 의관. 역관 등 기술직이 다수이고 중간지배층이라 볼 수 있습니다. 대다수는 상민으로 상민에는 농민, 상인,수공업자 등이 있었습니다.따라서 농민이나 상인도 과거시험을 볼 수가 있었습니다. 실제로 상민으로 과거에 합격한 사레도 있습니다. 하지만 과거시험은 오랜 기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생업에 종사해야하는 상민이 합격하기란 대단히 어려웠습니다. 또 책이며 붓, 먹, 종이 등 경제적 비용도 크게 들었기에 더한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송편은 추석때만 먹는건가요?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송편은 추석 때 먹는 대표적인 음식입니다. 설날에 떡국을 먹는 것과 비슷한 의미이죠. 설날이 새해 복을 기원하는 성격이라면 추석은 가을 추수의 기쁨을 나누는 성격이 강합니다. 수확한 농산물로 그 기쁨을 표현하는 것이라 햇쌀로 떡을 지었던 것이고 달모양을 본따 한가위의 의미를 더했던 음식이라 추석 고유의 음식이라 할 수 있겠지요.
역사
역사 이미지
Q.  박정희 대통령은 핵무기를만들려고 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4공화국 때의 박정희 정권과 미국의 관계는 좋지 않았습니다. 유신헌법을 만들고 민주화요구를 억제하며 고문이 자행되는 반인권적 모습을 대한민국이 보였기 때문입니다. 더불어 북한의 무장공비 침투, 김신조사건, 푸에블로흐 사건, 도끼만행 사건 등 북한의 도발에 대해 박정희 대통령은 강력한 조치를 하기를 원했습니다. 그에 따라 미사일사거리 제한도 없애고 더나아가 핵무기 개발까지 나아가려 하자 이는 미국의 동아시아 안보전략과 상충하는 맥락이라 한미동맹에 큰 흠짓이 나고 한미관계가 죻지 않은 방향으로 흘러갔습니다. 하지만 미국이 박대통령 시해시도를 미리 알았거나 묵인했다는 증거는 없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에 왕조의 역사적 기록은 언제 부터 시작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최초의 역사서는 삼국사기입니다. 그 이전 역사책도 많습니다만 안타깝게도 현전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고려 인종 대 김부식 등이 편찬한 삼국사기가 최초의 사서입니다. 삼국사기는 본기, 열전이 중심인데 본기가 바로 왕가, 왕실의 역사이고 충신 등을 기록한 부분이 열전입니다. 그러므로 삼국사삼에 나타난 본기가 최초의 기록이라 할 수 있겠지요. 삼국유사도 있습니다.조선시대에는 왕의 행실, 언행을 세밀히 기록했는데 그것이 조선왕조실록입니다. 실록은 왕의 사후에 실록청을 만들고 승정원일기부터 교지까지 모아서 편찬했습니다.
1111121131141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