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옥스퍼드 대학의 과학자들이 주장한 인간이 신을 신봉하는 이유는 어떻게 되나?
옥스퍼드 대학의 연구팀은 인간의 뇌가 초자연적인 존재를 쉽게 받아들이고, 사후 세계에 대한 믿음을 자연스럽게 형성하는 경향이 있어 신을 믿는 경향이 타고 났다고 보고 있습니다.즉, 인간은 신체와 정신을 분리하여 생각하는 이원론적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런 사고는 죽음 이후에도 영혼이 계속 존재할 것이라는 믿음으로 이어지기 쉽다는 것입니다.또한 인간은 세상의 모든 현상에 대해 어떤 목적이나 의도가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예를 들어 자연 현상이나 우주의 질서를 보며 이를 설계하고 의도한 존재, 즉 신이 있을 것이라고 추론하는 것입니다.그리고 종교적 믿음은 생존에 유리하도록 진화한 다른 인지 능력의 우연한 부산물이라는 주장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위험을 감지하고 예측하는 능력이나 타인의 의도를 추론하는 능력 등이 결합되어 신과 같은 초자연적 존재의 존재를 상상하게 만들었다는 것입니다.
Q. 일본에서 애니메이션 포켓몬을 보다가 집단 실신 사건이 발생했다는데 원인이 뭔가요?
원인은 '광과민성 발작'으로 밝혀졌습니다.해당 발작 사건이 일어난 에피소드에서 강렬한 적색과 청색의 섬광이 연속적으로 사용되었는데, 특히 백신 프로그램이 폭발하는 장면에서는 1초당 12회씩 4.5초간, 총 106컷에 걸쳐 강한 빛의 점멸 효과가 나왔습니다.이러한 급격하면서도 반복적인 빛의 점멸이 일부 시청자의 뇌에 과부하를 일으켜, 광과민성 증후군을 유발한 것입니다.당시 이 에피소드를 보던 700여 명의 어린이들이 구토니 두통, 어지럼증, 심지어 발작 증세를 보이며 병원으로 후송되었고, 이 중 135명이 입원했습니다.이러한 내용은 정부와 방송사, 제작사가 사건의 원인 규명을 위해 의료 전문가와 과학자들로 구성된 조사팀을 만들었고 해당 조사팀에 의해 밝혀진 것입니다.
Q. 참치는 헤엄칠 때 열이 얼마나 올라갈 수 있나요?
보통 어류는 주변 수온과 비슷한 체온을 유지하는 변온동물이지만, 참치는 예외적으로 항온성을 가진 온혈 어류에 속합니다. 특히 참다랑어의 경우, 헤엄을 칠 때는 근육 온도가 주변 바닷물 온도보다 10도 이상 높게 유지할 수 있는데, 이렇게 높은 체온은 더 효율적으로 근육 운동을 할 수 있고 또 빠른 반응이 가능하기에 빠른 속도로 헤엄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하지만 참치가 죽게 되면 근육 활동이 멈추지 않고, 사후 경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이 몸속에 갇히게 됩니다. 이로 인해 참치의 몸 내부 온도가 40도 이상 올라기며 마치 익은 것처럼 살이 변질되는 것입니다.
Q. 전갈의 독은 일회성인가요? 아니면 계속 만들어지나요?
전갈의 독은 일회성이 아닙니다.전갈은 꼬리 끝에 있는 독샘에서 지속적으로 독을 생산하고 보충합니다.전갈이 독을 사용하는 주된 목적은 사냥과 방어입니다. 독샘에 독을 저장하고 있다가 위협을 느끼거나 먹이를 잡을 때 독침을 찔러 독을 주입하는데, 독을 한 번 사용하더라도 체내에서 계속해서 독을 재합성하여 저장하므로, 필요할 때마다 다시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물론 독을 다시 채우는 데 걸리는 시간은 전갈의 종이나 크기, 건강 상태, 그리고 최근에 독을 사용한 양에 따라 달라지기는 하지만 보통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립니다.결과적으로 전갈은 독침을 사용한 후에도 새로운 독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에, 일회성인 벌이나 일부 뱀과는 다르게 여러 차례 독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Q. 비타민의 정의가 체내에서 합성될 수 없는 물질인데 비타민 D는 체내에서 합성할 수 있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말씀하신 것처럼 비타민은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소량의 유기 화합물이지만, 체내에서 스스로 합성할 수 없어 반드시 외부에서 섭취해야 하는 물질'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비타민 D는 특수한 조건에서 체내에서 합성될 수 있기 때문에 이 정의에서 예외적인 경우죠.비타민 D가 체내에서 합성될 수 있음에도 비타민으로 분류되는 주된 이유는 현대인의 생활 방식 때문입니다.비타민 D 합성에 필요한 자외선 B는 야외 활동, 특히 햇빛이 강한 시간대에 피부에 직접 닿아야 합니다. 하지만 현대인은 실내 활동이 많고,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며, 옷으로 몸을 가리는 경우가 많아 충분한 양의 비타민 D를 합성하지 못합니다.또한 햇빛이 부족한 환경의 사람들에게는 비타민 D가 필수 영양소가 됩니다. 즉, 정상적인 생활 조건에서는 몸에서 합성되지 않기 때문에 음식을 통해서나 보충제로 섭취해야만 하기에 비타민의 정의와 일치하는 특성을 보입니다.결국 비타민 D는 비타민의 고전적인 정의에는 완벽하게 부합하지 않지만, 실제 인체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 부족할 경우 결핍 증상이 나타나므로 비타민으로 분류하는 것입니다.사실 일부에서는 비타민 D를 신체 내에서 호르몬과 유사하게 작용하는 물질로 보는 학자도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