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인문학 연구원이 하는 일은 어떤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인문학 연구원은 철학, 문학, 역사, 언어 등 다양한 인문학 분야에서 연구 주제를 정하고 자료를 조사하여 논문이나 책 등의 결과물을 작성하는 일을 주로 합니다. 이들은 학술대회나 세미나 같은 학술행사를 기획하고 참여하며 대학에서 강의를 하거나 학생들을 지도하기도 합니다. 또한 정부나 기관의 자문 역할을 맡아 정책이나 프로젝트에 학문적 통찰을 제공합니다. 대학이나 연구소에 소속되어 연구 계획을 세우고 연구비를 관리하며 간행물을 출판하는 등 운영업무도 수행합니다. 최근에는 사회과학, 데이터 과학 등과 협력하는 융합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 깊은 학문적 전문성과 논리적 사고력, 외국어 능력,꾸준함과 소통틍력이 요구됩니다.
Q. 성경은 어떻게 전 세계로 번역되어 퍼져나갈 수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성경이 많은 언어로 번역될 수 있었던 이유는 종교적, 역사적, 문화적, 기술적 요인이 함께 작용했기 때문입니다. 먼저 기독교의 선교적 성격이 결정적인 이유입니다. 예수의 복음을 전 세계에 전파하려는 사명감에서 기독교 선교사들은 다양한 언어와 문자에 성경을 번역해왔습니다. 특히 19세기 이후 근대 선교운동이 활발해지면서 많은 지역 언어에 성경 번역이 시도되었습니다. 그리고 성경 자체의 중요성도 이유입니다. 기독교 신앙에서 성경은 신의 말씀으로 간주되어 신자들이 직접 읽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다양한 언어로의 접근이 강조되었습니다. 또한 번역과 인쇄기술의 발전 역시 큰 역할을 했습니다. 구텐베르크의 금속 활자 인쇄술이 성경보급을 혁신적으로 바꾸었고 현대에는 디지털 기술 덕분에 번역과 유통이 더욱 쉬워졌습니다. 마지막으로 국제 성서 공회나 위클리프 성경 번역 선교회 같은 조직적 노력도 이유가 됩니다. 이들은 전문 번역가와 언어학자, 원어민 협력자와 함께 성경을 번역하고 보급해 왔습니다.