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임종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임종현 전문가입니다.
임종현 전문가
청담해리슨송도병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정형외과
2024년 8월 18일 작성 됨
Q.
아빠다리를 한 채로 있으면 다리가 저린이유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맨마닥에 있으면 의자에 앉을때보다 허리 디스크의 압박이 더 많이됩니다. 의자에 앉을땐 다리가 아래로 내려가기때문에 골반이 후방경사되는것을 줄여줄수있지만 바닥에 아빠다리로 앉기나 다리를 쫙펴고 앉으면 골반의 후방경사되는 힘이 더욱 커지기때문에 골반유연성이 떨어지는 사람은 허리에 과도하게 힘을주고 앉게되거나 힘을 풀어버리고 허리관절로 버티게 됩니다. 그 과정에서 허리의 신경이 눌린상태로 앉게되면 다리저림이 나타날수있습니다. 디스크는 자세에 따라 움직이기때문에 크게 문제있는것은 아니나 그 자세를 오래 유지하면 허리디스크에 무리가 가게되니 최대한 바닥앉기는 피해주시고 계속 그 자세를 하셔야되는 상황이면 골반유연성이 충분할수록 양반다리나 다리펴고 앉기시에 허리압박을 줄일수있습니다. 골반 스트레칭및 코어운동으로 허리압박을 줄여주시는것이 좋습니다.
재활·물리치료
2024년 8월 18일 작성 됨
Q.
사람의 근육은 부상 당하였을 경우에, 어떤 방법으로 회복을 해주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현재 상황에서 근육의 빠른 회복을 돕는방법은 아이스팩을 15~20분 가량 꾸준히 해주시고 붓기 및 멍을 가라앉히는게 좋습니다. 누워서 다리를 위로 올려서 휴식해주시고 통증이 너무심하시면 파스를 붙이셔도되는데 지금 상태를 완화하는 효과는없습니다. 아이스팩 하시는것을 권해드립니다.
정형외과
2024년 8월 18일 작성 됨
Q.
체외충격파 적정 주기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보통 주 2회정도로 치료간격을 두고 치료합니다. 한번받고 이틀 삼일정도 쉬어주고 받고 하다가 개선되시고 상황보면서 주1회로 바꾸고 종결하시는것이 좋은데 시간,위치상 주1회밖에안된다고 하시면 주1회로 하시는게 좋습니다. 충격파 원리 자체가 자극을주고 그 부분이 새롭게 회복하면서 치료되는것이기에 회복시간이 중요합니다. 너무자주받으시는게 아니라면 치료텀이 있더라도 계속 받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정형외과
2024년 8월 18일 작성 됨
Q.
안녕하세요 발등골절로 문의드려요.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발등 혹은 발목 골절시에 발가락의 통증 및 움직임 제한이 생길수있습니다. 발등을 지나는 근육들은 발가락으로 이어져있기때문에 골절이 있을때는 일단 뼈가 잘붙는것이 제일중요하기때문에 깁스나 반깁스 등으로 고정을 해놓습니다. 고정을 하지않는다면 근력의 소실이나 관절이 굳는것을 최소화할수있으나 뼈의 안정성이 떨어질수있기때문에 고정에 비중을 많이주게됩니다. 뼈가 잘 붙고나면 발의 가동성 재활 및 안정성을 갖추는 치료들을 받으면서 발가락문제까지 해결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뼈가 잘붙을때까지 잘 보호해주시고 재활 꼭 받길 바랍니다.
재활·물리치료
2024년 8월 18일 작성 됨
Q.
크로스핏 하는 사람인데 무릎통증이 있어여!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크로스핏을 하시는경우에 자세를 하나하나 신경쓰면서 좌우 밸런스를 맞추는것은 어렵습니다. 고로 이미 어느정도의 안정성과 균형이 잘 맞는상태에서 해야하는 운동이므로 크로스핏을 지속하시면서 근력 , 근지구력 , 심폐활량 등등 기능이 좋아지는 반면 무릎관절이 근육양이 늘어남에도 오히려 닳을수있습니다. 크로스핏을 멈추고 좌우 균형을 맞추는 재활운동 혹은 기능성 훈련을 먼저해주시고 크로스핏으로 복귀하는게 가장좋고 통증이 심하지않다면 위 운동과 크로스핏을 병행하는것이 좋을듯합니다.
정형외과
2024년 8월 18일 작성 됨
Q.
의자에 앉아있다가 일어설 때 너무 아픈데 어떡하죠?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앉아있는 시간이 길수록 허리의 피로감이 올라가고 그로인해 디스크압박이 있을수 있습니다. 디스크가 오랜시간 눌리게되면 주변신경들을 같이 누를수있는데 신경을 누르게되면 통증이 허리를 기준으로 시작해서 아래로 내려가게됩니다. 엉치나 엉덩이 허벅지 순으로 증상이 안좋을수록 점점 발쪽으로 내려가게 됩니다. 오래앉아있고 나서 엉덩이가 아픈것은 엉덩이가 눌려서 피부에서 느껴지는것이 아니라면 허리 부분을 개선시켜주는것이 좋습니다. 의자에 앉아있는시간을 줄여주는것이 가장 좋으나 보통은 하는일때문에 줄일수가 없는경우가 많습니다. 그럴땐 앉아있을때 허리근육을 최대한 덜 부담가게 만들어주는방법이 가장좋습니다. 코어근육을 강화해서 허리의 부담을 줄여주고 골반의 유연성을 길러주시면 보다 적은힘으로 오래앉을수있습니다.
