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지혜로운사자35
지혜로운사자35

냉장고가 차가우면 온도로 인해서 세균이 번식하지 못해서 그래서 냉장고에 음식을 넣으면 안상하는 건가요??

냉장고가 차가우면 온도로 인해서 세균이 번식하지 못해서 그래서 냉장고에 음식을 넣으면 안상하는 건가요?? 아니면 그냥 번식은 하지만 온도가 낮으면 속도가 늦어서 그런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냉장고의 저온상황은 세균을 죽이는것이아니라, 대사의 속도를 크게 늦춰서 증식속도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게됩니다.

    그래서 세균은 여전히 존재하고는있지만, 성장이나 분열이 느려져서 음식이 상하는속도가 지연되는것뿐, 부패가 완전히 멈춘상황은 아니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세균을비롯한 모든동물들은 대사활동을하기위한 적정온도를 가지고있습니다. 이는 종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5~30도정도의 실온에서는 활발하게 대사를하며 증식하는편이죠.

    냉장고나 냉동고처럼 8도이하로 유지되는장치안에서는 실온에서 증식하던것처럼은 하지못하고 속도가 느려집니다.

    이로인해 증식으로인한 음식의 부패등의 현상도 느리게 나타나는것이죠.

  • 안녕하세요. 이조은 전문가입니다.

    음식에는 모두 균이 조금씩 있습니다.

    일정양 이상의 균의 수가 되어야 우리에게 유익하거나 해를 주는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그 수가 증식하는데 온도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냉장고의 4도 내의 차가운 온도에선 균의 증식이 어렵기 때문에 실온에 뒀을 때보다 오래 저장 및 보관이 가능하지요.

    질문자 분께서 말씀해 주신대로 온도의 영향으로 균의 증식이 늦어져 우리가 먹을 수 있는 신선한 상태가 유지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네, 맞습니다. 냉장고 속에서 음식이 잘 보존되는 이유는 세균과 곰팡이 같은 미생물의 생장 속도가 온도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인데요, 원래 세균이 증식하려면 단백질을 합성하고, 효소로 대사를 돌리고, 세포 분열을 해야 하는데, 이 모든 과정은 효소 반응에 기반합니다. 일반적으로 효소 반응은 온도가 높을수록 빠르게 진행되지만, 온도가 낮아지면 효소의 활성도가 크게 떨어지는데요, 따라서 냉장고처럼 낮은 0~4 °C에서는 세균이 죽는 것은 아니지만, 대사 속도가 극도로 느려져서 번식 속도가 현저히 줄어듭니다. 따라서 냉장고는 세균을 완전히 없애는 멸균 장치는 아니지만 세균 증식을 지연시켜 음식이 상하는 속도를 늦추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그래서 냉장고에 넣어둔 음식도 시간이 오래 지나면 결국 부패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두번째로 말씀하신 것이 맞습니다.

    냉장고에 음식을 넣어두면 세균이 번식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온도가 낮아 세균의 번식 속도가 늦춰지는 것입니다.

    보통 냉장고의 4도 이하의 온도는 대부분의 세균의 활동과 번식 속도를 현저히 늦추는 역할을 합니다.

    세균은 5~60도 사이의 위험 온도대에서 가장 빠르게 증식하지만, 냉장은 이 위험 온도대보다 낮아 세균의 대사 활동을 억제하고 성장을 멈추게 하는 것이죠.

    다시 말해 세균은 여전히 존재하지만 번식 속도가 매우 느려져 음식이 부패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는 것입니다.

  • 냉장고에 음식을 보관하는 것은 낮은 온도로 세균의 번식 속도를 늦추는 원리입니다. 하지만 냉장고의 낮은 온도에서도 번식이 가능한 리스테리아균과 같은 저온균이 존재하며, 모든 세균이 완전히 죽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냉장고에 보관된 음식도 시간이 지나면 상할 수 있으며, 깨끗한 상태로 보관하고 가급적 빨리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