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아하! 이렇게 쉬울수가
아하! 이렇게 쉬울수가
유민혁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산부인과
2025년 1월 20일 작성 됨
Q.
계류유산과 화학적유산의 차이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화학적 유산은 태아의 염색체나 발달 이상으로 임신 초기에 자연스럽게 유산되는 경우를 말해요. 반면 계류유산은 태아가 이미 사망했지만 자궁에서 자연 배출이 되지 않고 남아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계류유산의 경우 출혈이나 복통 같은 유산 증상이 없을 수 있어서 정기검진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요.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임신 초기에는 정기적인 검진을 잘 받으시는 게 중요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5년 1월 20일 작성 됨
Q.
변비는 아닌데 대변이 힘들게 나오네요;;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변이 딱딱하면 항문이 찢어질 수 있어요. 우선 하루에 물을 8잔 이상 마시고, 식이섬유가 풍부한 채소나 과일을 많이 드세요. 아침에 일어나서 따뜻한 물 한잔 마시는 것도 도움이 되고요. 당분간은 좌욕을 하면서 항문 상처가 악화되지 않도록 관리하시는 게 좋아요. 변을 볼 때 너무 힘을 주지 마시고, 물티슈 사용하시면 자극을 줄일 수 있어요.
성형외과
2025년 1월 20일 작성 됨
Q.
붙임머리 상태에서 뒤트임복원 해도될까요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붙임머리로 인한 당김이 있는 상태에서 복원하면 상처 회복에 영향을 줄 수 있어요. 특히 봉합 부위가 벌어지거나 흉터가 더 눈에 띄게 생길 수 있죠. 가능하다면 붙임머리를 제거하고 복원하시는 게 좋고, 꼭 유지해야 한다면 복원 부위에 직접적인 당김이 가지 않도록 붙임머리 위치를 조절해달라고 요청하세요.
산부인과
2025년 1월 20일 작성 됨
Q.
산부인과에서 째고 꿰맸는데 실밥 풀 때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생리 중에도 실밥 제거는 가능해요. 생리 양이 많지 않다면 크게 문제되지 않습니다. 다만 의료진이 상처 부위를 잘 확인하기 위해서는 출혈이 적은 게 좋으니, 가능하면 생리양이 적은 시간대에 방문하시는 게 좋아요. 실밥 제거 전에 생리 중이라는 걸 미리 말씀해주시면 의료진이 더 꼼꼼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5년 1월 20일 작성 됨
Q.
치매 예방을 위해서는 어떤운동이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치매 환자에게는 걷기나 수영같은 유산소 운동이 가장 좋아요. 특히 걷기는 강도 조절이 쉽고 부상 위험도 적어서 추천드려요. 또 탁구나 댄스도 좋은데, 이런 운동들은 뇌를 자극하면서 동시에 사회적 교류도 할 수 있거든요. 하루 30분 정도, 일주일에 3-4회 정도가 적당해요. 다만 환자분의 체력과 선호도를 고려해서 선택하시는 게 좋겠네요.
기타 의료상담
2025년 1월 20일 작성 됨
Q.
감기기운있을때 몸이 축축쳐져도 억지로 움직이는게좋나요?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감기로 몸이 많이 힘들 때는 무리하게 움직이지 않는 게 좋아요. 면역력이 떨어져있는 상태에서 무리하면 회복이 더 늦어질 수 있거든요. 충분한 수면과 휴식을 취하면서, 물을 자주 마시고 가벼운 스트레칭 정도만 하세요. 열이 있다면 더욱 절대 안정이 필요해요. 컨디션이 어느 정도 회복된 후에 천천히 활동하시는 게 좋아요.
성형외과
2025년 1월 20일 작성 됨
Q.
얼굴 경락하면 정말로 작아지나요??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경락만으로는 뼈의 구조적인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려워요. 일시적으로 붓기가 빠지면서 약간 효과가 있어 보일 수는 있지만, 광대뼈 자체의 크기를 줄이는 건 불가능해요. 얼굴형 개선을 원하신다면 보톡스나 필러로 주변 근육을 조절하거나, 광대뼈 축소술 같은 수술적 방법을 고려해보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산부인과
2025년 1월 20일 작성 됨
Q.
생리혈이 고여서 잘 안 나와요 이유는 뭥까요ㅠㅠ?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생리양이 갑자기 줄어드는 건 호르몬 변화나 스트레스 때문일 수 있어요. 생리혈이 질 내에 고이는 것도 자궁경부의 위치나 자세 때문에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에요. 한두 번 정도는 괜찮지만, 계속 비슷한 증상이 반복되거나 불편감이 있다면 산부인과에서 초음파 검사를 받아보시는 게 좋겠어요.
이비인후과
2025년 1월 20일 작성 됨
Q.
코를 고는 사람은 건강에 문제가 있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심한 코골이는 수면무호흡증의 신호일 수 있어요. 특히 입으로도 숨을 쉬면서 고는 건 산소 부족 현상일 수 있으니 이비인후과 검진을 받아보시는 게 좋겠어요. 수면다원검사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고, 심하면 수면 마스크를 착용하거나 수술적 치료도 고려해볼 수 있어요. 당장은 옆으로 누워서 자거나 베개 높이를 조절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죠.
기타 의료상담
2025년 1월 20일 작성 됨
Q.
성인은 조금 더 짧은 시간을 자도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20-30대 성인의 적정 수면시간은 7-9시간 정도예요. 개인차가 있을 수 있지만, 7시간 미만으로 자면 집중력이나 면역력이 떨어질 수 있어요. 다만 수면 시간도 중요하지만 수면의 질도 중요해서, 일정한 시간에 자고 일어나는 습관을 만드는 게 좋아요. 밤 11시부터 새벽 3시 사이의 숙면이 특히 중요하죠.
1
2
3
4
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