재활·물리치료
2024년 8월 17일 작성 됨
Q.
뒷목에 뼈가 뽈록하게 튀어나왔는데 이거 개선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네 뒷목에 목뼈가 원래 가장튀어나오는 뼈는 맞지만 점점 목이 앞으로 빠지면서 더 튀어 나오게되고 튀어나온 부분에 지방조직이 쌓이면서 버팔로증후군이 됩니다. 이 부분은 거북목 치료를 하면서 많이 개선될수있습니다. 단기간에 이루어지는것은 아니고 꾸준히 3개월정도로 기간을 잡으시고 치료받으면서 집에서도 따라해주신다면 치료기간을 더 단축할수있습니다. 목뒤가 튀어나오는것은 추후에 목통증으로 고생하게 되지않게 목근육 근장도 및 자세를 바로잡아주는것이 좋습니다. 튀어나온부분이 조금씩 들어가면서 미적으로도 좋아집니다. 통증이 있다면 도수 운동치료를 권해드리며 통증이 없다면 체형교정 운동센터에서 운동하시면서 도움받으시길 바랍니다.
재활·물리치료
2024년 8월 17일 작성 됨
Q.
목디스크 자연치유와 일지목 교정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집에서 재활운동과 목교정은 아주 바람직합니다. 다만 유튜브 검색으로는 너무 자료가 많기때문에 이 동작이 나에게 맞는동작인지, 맞다면 난이도는 어느정도가 맞는지 등등 고려해야할 부분이 많습니다. 또 목 교정을 위해선 견갑대의 안정화, 코어의 활성화 및 강화 등등 내가 목을 바로잡기위해 어느부분부터 시행해야할지 스스로 평가하기가 어렵습니다. 고로 재활전문 운동센터 혹은 정형외과에서 도수 운동치료를 받으시면서 동작을 배우고 나서 집에서 따라하며 병원은 줄여나가다가 종결하는 방식을 권해드립니다. 병원치료만큼 중요한게 개인의 의지와 배운 운동을 유지하는것입니다. 잘 배우셔서 집에서 운동하시고 완치되기를 바립니다.
재활·물리치료
2024년 8월 17일 작성 됨
Q.
목 옆에서부터 어깨가지 아파오는데~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잠을 잘때 목에 긴장도가 많이 올라간것 같습니다. 평상시 긴장도가 누적되어서 나타날수도있고 잘때 목이 꺾여서 힘이들어간 상태로 자게되서 그럴수도있습니다. 당장 할수있는것은 얼음찜질이 있습니다. 그리고 진통소염,근육이완제를 드시는것도 하나의 방법인데 약같은 경우는 정형외과 진료를 보시고 주치의 선생님께 처방받는 약이 가장 좋습니다. 얼음찜질하고 쉬는데도 증상이 더심해진다면 정형외과 진료를 추천드립니다. 그냥 운이 없어서 안돌아간다, 잠을 그냥 잘못잤다 라고 보통 생각하시는데 누적된것들이 신호를 주는경우가 많습니다. 팔저림이나 두통 등등 점점 목에서 주는 신호가 많아지기전에 진료를 보시는것이 좋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8월 17일 작성 됨
Q.
한의원 정형외과 어디가 더 효과가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한의원과 정형외과 둘다 효과적입니다. 한의원에서는 문제되는 근육에 침을 놓고 부항을 해주는 등 근육의 순환을 좋게해줘서 통증을 완화하고 근육이 이완되게 도와주고 정형외과는 엑스레이를 찍어보고 얼마만큼 목이 나빠져있는지 평가를 한후에 처방을 내게됩니다. 단순 근육문제라면 약한 주사나 물리치료 처방정도지만 병원에 올정도면 많이 누적되어있는 분들이 많기때문에 근육의 문제를 넘어 신경문제까지 있다면 신경주사나 구부러진 자세를 해결해주는 도수치료 혹은 운동치료를 처방받아서 치료받으실수있습니다. 목 어깨 통증이 있는분들은 거의 목이 앞으로 빠져있는분들이 많기에 이부분은 단순히 근육을 이완한다고 교정되지않고 직접 재활운동도하고 스트레칭도 배우셔야 가능하기에 도수치료가 비용적 시간적으로 많이들지만 가장효과적이라 생각합니다.고로 엑스레이 및 MRI로 정확한 진단을 먼저하시고 치료받으실수있는 정형외과를 추천합니다.
151
152
153
154
15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