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저축성 보험은 어떤 혜택있는지요? 그리고 일반 저축과 비교하여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경식 보험전문가입니다.■ 저축성 보험을 저축과 비교하기는 무리가 따릅니다.차이가 워낙 크기 때문에 표로 중요 내용을 정리해봐 드립니다.■ 장/단점으로 구분해서 말씀드리면.▷ 저축성 보험 장점 3가지보장 기능이 있다!저축뿐 아니라 사망, 질병, 사고 등에 대한 보장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예: 갑작스러운 사고로 사망 시 적립금 외에 추가 보장금이 지급될 수 있음.2.세제 혜택이 있습니다. (비과세)저축성 보험은 일정 조건(납입 기간 10년 이상 등)을 충족하면 보험차익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이는 은행 이자 소득에 15.4%의 세금이 부과되는 것과 비교해 유리합니다.잘 이용하면 합법적인 탈세(?) 아닌 절세가 가능하죠 ^^3.복리 효과와 장기 자산 관리에 좋습니다.장기 운용 시 복리 효과로 인해 적립금이 꾸준히 늘어나며, 노후 대비나 자녀 교육 자금 마련 등 장기적인 자산 관리에 적합합니다.▷ 저축성 보험 단점 3가지낮은 유동성 (원금회수 안될 가능성 다부짐)은행 저축처럼 쉽게 돈을 쓸수 없답니다.계약 초기에 해지하거나 중도 인출 시 해지환급금이 많이 떨어지게 되고,그렇게 되면, 저축성(?)의 방향을 완전 잃어 버리게 됩니다.단기로 보면 정말 위험할 수 있는 거죠2.비용 부담1번과 같은 맥락이긴 한데요.. ^^;보험료 중 일부는 사업비(운영비)로 떼어 집니다. 저축처럼 원금이 적립되지 않고,일부 떼어진 상태에서 (보장성보험료도 소멸되는 부분도 있구요) 적립이 됩니다.적립되는걸 은행과 비교하기에는 그래서 정말 무리죠^^3.금리 변동 위험요건 쫌 복잡한 얘긴데요.음.. 저축성보험은 [적립의 목적 + 보장] 2가지를 생각해 볼수 있는데요.은행 저축은 금리가 떨어지면 --> 단순히 이자만 줄지만,저축성 보험은 금리가 떨어지면 --> 단순히 이자율만 줄어드는게 아닌, 보장보험료에 대한 계산이 바뀌기 때문에 적립금이 더크게 변동이 된답니다.단점도 3가지를 뽑았지만,결국 모두 "적립이 잘 안될 수 있다" 는 위험성이네요^^보험사 상품으로 목돈을 마련하시고자 한다면!일단 "장기 목표" 여야 한다는 것만 꼭 기억해 주세요^^
Q. 보험은 1세대부터 시작해 왜 자꾸 바뀌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박경식 보험전문가입니다.■ 실손의료비 보험을 말씀하시는 군요!실손보험은 2024년 현재 4세대 까지 변화 됐습니다. ▷ [ 세대 ] 라는 개념은 '상품의 개정시기'를 구분한 거랍니다. 상품이 크게 바뀌게 되면, 바뀌기 전과 바뀐후의 상품을 쉽게 구분하기 위해 '세대 ' 라는 표현을 씁니다. 긴 드라마를 보면 시즌1 (10부작) 시즌2 (10부작) 이렇게 구분하는것 처럼요^^▷ 상품이 바뀌는 이유 다양한 이유가 있는데요. 몇가지만 추리면, 완벽해 지기위해!-간혹 과잉진료 문제라던가, 분쟁이 생기는 요소등이 발생하면 더 완벽한 상품이 되려고 바뀝니다. 공정성 부여!-과거에는 전체 보험료를 똑같이 올리고 내리고 했었는데요. 형평성에 맞지 않아서 현재는 개별적으로 보험료를 산청합니다. (무사고 고객 / 청구많이한 고객 차이가 나죠)보험이 계속 바뀌고 진화한 배경에는 [보험회사도 생각해야 하고] [고객도 생각해야 하고] 의료 서비스를 직접하는 [병원도 생각해야 하고] 정말 복잡하고 방대한 내용이 있기 때문에, 100%완성형은 안될꺼라 생각이 듭니다. 시간이 지나고 세월이 바뀌고 치료스타일이 바뀌면 보험 역시 맞춰서 바뀐다고 생각하면 될꺼예요^^
Q. 부모님이 제 이름으로 종신보험을 납부하고 계셨는데요
안녕하세요. 박경식 보험전문가입니다.■ 절대적으로 유지 하시길 바랍니다!이유 및 확인사항▷ 이유가장큰 이유 : 20년납부중에 3년남았어요. 3년만 더 내면 보장만 받으면 되잖아요!종합 건강보험 형태로 보장이 다양해요. 이 또한 3년만 더 내면 만기까지 보장만 받으면 되요!종신보험은 해지환급율이 좋은 상품중에 하나 입니다. 납입이 끝나간다면 현재 환급율이 좋을것이며, 향후 더 좋아 질 겁니다. ▷ 확인사항갱신 특약이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만약 갱신특약이 일부있다면, 갱신보장내용을 파악하시고, 그대로 둘지 / 비갱신으로 새로 준비할 지 결정해 주세요!-그대로 두면 : 갱신부분만 보험료가 변동되며, 평생 납부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고 계셔야 합니다. -갱신은 부분적으로 해지후 -> 그 보장이 필요하다면 비갱신으로 따로 준비도 가능합니다. "종신보험은 = 사망보험금 " 이라는 얘기로만 생각해서, 나쁘다 안좋다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고객님 보험은 건강보장 부분도 많이 들어 있습니다. 그러니 종신보험 + 건강보험 2가지가 있다고 보셔야 합니다. ^^특히!!17년전, 내가 어릴때 가입한거라 = 어린만큼 보험료도 저렴하게 가입하신 거거든요. 보험료 납입완료가 된다면 그게 젤 좋은 보험이라는거 기억해 주세요^^
Q. 복잡한 실비보험 이전질문좀드릴게요.
안녕하세요. 박경식 보험전문가입니다.'비슷한 경험이 있어 알려드립니다. '보험관련해서는 '무조건' 질문자님이 권한을 가지셔야 편하다는걸 알려드립니다.(치료력이 없어 가입에 문제가 없다면) 해지하시라 전하시고, 질문자님이 재가입하는게 가장 쉽고 편합니다. (치료력이 있어 신규가입에 제한이 있다면) 기존보험의 권한을 모두 변경해 둬야 편합니다.계약자/수익자 변경은 물론, 보험료 납입계좌까지 변경 꼭 해두시구요.제 고객분중께서 경험하신 예를 들면,모든 권한을 (현 양육권자)가 가져오지 않아서, 청구/지급 관련해서 전 배우자님의 동의가 필요한 상황이 있었는데 오랜시간 연락이 안되 동의도 못받고, 해지하고 싶어도 해지도 못하고 여러모로 곤란하고 불편한 상황이 있었었죠.계약자 / 수익자 등의 변경은 생각보다 번거롭답니다.되도록 정리 가능하실때 확실하게 정리해 두시면 좋을거 같아서 답변 남겨 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