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한성민 변리사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성민 변리사입니다.

한성민 전문가
특허법인 고려
Q.  ai 분야에서 미국이 압도적인 선진국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성민 전문가입니다.현재 내지 근래에 압도적 1위일 것으로 평가하는 견해가 다수입니다.글로벌 정부·민간 분야 AI 투자 동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정부와 민간의 AI 투자액은 120조억원으로, 지난해 세계 정부·민간 AI 투자액은 1419억 달러(약 196조원) 규모로 추정되며 미국 투자액이 전 세계 62%를 차지했다고 하네요. (2위,3위인 유럽이나 중국은 한자리수 대라서, 격차가 매우 큽니다.)또한, 엔비디아, 오픈AI(챗 지피티), MS, 구글(딥마인드) 등 글로벌 탑 기업들이 전부 미국에 포진해 있어서, 기술적으로 미국이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고 하네요.
Q.  고무자석은 어떻게 만드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한성민 전문가입니다.페라이트(Ferrite)라는 철 원소를 포함하는 자성물질의 분말을 PVC(플라스틱 종류) 또는 합성고무와 혼합 및 용융한 뒤에 원하는 형태로 모양을 뽑아내어 만듭니다. 흔히 틀에 넣어 모양을 만드는 사출(붕어빵 만드는 과정처럼)또는 압력을 통해 뽑아내는 압출(가래떡처럼)을 이용한 뒤 후 가공을 거치게 됩니다.유연하지만, 아쉽게도 자성은 좀 약한 단점이 있습니다.
Q.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는 햇빛을 받으면 손상되나요??
안녕하세요. 한성민 전문가입니다.일상생활에서의 빛 정도는 괜찮겠지만, 창가에 방치하거나 강한 빛에 장기간 노출시키는건 좋지않습니다.OLED 내부에는 유기발광층도 있고 투명한 소재도 많은데, 아무래도 자외선 등에 강하게 노출될 경우 변색되거나 경화되기 쉽기때문입니다.
Q.  요즘 AI를 활용한 음악들이 상업적으로 여러곳에 이용되고있는데 저작권에 문제가 없는것일까요?
안녕하세요. 한성민 변리사입니다.AI를 이용해 창작된 창작물에는 저작권이 빌생하는지, 발생한다면 누가 저작권을 갖는 것인지 전세계적으로 법리가 정립되지 않았습니다. 나라마다 AI를 이용한 사람에게 창작에 개입한 부분이 인정된다며 AI이용자에게 저작권이 귀속된다고 본 사례도 있고(중국), 저작권 자체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본 사례도 있습니다.우리나라는 아직 법문상 규정이 명확치도 않고, 판례도 대법원급 사례가 없어서 저작권 침해여부 판단니 다소 모호한 상황입니다.아직은 이렇게만 답변드릴 수 있네요
Q.  따라그린 모작의 저작권 질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한성민 변리사입니다.1) 저작권이있는 그림을 그대로 따라그린 모작을 공개적으로 전시나 배포하는 경우 저작권 침해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2) 교내에서 수업용으로 사용하는 정도는 저작권 침해로 보지 않지만(저작권법 제25조) 교내 매거진을통해 별도로 출간하는것은 수업범위라고 보긴 어렵다고 판단됩니다.3) 따라서 허락을 받고 이용하시는게 타당해보이는데요, 저작권자는 원칙적으로 창작자가 갖는것이나, 일러스터분과 출판사 사이에 계약이 있었던 경우 달리볼 여지가 있다보니 문의해서 확인하시는게 적절해보입니다. 명확한 판단이 불가하네요.** 일단 법률을 고려해 설명드렸으나, 원칙적으로 저작자측에서 문제삼지 않는 경우 따로 법적 분쟁이 발생하긴 어렵습니다. 질문만으로는 정확한 상황을 몰라서 관련법리만 참고삼아 정리드렸으니 고려하시면 되겠습니다. (가장 안전한건 허락을 받고 사용하는거구요)
16616716816917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