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현행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현행 전문가입니다.

이현행 전문가
운흥초등학교
역사
역사 이미지
Q.  크림반도를 둘러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역사적 관계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크림반도는 러시아 제국이 팽창하며 남진정책을 추진할 때 러시아가 부동항을 찾는 데 아주 중요한 거점이었습니다. 러시아가 크림반도를 병합하려 했을 때 영국과 프랑스의 저지로 실패한 것이 19세기의 일이었지요. 그러다 러시아에서 혁명이 일어났으며, 우크라이나도 소비에트 연방공화국의 일원이 됩니다. 1920년대 일이죠. 그러다 1991년 소련의 해체가 많은 나라가 독립하게 되는데 우크라이나도 그중 한나라였습니다. 사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 제국의 뿌리와도 같은 역사를 갖고 있었습니다. 우크라이나는 서방 국가들에 지리적으로 가깝고 곡창지대로서 소련에게 중요한 전략적 지역이어서 핵무기 등이 많이 전진배치된 지역이었는데, 소련 해체 이후 핵무기 해체와 서방의 경제지원이 있었던 나라입니다. 따라서 우크라이나는 친서방적 성향을 지니게 된 것이죠.크림반도는 소련시절에 우크라이나에 속한 곳이고 소련 해체 이후에도 우크라이나에 속한 지역이었는데, 푸틴의 러시아가 구 소련의 영광을 되찾는 정책의 일환으로 기습적으로 점령하였는데, 미국을 비롯해 서방 국가들이 효과적인 대응을 못했고 따라서 이번 전쟁도 감행한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미국과 나토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전쟁이 교착화되고 장기전으로 흐르고 있습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부처님에 대해 궁금합니다. 어떻게 성인이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예수도 실존인물이고 이슬람교의 창시자 무함마드도 실존인물이고 불교가 탄생하게 된 것도 실존인물인 고타마 싯다르타에 의한 것이니 공통점이 있네요.시기로 보면 불교는 기원전 6세기~5세기, 기독교는 서기 후, 이슬람교는 6세기 정도에 만들어지니 불교가 가장 오래되었네요. 싯다르타는 히말라야 네팔의 작은 나라의 왕자로 태어났습니다. 아리아 문화의 영향을 받았는데 그 당시 아리아 문화는 브라만교와 카스트를 대표로 하는 종교가 있었습니다. 어머니는 출생 후 아주 어릴 때 사별하고 16세에 결혼하고 아들을 두었습니다. 그러다 고통에 대한 의문으로 수행을 떠나게 되는데 남쪽으로 내려가 뛰어난 이들로부터 가르침을 얻어보지만 해탈과 깨달음을 얻지 못합니다.그 후 육체적 고통을 극한에까지 밀어붙이지만 역시 깨달음을 얻지 못하다 산에서 내려와 보리수 나무 아래에서 명상을 하다 깨달음을 얻었다고 합니다. 많은 이들이 그 가르침을 청하니 부처의 설법으로 불교가 탄생하게 된 것입니다.그의 설법은 그의 제자들에 의해 경전으로 정리되고 종교로서 모습을 갖추게 됩니다. 이 불교가 히말라야를 넘어 티베트, 중국으로 거쳐가 대승불교로 정립되고, 인도에서 뱃길로 동남쪽으로 건너가 소승불교가 생겨나게 됩니다.우리나라도 삼국시대에 중국으로부터 불교를 들여오고 통일신라와 고려는 불교문화를 꽃피우고 조선은 억불정책을 펴게 됩니다. 현재는 고려 후기 지눌에 의해 창시된 조계종이 최대의 종파로서 자리하고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역사속 인물의 작은 에피소드같은건 어떻게 알수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역사 속 인물의 에피소드는 주로 역사서를 통해서 알 수 있습니다. 삼국사기에서 왕의 이야기인 본기와 신하 주로 충성스런 신하의 이야기인 열전이 주된 서술인데, 열전을 보면 그 인물의 이야기가 자세히 전해져 그런 것들이 에피소드가 됩니다.고려 왕건이 부인을 만날 때 물을 건네며 급히 먹지 말라고 나뭇잎을 띄어준 일이나, 한석봉이 불을 끄고 어머니는 떡을 썰고 석봉을 글을 쓰는 이야기, 김유신이 여인의 사사로운 정을 끊고 삼국통일의 대의를 위해 말을 벤 이야기 등은 주로 사서에 기록되어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잔다르크가 어떤 업적이 있는 어떤 인물이었아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잔 다르크는 중세 영국과 프랑스 사이의 왕위계승 등을 두고 벌어진 백년전쟁을 프랑스가 이길 수 있게 전세를 전환한 프랑스의 구국영웅입니다.잔 다르크는 프랑스가 패배로 전세가 불리한 때에 신의 계시를 받았다며, 군인으로 참전해 프랑스군의 승리와 사기충전을 가져온 영웅입니다. 잔 다르크가 없었다면 영국에 패배했을 것이나 잔 다르크는 여성으로서 결국 화형에 처해지는 비극적인 인물이기도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박혁거세가 정말 알에서 태어 났나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박혀거세는 신라의 시조입니다. 건국설화는 신비적 요소를 가미해 시조의 특별함을 더하는데, 단군신화는 천손의식이라는 하늘에서 내려온 특별한 존재임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혁거세 역시 특별함을 표현한 것이 난생설화입니다. 알에서 깨어난 사람은 없으므로 그러한 특별함과 신비감을 부여한 것이 난생설화입니다.고구려시조 동명설화도 마찬가지인데 고대의 영웅이야기는 그야말로 설화적 요소가 강하게 내포되어 있는데 그것은 선민의식과도 연결되어 있습니다. 특별히 선택받은 우월한 존재라는 것이지요.
