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술만 먹고 잠에 들면 꿈을 꿉니다. 깊게 못잔다는 증거인가요?
안녕하세요. 제세령 정신의학과 전문의입니다.술과 꿈의 관계에 대해 질문 주셨습니다. 질문자님께서 경험하신 것처럼, 음주는 수면 시 깊게 잠을 자는 것을 방해합니다. 일반적으로 수면은 비렘수면(stage I ~ stage IV)에서 렘수면의 단계로 진행되고, 렘수면에서 다시 비렘수면 단계를 왔다갔다 하면서 진행됩니다. 꿈을 꾸는 것은 렘수면 단계인데, 음주는 렘수면을 억제하고 수면 단계의 분절을 일으키는 등 깊은 잠을 취하지 못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알코올이 대사되면서 수면의 후반부에 상대적으로 렘수면이 증가하게 되면서, 우리의 뇌는 기상했을 때 꿈을 더 잘 기억하게 됩니다. 이것이 술을 먹었을 때 우리가 꿈을 자주꾼다고 느끼는 이유입니다. 질문 주신 것 처럼 음주는 깊은 잠을 자는 데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적당히 즐길만큼 하시고 음주 직후 잠들기 보다는 충분한 시간 알코올 대사 후에 주무시는 것이 건강한 수면에 도움이 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Q. 머리벽에 박고싶을때 어떻게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제세령 정신의학과 전문의입니다.최근 안 좋은 일이 겹쳐서 감정이 맘처럼 조절되지 않으시는 듯 합니다. 가끔씩 감정 조절이 되지 않을 때 자신이나 남을 다칠 위험이 있는 행동을 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증상의 경중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스스로 조절되지 않을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치료가 필요합니다. 어떤 파괴적인 충동이 들 때 이것을 조절할 수 있는 여러 방법들 중에는, 첫째로 감각에 대해 대체 전략을 찾는 것입니다. 차가운 얼음을 쥐거나, 세수를 하거나, 벽대신 베개를 치는 행동 등 충동을 안전한 방법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둘째로는 감정이 올라올 때 일단 멈추고(Stop), 그자리에서 물러나지 말고 심호흡(Take a step back), 내 몸과 내 감정을 말없이 지켜보는 것 (Observe), 자신에게 지금 가장 해롭지 않은 방법이 무엇인지를 신중히 생각하는 것(Proceed mindfully)의 단계를 진행하는 STOP 기술이 있습니다. 그리고 자신의 감정이 일어날 때 이것을 일기처럼 기록해보는 방법, 호흡법이나 이완법 등의 방법이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작업은 스스로 실천해서 해결이 되는 경우도 있지만, 알아도 잘 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조절이 힘들 때는 근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 상의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으신 후에 필요한 경우 약물치료나 앞서 말씀드린 인지행동치료적 개입을 받아보시길 권유드립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Q. 금연에 도전 중인데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제세령 정신의학과 전문의입니다.금연 과정에서 고민이 많으신 것 같습니다. 금연은 굉장히 길고 고된 작업이기 때문에, 스스로 도전하시기로 마음먹은 것 자체로도 박수받을 만한 일입니다. 꾸준히 이어나갈 수 있길 바랍니다!우선 패치를 붙이는 것도 니코틴이 몸에 흡수되는 과정일 수 있으나, 니코틴 패치를 사용하는 이유는 금연 시 발생하는 금단 증상을 저하시키기 위한 것으로 직접 흡연을 하는 것처럼 폐 기능에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니코틴패치를 사용하는 것과 사용하지 않고 흡연을 하는 것의 이득을 비교해보신다면 패치를 사용하는 것이 건강에 더 유익할 것입니다. 패치는 일반적으로 금단 증상의 조절을 위해 단기간 사용하기 때문에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을 듯합니다.술이나 담배를 끊는 데에 있어서 가장 큰 자극 중 하나는 '한 개비', '한 잔'의 유혹입니다. 중독성이 있는 물질을 한 번만 사용하는 것은 아예 끊는 것보다 더 고된 일일 것 같습니다. 건강을 위해 끊겠다고 다짐하셨다면, 이를 유지하는 것이 굉장히 고통스러울 것이라 생각합니다. 금연을 유지하기 위해 훌륭히 노력하고 계시지만 견디기 어렵다면 가까운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약물 치료 및 인지행동치료 등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앞으로의 금연이 잘 이어지길 응원합니다.
Q. 중년이 되면서 피하지방도 잡히고 배가 빵빵하게 나옵니다. 내장지방이 피하지방보다 빼기 어렵다던데 방치하면 위험한가요?
안녕하세요. 제세령 정신의학과 전문의입니다.내장지방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분비하여 인슐린 수용체 작용을 방해해서 결과적으로 당뇨의 위험성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지방간, 고지혈증, 고혈압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내장지방은 스트레스 호르몬에 민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적절한 수면 및 스트레스 관리가 중요합니다. 그리고 운동 역시 유산소 운동을 꾸준히 하는 인내의 작업이 필요합니다. 무엇보다 식단이 중요하기 때문에, 탄수화물 함량을 줄이고 고단백 위주의 식사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대사 작용이 저하되면서 내장 지방은 점차 잘 빠지지 않지만, 꾸준히 관리한다고 생각하시고 오랜기간 유지할 수 있는 건강한 생활습관을 들인다면 점차 내장지방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Q. 성인 반응성애착장애 자존감 높이면 완치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제세령 정신의학과 전문의입니다.정확한 진단은 비대면 상의 상담으로 제한이 있으니, 제 답변은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5살 때 반응성 애착장애를 진단받으셨다고 하셨습니다. 우리의 정신건강은 특정시기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형성되고 발전되는 것입니다. 과거의 특정한 진단이 현재의 나를 정의하는 것은 아닙니다. 지금 질문 만으로 자세히 알기는 힘들지만, 스스로의 자존감에 대해 걱정이 있으신 것 같네요. 자신이 가진 자존감은 이때까지 살아온 환경, 인간 관계, 나의 기질 등 여러 요소들이 섞여서 형성되는 것이고, 앞으로의 경험 역시 영향을 줍니다. 질문자님께서 어떠한 일을 해내시거나, 어떤 사람과 관계를 맺거나, 어떠한 경험을 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입니다. 이런 과정은 시간이 걸리지만, 변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스스로 낮은 자존감 때문에 일상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가까운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하여 이것에 대해 자세한 상담을 받아보시길 권유드립니다. 이런 질문을 주신 것 자체로 스스로를 변화시키고 싶은 의지가 있는 것으로 느껴지기도 합니다. 현재 자존감 문제로 인해 일상에서 어떤 어려움을 가지고 계신지 정확히 알수는 없지만, 현재 우울이나 불안 등의 증상을 가지고 계신다면 이것에 대해 적극적으로 치료하고, 사회생활, 대인관계 등 일상을 이어나가기 위해 노력하신다면 점점 건강해지실 것으로 생각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