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

김상규 전문가
(주)남부공항서비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피로 써진 안전수칙이 무슨말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법률이나 규칙 등이 실제 어떤 예상못한 사고들이 발생한 후에나 제정되고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은 것이 안타까운 현실입니다.건설현장이나 제조현장 같은 곳에서도실질적으로 크게 관심을 안가진 점으로 인해한번도 일어난 적이 없던 사고들이대형사고로 발생하게 되는 경우그 부분에서 경각심을 가지게 되어안전수칙으로 명문화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따라서 피로 써진 안전수칙 이라는 부분은안타깝지만그 안전수칙에 해당되는 여러 사고들을 교훈삼아 확립된 부분이 많기에희생을 재료로 해서 쌓아올려진 안전수칙이기에피로 씌여진 안전수칙 이라는 말을 하곤 합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급발진을 증명할 부대장치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최근 급발진으로 인한 억울한 사고들이 많은데요.급발진이라 하더라도실제 EDR 자료에는 아무 이상이 없다나오는 경우가 많기에 증명할 방법이 거의 전무한 실정입니다.따라서 최근부터는비상자동제동장치인 AEBS를 의무장착하자는 소리도 있습니다만운전자 입장에서 이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페달 측 조작 상황을 촬영 기록하는 페달 블랙박스가 가장 원초적이고도 증명이 쉬운 장치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추가적으로 악셀과 브레이크에 변위센서를 장착하여 두가지 신호와 RPM 크기까지 기록하여 급발진을 증명하는 장치도 개발은 된 것으로 압니다만뭐니뭐니 해도 영상으로 바로 직관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패달 블랙박스가 아직은 유일한 방법으로 보입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자전거에 기어는 어떤 방식으로 작동되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저전거 기어 원리 질문주셨는데요.자전거가 움직이는 원리를 말씀드리겠습니다.우선 자전거는축바퀴 원리로 움직이는데이는 페달이 원의 중심에서 멀리 떨어져있어 토크가 커지므로이 힘을 뒷바퀴로 전달하여 기어를 움직이게 합니다.페달을 밟으면 크랭크암을 통해 체인링으로 힘이 전달됩니다.체인링 가장 근접하고 가장작은 기어가 1단이 되며 바깥으로 갈수록 고단이 됩니다.체인링 움직임따라 톱니에 걸린 체인이 움직이고뒷바퀴 중심축에 위치한 스프라켓 도 함께 돌면서 자전가가 나가는데요스프라켓은 자전거 뒷바퀴 기어로여러장의 기어묶음을 카세트 라고 합니다.체인링과 스프라켓 보두 프레임 가까운곳이 1단이나차이점은스프라켓은 중심에서 바깥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져서가장 큰 스프라켓이 1단이 됩니다.변속기어 단 수는체인링 개수x 스프라켓 개수 로 충 기어 단수를 표시합니다예를들면 체인링 3개, 스프라켓 8개가 되면 24단 자전거 가 됩니다.이 체인링과 스프라켓 조합으로 다양한 힘과 속도를 내는데요.이 때 기어비의 개념이 나오는데요.자전거 페달을 한바퀴 돌렸을 때뒷바퀴가 회전하는 수를 의미합니다.일반적으로앞바퀴 톱니수 / 스프라켓 톱니수 = 기어비 가 됩니다.큰 톱니 체인링과 뒤의 작은 스프라켓이 만나는 고단기어가 되면 높은 속도를 낼수있습니다.반대로작은톱니 체인링과 큰 스크라켓이 만나는저단기어가 되면, 속도는 느리지만 강한 힘을 낼수 있습니다.언덕을 올라가는 경우 이 조합이 유리합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장마철 기계제품 사용 시 주의해야할 점은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장마철에는 아시다 시피 습기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하여야 합니다.기계제품 을 동작시킬 경우가장 주의해야 할 점은 감전입니다.기본적으로 누전차단기가 정상동작하는 지 항상 정기적으로 확인 후동작을 시행하셔야합니다.또한 젖은 손으로 절대 콘센트 접촉을 하지 말아야 하며결코 전선코드를 선을 잡고 땡겨 뽑는 등 행위는 삼가하셔야 합니다.유지보관 시는 침수 가능성이 있는 곳은 반드시 피해야하며각종 클러치나 벨트 등은 풀림상태로 조작해 두는게 좋습니다.또한 구리스 주입이 필요한 곳은 미리 구리스를 충분히 주입해 주십시오.또한 전력선의 접속상태, 절연상태, 방수상태를 포함하여 점검해주셔야합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자동차 엔진 어떻게 작동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자동차 엔진은 내연기관의 동작원리에 따라 작동되는데요..그 과정은 크게 본다면 4단계의 행정으로 나눠 집니다.내부 연소원리에 따라서 동작하며주된 구성은 피스톤, 실린더, 밸브, 연료 시스템 등으로 구성됩니다.흡기행정흡기밸브 열림, 배기밸브 닫힘 상테에서피스톤이 아래로 내려가면, 실린더 내부 압력이 감소하면서흡기밸브로 부터 연료와 공기가 섞인 혼합공기가 흡입됩니다. 2. 압축 행정 흡기밸브 닫힘, 배기밸브 닫힘 상태에서 피스톤이 상부로 올라가면 실린더 내부는 흡입한 혼합공기를 압축하여 연소실 실린더내에 가두게 됩니다.연소 (폭발) 행정흡기밸브 닫힘, 배기발브 닫힘 상태에서 피스톤이 최상부에 다달았을때점화플러그에서 전기스파크일으켜, 혼합공기가 순간연소 함으로써가스가 팽창하면서 피스톤을 아래로 밀어내립니다.배기행정흡기밸브 닫힘, 배기밸브 열림 상태로 피스톤이 다시 상부로 올라오면서실린더 내부 팽창된 연소가스를 배기밸브를 통해 배출하게 됩니다.이후 다시 1의 흡기로 되돌아가서 행정을 반복하는 방식입니다.4행정이 일반적이나2행정 엔진도 있으며2행정은 크랭크축 1회전마다 폭발이 발생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출력이 높습니다.허나 저속회전에서 배기/흡기가 원활하지않아회전이 불안하고 연료가 배기에 섞여나오는 문제가 있으므로오토바이에 주로 사용됩니다.
2462472482492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