역사
역사 이미지
Q.  이슬람 문화권에서 여성들이 강요받고있는 히잡의 유래가 궁금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코란이라는 이슬람경전에서는 여성과 남성 모두에게 정숙한 옷차림을 해야한다고 했습니다. 그 중에서도 여성은 가족과 혼인관계 이외의 남성에게는 신체를 가리도록 했는데 코란에서는 키마르,질밥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이것이 기원이 되어 이슬람 여성은 신체를 가리는 의상을 입어야 하는데 신체의 대부분을 가리는 차도르, 아마야, 부르카와 달리 히잡은 얼굴과 가슴 정도를 가리는 비교적 간소한 의상이지만, 이슬람 여성어게 강요된 억압의 상징처럼 대명사가 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육이오전쟁 전후에 공산주의자를 빨치산으로 부른이유와 그시작이 궁금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빨치산은 러시아어로 파르티잔이 어원입니다. 분파, 당파 등을 뜻하지만 노동자, 농민으로 구성대 비정규군 유격대의 의미로 쓰였습니다. 빨치샨의 시작은 4.3 제주도 진압명령을 거부한 10.19 여순반란 사건입니다. 이들은 민중학살 반대, 미군철수를 주장하며 오랫동안 지리산에 들어가 항쟁을 벌이는데, 6.25전쟁이 끝난 1953년 이후에도 활동이 계속되다 1955년 진압됩니다.파르티잔이 빨치산으로 그리고 빨치산은 이념적대의 과정 속에서 빨갱이라고 비하된 표현으로 바뀝니다. 빨간색이 칠해진 것은 주로 공산주의권이 그런 색채를 써서 나중에 덧붙여진 것으로 보입니다. 저도 빨치산의 활동이 주로 지리산에서 이루어져 산과 관련된 것이 있나 생각한 적도 있으나 그것은 발음상 오해에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산업 혁명이 인상파 성립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산업혁명은 인상파의 출현에 큰 계기가 됩니다. 오늘날과 같이 사진이 출현하기 전에 해지는 일몰이나 일출의 장면을 포착해서 담아내기는 힘들었습니다. 증기기관의 속도는 처음 등장했을 때 사람들을 놀라게 했으며, 현재에 집중하게 했습니다. 또한 증기기관의 출현은 화가를 작업실에서 교외로 나가 그림을 그릴 수 있게 한 원동력이었습니다. 이제 화가는 작업실에 출근해 그림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파래트와 튜브물감을 가지고 자연으로 나아가 자연의 인상을 그대로 담을 수 있게 된 것입니다.산업혁명이 가져온 속도, 현재를 포착하려는 노력, 교외로 나갈 수 있게 한 철도 등이 결합되어 인상파 화가들의 결실이 출현할 수 있었던 것이죠.
역사
역사 이미지
Q.  한성백제 문화재는 언제부터 시작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성백제문화제는 2001년 송파구청에서 시작한 문화제입니다. 한성백제는 온조가 한성에 도읍을 두고 기윈전 1세기에 나라를 세웠으며, 이후 고구려 고국원왕을 전사시킬 정도로 강력한 국력으로 키워냈습니다. 한성백제 관련 유적으로는 석촌동 고분이 있으며, 왕성으로 여겨지는 풍납토성과 몽촌토성이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튀르키예로 국가명을 바꾼 터키의 역사적 배경은?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영어식 표현인 터키가 겁쟁이라는 뜻을 갖고 있어 터키인들이 오랫동안 반감이 있었던 배경으로 터키인의 땅이라는 튀르키예로 바꾸었습니다. 원래 정식 국호이기도 했지만 국제적으로 영어식 표현으로 터키라고 쓰는 것을 변경한 것입니다.튀르키에의 뿌리는 11세기 셀주크 투르크이고 이후 오스만 투르크가 대제국을 건설했다가 1차대전 패배 이후 무스타파 케말이 제국을 무너뜨리고 근대공화국을 건설한 것이 튀르키예의 역사적 전개입니다.
1061071081091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