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류경범 전문가
CELL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모기는 실제로 O형을 좋아하나요??
그렇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실제 모기의 혈액형 선호도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었고, 몇몇 연구 결과 O형 혈액형을 가진 사람이 다른 혈액형보다 모기에 더 잘 물릴 가능성이 있다고 보기도 했습니다.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은 표본 크기가 작거나 다른 환경적 요인을 통제하지 못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아직까지 확실하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모기의 흡혈 행동은 혈액형 외에도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대표적인 요인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 체온, 땀과 체취, 옷의 색깔 등입니다.결론적으로, 모기가 O형을 더 좋아한다는 이야기에 대해 과학적인 근거가 아주 없다고 단정하기도 어렵지만, 혈액형 하나만으로 모기에 물리는 정도가 결정된다고 보기도 어렵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아기 청개구리 먹이로 0.5mm 밀웜 괜찮을까요?
먼저 꼬리 사라진 후 며칠간은 밥 안 먹는 게 정상이에요. 억지로 먹이려 하는 것이 더 스트레스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그리고 밀웜은 움직임이 적어 아기 개구리에게 잘 안 맞을 수 있어요. 개구리는 움직이는 먹이를 선호하기 때문입니다.그래서 가장 좋은 먹이는 초파리나 아주 작은 귀뚜라미인 핀헤드입니다. 구하기 어렵다면 핀셋으로 밀웜을 흔들어 시도해 볼 순 있지만, 잘 안 먹을 수 있습니다.개구리를 키울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습도 유지입니다. 키친타월 외에 축축한 이끼나 코코피트 깔아주는 것도 좋고, 분무기로 물 자주 뿌려주는 것도 괜찮습니다. 또한 은신처를 꼭 만들어 줘야 합니다. 작은 나뭇가지나 껍질 등으로 숨을 곳을 마련해 주면 안정감을 느낍니다.그리고 청결도 상당히 중요해요. 배설물이나 남은 먹이는 바로 치우고 사육통을 주기적으로 닦아줘야 합니다.마지막으로 오래 키우실 생각이시라면 칼슘제나 비타민제 등도 꼭 챙겨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하늘다람쥐는 왜 멸종 위기종인가요?
가장 큰 원인은 서식지 파괴 때문입니다.하늘다람쥐는 나무 구멍이나 둥지를 이용해 생활하는 동물입니다. 하지만 도시 개발, 도로 건설, 산림 벌채, 댐 건설 등으로 인해 서식지가 파괴되거나 단절되면서 고립되고 있습니다. 특히 골프장이나 대규모 리조트 건설은 하늘다람쥐의 서식지에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죠.실제 서식지 단절로 인해 사람이 만든 길을 건너다 로드킬을 당하는 경우도 심심찮게 발생하고 있습니다.또한 하늘다람쥐는 생태계의 먹이사슬에서 비교적 아래쪽에 위치하는데, 서식지가 한정되면서 족제비나 담비, 올빼미, 수리부엉이, 뱀, 너구리, 고양이, 삵 등 다양한 천적에게 잡아먹히는 경우도 많아지게 됩니다.물론 이 외에도 환경오염도 원인이 될 수 있겠지만, 가장 큰 원인은 서식지가 점점 줄어든 것입니다.산림을 다시 조성한다고 해도 단조로운 나무 구성으로 인해 하늘다람쥐가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지 못하는 것도 간접적인 원인이 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DMN) 에 이런것도 포함이 되나요?
공부 중 딴생각을 하는 것도 DMN 활동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뇌는 외부 자극에 집중하지 않고 쉴 때 DMN이 활성화됩니다.친구들과의 대화 등 공부와 무관한 딴생각은 이러한 DMN 활동의 예라고 할 수 있죠. 이는 '마음챙김' 혹은 '비과제 사고'라고도 하며, 자신의 생각이나 기억을 떠올리거나 미래를 계획하는 등의 내부 지향적인 사고와 관련 깊습니다.그리고 깨어있을 때 DMN이 활성화되지 않는가애 대한 답은 '아닙니다'입니다.우리는 깨어있는 동안에도 충분히 DMN이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특정 과제에 집중할 때는 DMN 활동이 줄어들지만, 집중력이 흐트러져 딴생각을 하는 순간 다시 DMN이 활성화됩니다. 즉, 뇌가 외부 과제와 내부 사고 사이를 오가는 자연스러운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이 개미의 이름을 알 수 있을까요? 아파트 화단 근처에서 발견했어요.
이 영상만으로는 알기 어렵습니다. 차라리 사진을 찍어주셨다면 특징을 좀 더 특정할 수 있습니다.다만, 말씀하신 내용과 개미들을 보면 주름개미이거나 곰개미가 아닐까 합니다.주름개미는 우리나라 길거리나 아파트 화단 등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작은 개미인데, 크기는 대략 5mm 도이며, 몸에 잔주름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먹이를 찾아 열심히 돌아다니는 모습을 자주 관찰할 수 있습니다.그리고 곰개미는 4~7mm정도의 크기로 주름개미보다 약간 큰 크기입니다. 검은색을 띠고 있으며, 주름개미와 함께 도심 환경에서도 잘 적응하는 종이기도 하죠.
717273747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