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정조의 업적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조는 아버지 사도세자의 죽음으로 큰 충격을 받았지만 , 영조의 총애를 받고 군주로서 갖추어야할 자질과 능럭을 키우기 위해 노력해 빼어난 학문적 수준에 이르렀습니다. 영조가 죽고 25세에 왕위를 이은 정조는 규장각을 세워 학술정치와 개혁정치를 하게 됩니다. 학문적으로 남인, 노론의 북학파, 서얼 등 가리지 않고 수용해갔으며 편찬사업 등 조선후기 문물을 정비, 많은 서적이 간행되어 조선의 르네상스를 꽃피우게 됩니다.영조와 마찬가지로 탕평책을 시행하는데, 노론 벽파와 시파의 정치구도가 형성됩니다. 아버지를 위해 수원 화성도 짓고 실학자들을 기용하게 되는데 대표적 인물이 정약용입니다. 서얼차별을 시정하고, 무예에도 관심이 커 무예도보통지른 간행합니다.정조는 조선 후기 영조와 더불어 안정된 왕권을 구축하고 문물을 정비하고 조선 후기 문화의 절정을 꽃피운 왕입니다.
Q. 신라시대의 첨성대는 어떤 의미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허블 망원경이 새로운 웹 망원경으로 교체된 우주시대입니다. 첨성대는 이에 비하면 이것이 정말 천체관측 기구인가 하는 의구심이 듭니다. 저도 역사를 전공하고 학창시절 답사를 가서 교수님 설명을 들어도 과연 천체관측기구인가 하는 의구심이 들었습니다. 평지에 설치했는데, 조금이라도 잘 관측하려면 산과 같이 높은 곳에 두어야 하는 것은 아닌가 생각했습니다. 또한 그 높이가 사람 두셋높이이고, 저기 안에 어찌 사람이 들어가 실제로 관측할 수 있을까, 입구가 없어보이는 점이 그런 의구심을 키웠습니다.어찌됐던간에 현재까지도 어떻게 실제로 관측했는가는 밝혀진 것은 없습니다. 그리하여 저는 상징적 측면이 강한 건축물이 아닐까 조심스럽게 말씀드립니다.
Q. 유학과 성리학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성리학도 유학의 일종입니다. 공자와 맹자의 가르침을 연구하는 학문이 유학인데, 한나라 때는 음과 뜻, 자구해석을 중시하는 훈고학이 유행했지요. 남송 때 주자가 성리학의 체계를 주자대전이라는 책으로 완성했습니다. 기존의 유학과 다른 점은 매우 난해하다는 것인데 매우 철학적입니다. 우주와 인간의 본성과 이치를 연구한다는 학문의 이름부터가 그렇지요. 이기론이 이로부터 나왔으며, 조선에서도 사단칠정논젱, 이기일원론이냐 이기이원론이냐를 놓고 논쟁을 벌이지요. 성리학은 고려 말 안향이 도입하는데, 조선은 성리학을 통치이념이자 생활규범으로까지 사용했습니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오히려 조선의 성리학 수준이 중국을 넘어서기까지 합니다. 일본에도 성리학을 전파하기도 하지요.중국의 성리학은 이후 관학화하여 명대에는 과거에 합격하기 위한 수단적 학문으로 남게 되고, 학문적 발전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청나라 때에는 고증학이라고 실증을 중시하는 풍토가 자리잡고 이는 조선 후기 실학과도 경향이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