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재활의학과 전문의 & 필라테스 지도자 자격 이수

재활의학과 전문의 & 필라테스 지도자 자격 이수

이정재 전문가
재활 전문 병원 재활의학과 전문의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뼈 골밀도를 강화하는 훈련법이 있을까요?
병원에 오래동안 누워있으면 자연히 근육과 뼈가 약해집니다. 반대로 생각하면걷기, 뛰기 또는 근력운동을 통해서 뼈 자체로 가는 부하를 주는 것 자체가 뼈를 튼튼하게 만들어 줍니다. 따라서 근력운동 및 걷기/유산소 등이 골밀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 보겠습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이게 무슨 소리인지 mri판독지 해석(?) 부탁드립니다
검사 중에 움직임이 있어서 제한적으로만 검사를 진행하셨고, 퇴행적인 소견은 가능성이 낮다, 앞쪽 디스크가 빠지거나 하는 등의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검사에서는 큰 이상은 없고, 임상적으로 증상이 자체가 좀더 중요하겠다 이런 소견입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우측 무릎이 아픕니다. 반월연골판 문제라는데 얼마나 버틸까요?
나이가 너무 젊으신데 벌써 연골이 그렇게 손상되었다니 직업적 요인이 아무래도 큰 것 같습니다.해당 되는 운동들이 도움이 될텐데, 연골이 그정도로 닳았다면, 반드시 병원 내원 후 숙련된 치료사와 같이 운동을 한 후에 자가 운동을 지속하시는것이 안전하겠습니다. 병원에서 수술 전이라고 하면 좋아질 chance도 있다고 생각되며, 무릎에 안좋은 자세 (많이 구부리거나 쪼그려 앉기, 또는 과도하게 계단 오르내리는등) 를 최대한 피하시고, 사진에 나와있는등의 근력운동 포함해 코어 운동까지 꾸준히 해주시면 증상 호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목디스크인것 같습니다 뒷목이 너무너무 뻐근하고 뒤로 젖히면 아파요 ㅜㅜ
일단 병원 내원 준비중이시라니 이미 진단을 받으셨는지도 모르곘네요. 손이나 팔로 저림증상은 없으신가요? x-ray나 mri에서 목디스크 증상이 없더라도 아마 경추 후관절 쪽으로 부하가 많이 걸리는 경추 후관절 증후군은 있을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평소 거북목/일자목 유발하는 생활습관이 있으면 교정이 우선이며기본적으로 경추 신전운동이 도움이 되나 현재상황에서 젖히는 동작자체가 힘들거나 찌릿한 통증을 유발한다면, 가동범위를 많이 쓰지 않는 범위내가 좋으며 병원 치료 이후 증상이 나아진다음에 서서히 시행해보심이 좋겠습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하지정맥수술후에도 종아리근육 쥐가 납니다
해당 나이에 하지정맥류 증상이 심했었을까요?? 일반적으로 진료실에서 보면 특히 그나이대 젊은 남성 분들의 하지정맥류 증상은 아주 드물며 오히려 허리디스크로 인한 증상이 더욱 의심됩니다.기존에 허리통증이나 증상이 있었다면 정형외과/ 재활의학과 등의 척추 병원에서 진료 및 검사를 권유하겠습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발목이 저릿한느낌과부은듯한느낌이 지속됩니다
한번 심하게 삔 발목은 고유수용성 감각이란 것이 저하되며 자주 삐게되고, 또 만성적인 발목 통증을 자주 유발하게 됩니다. 질문으로 짐작컨데 복숭아뼈 바깥쪽이라면, 흔히들 전거비인대 or 장비골근의 힘줄염 등이 주로 생기기 쉽고, 접히는 부분은 주로 안쪽 관절 부분으로 부하가 잘못걸리거나 해서 심한경우 물이 차거나 염증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가급적 정형외과/재활의학과/통증의학과 등 내원하여 x-ray 초음파 검사 등으로 진단 후에 맞는 치료를 하시는게 좋겠습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유연성 없는 사람이 다리를 찢었을 경우
발레를 하거나 할때 일부러 근육을 최대한 스트레치 시켜서 유연성을 확보하기도 하지만, 기존에 유연성이 없는 상태에서 억지로 과도하게 스트레칭 하게 되면 인대나, 경우에 따라서 근육 파열등 발생할 수 있어 가급적 서서히 가동범위를 확보하는 스트레칭이 안전하겠습니다.드물지만, 경우에 따라서 힘줄이나 인대가 뼈를 물고 같이 떨어져 버리는 건열골절 같은 상황이 벌어지기도 하니 무리한 스트레칭은 하지 않는게 좋겠습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허리통증이 자주 있는데 원인은 무엇일까요?
질문에 답변이 녹아 있네요. 허리 디스크 증상이 만성으로 있기 떄문이지요. 가급적 현재 상태를 제대로 진단 받아보심이 좋겠고 경미하다면 간단한 치료로 호전되겠으나 지속적이고 오래된 통증이라면 주사치료든 운동치료든 치료를 요하겠습니다.해당 사진처럼 허리디스크에 무리가 가는 자세를 최대한 피하시고가급적 요추 전만 자세를 유지하시려고 하되다음과 같은 운동등이 도움이 되곘습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갑자기 오른쪽 다리 허벅지 뒷쪽이 전기신호오듯이 쿡쿡 찌르듯이 아픈데 왜그럴까요?
평소에 허리디스크 증상있거나 허리 불편감이 있었을까요? 특정 자세나 어떤 상황에서 그러실까요?가장 높은 가능성은 허리 디스크 증상으로 생각되고 가까운 정형외과/재활의학과 등 척추 관련된 과 내원하셔셔 1차적으로 진찰 받아보심이 좋겠습니다. 만약 심하지 않고 금방 사라진다면 경과관찰 하셔도 무방합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손목(요골)골절 이후 수술해야할지 고민입니다.
골절정도와 위치에따라 치료방법은 다르겠으나 해당 병원에서 정복했고 1주일 뒤에 f/u 했을때 수술적 치료를 요한다고하면 수술적 치료를 하심이 좋고, 만약 스플린트를 하면서 좀더 지켜보자고 하시면 x-ray 주기적으로 찍으면서 확인해보셔도 됩니다. 진료중인 병원의 의료진과의 면담 후에 진행하시면 될것같습니다.
30130230330430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