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퇴직자 연차수당 부여 일수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형규 노무사입니다.직원이 22년 12월 8일 입사 하였고 23년 8월 16일까지 근무하고 퇴사 한다고 합니다. 8개월 조금 넘게 근무 하였는데 연차를 몇개를 줘야 하나요? 연차는 한달 만근에 1개인데. 12월 중도 입사이고 8월 중도 퇴사라서 8개를 줘야 하는지 7개를 줘야하는지 헷갈립니다. 좋은 답변 부탁 드립니다.-> 연차유급휴가 문의로 사료되며,문의하신 경우, 입사일자를 기준으로 연차유급휴가를 산정하게 되므로,1개월 개근시 1일의 휴가가 발생하여 총 8개의 휴가가 발생할 것으로 사료됩니다.감사합니다.
Q. 이런경우 실업급여를 어떻게 받으면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형규 노무사입니다.현재 공기업에서 근무중이고, 1년에 계약을 한 후 추가적으로 1년을 더 재계약을 했습니다.그런데 새로운 팀에서 근무를 시작한지 2개월 만에 사업이 중단이 되고, 다른 부서로 배치를 받게 되었는데요.근무형태도 다르고, 근무시간도(3교대) 달라서 근무 하겠다라고 확답은 드리지 않았어요...이런 경우 어떻게 하면 실업급여가 신청이 될까요...???ㅜㅜ-> 실업급여 문의로 사료되며,문의하신 경우, 단순히 해당 내용만으로 실업급여의 수급은 어려워보임을 알려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프리랜서도 정규직하고 최저임금이 같나요?
안녕하세요. 김형규 노무사입니다.안녕하세요. 면접 볼 때는 정규직이라 하셨는데 막상 근로계약서 작성할 때는 3.3프리랜서로 계약하게 되었는데요. 근무는 일반 근로자형태와 같은데 이럴 경우 최저임금이 정규직과 동일하게 발생하여 주휴포함 세전 2,010,580원인가요? 아니면 9,620×8×26(주휴포함 1~31일 만근 기준) = 2,000,960원인가요 계약서에는 후자로 적혀져있습니다-> 최저임금 문의로 사료되며,문의하신 경우,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해당한다면, 최저임금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최저임금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여야 하는 것입니다.따라서 단순히 프리랜서 계약만을 체결하고 실질이 근로자라면 최저임금 이상이 지급되어야 합니다.감사합니다.
Q. 노조 설립은 근로기준법에 명시되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형규 노무사입니다.노측이 일방적으로 노조를 설립할 수 있는지와아니면 사측과 노측이 서로 양방간에 합의가 이루어져야 설립이 되는지도 궁금합니다.간단하게 설명부탁 드립니다.-> 노동조합 설립 문의로 사료되며,문의하신 경우, 노동조합의 설립은 노동조합법상 정해지고 있으며, 사측의 양해가 필요한 사안은 아닙니다.조합원 2인 이상의 결의하여 규약을 마련하고, 관할 노동청에 설립의 신고를 통해 완료됩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